$\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야기 상황에 따른 유아의 정서표현규칙이해: 의도추론유형과 성의 상호작용효과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al Display Rules by Episodes: Interaction Effects of Intention Reasoning and Gender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5, 2015년, pp.293 - 310  

배성희 (충북대학교) ,  한세영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야기 상황(정서의 종류와 대상) 및 의도추론유형과 성에 따라 유아의 정서표현규칙의 이해가 다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의 4-5세의 유아 144명을 대상으로 4가지 이야기 상황을 제시하고 각 상황에 대한 의도추론유형과 정서표현규칙의 이해에 대한 실험면접을 실시하였다. Pair t 검증과 반복측정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상황 즉, 정서의 종류(긍정정서와 부정정서)와 관계의 대상(어른과 또래)에 따라 정서표현규칙의 이해는 그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이야기 상황에 따라 유아의 정서표현규칙이해에 대한 의도추론유형과 성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바, 긍정정서-어른이야기, 부정정서-어른이야기, 긍정정서-또래이야기라는 이야기상황에서는 의도추론유형의 주효과만 유의하였으나, 부정정서-또래이야기라는 이야기 상황에 대해서는 의도추론유형과 성의 상호작용효과도 함께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that appeared in the episodes in understandings of the emotional display rules according to the types of emotions and subjects for expressing emotions.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s of intention reasoning types and gender on childr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유아와 라포 형성을 위한 인사와 연구방법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한 후, 유아에게 표정 그림을 보여주고 표정을 구분해 보도록 하였다. 그리고 문항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유아가 응답하게 하여 이야기와 질문 유형에 대해 익숙해지도록 하였다. 만일 유아가 이야기 내용을 잘못 이해하거나 질문을 하는 경우에는 다시 이야기를 들려주고 유아가 이해했는지 확인한 후 다음 질문으로 진행하였다.
  • 정서표현규칙 이해의 발달에 관련된 상황요인은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유아가 부딪히게 되는 정서의 종류와 정서를 느끼는 대상의 두 가지 요인이 있다. 나아가 정서표현규칙 이해의 발달에 관련된 유아 내부의 요인으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성, 그리고 정서표현의 의도를 추론하는 유아의 인지적 성향, 두가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정서표현규칙에 대한 이해에 대한 성의 효과를 살펴본 선행연구에 의하면, Saarni(1984)는 여자아이들이 정서표현규칙의 이행에서 뛰어나다고 제시한 반면, 성별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연구(Jones, Abbey, &Cumberland, 1998)와 어느 정도 실제정서와 표현규칙이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는 경우 성차를 고려하지 않았던 연구(Gardner, Harris, Ohmoto, & Hamazaki, 1988; Harris et al.
  • 또한 선행연구의 결과 성에 따른 차이들이 일관성이 없는 것은 이야기 상황마다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상황과 성에 따른 정서표현규칙의 이해 정도를 살펴보고 나아가 정서표현규칙 이해와 의도추론 유형의 관계가 성에 따라 다른지 상호작용 효과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유아기 정서발달과 정서적 인지능력의 발달을 확인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교사가 유아를 지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표현규칙 이해의 발달에 관련된 상황요인을 유아에게 이야기 상황으로 제시하여, 정서의 종류와 정서표현 대상에 따른 유아의 정서표현규칙의 이해정도를 살펴봄에 있어 정서의 종류를 부정정서와 긍정정서로, 정서표현 대상을 성인과 또래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의 결과 성에 따른 차이들이 일관성이 없는 것은 이야기 상황마다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상황과 성에 따른 정서표현규칙의 이해 정도를 살펴보고 나아가 정서표현규칙 이해와 의도추론 유형의 관계가 성에 따라 다른지 상호작용 효과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유아기 정서발달과 정서적 인지능력의 발달을 확인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교사가 유아를 지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이야기 상황에 따른 실제정서의 이해와 정서표현규칙의 이해 및 의도추론 유형의 차이.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표현규칙이란? 정서표현규칙(emotional display rules)은 어떤 정서를 표현해도 되는지 또는 표현하지 말아야 하는지 하는 상황을 명백하게 기술한(Gross & Ballif, 1991) 일련의 사회적 규칙을 말하며, 유아가 정서표현규칙을 이해한다는 것은 실제로 느끼는 내적인 정서 상태와 외적으로 표현하는 정서를 구분하고 그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정서표현규칙은 내적인 감정과 외적인 감정표현 사이의 부조화를 인정하는 개념이며, 이러한 정서표현규칙을 이해하는 것은 아동이 원만한 대인관계를 이루고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유아의 정서표현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유아는 가족과의 관계에서나 또래와의 관계에서 등 다양한 상황에서 정서를 느낄 수 있으며, 가족 내에서의 정서표현은 정서조절 및 표출규칙에 대한 학습상황을 제공한다(이양순, 정영숙, 이기영, 2006). 유아는 다양한 정서를 웃거나, 울거나, 찡그리거나 소리지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만일 친구가 돌부리에 걸려 넘어졌는데 넘어지는 과정이 우스운 상황일 경우 친구 앞에서 웃으면 친구의 감정을 상하게 하는 것이며, 안타까운 표정으로 표현하면 친구를 위로해주는 표현이 된다.
정서표현규칙에 대한 이해가 유아보다 학령기에 주로 발달하는 이유는? 유아는 3세 정도에 이르러야 실제로 느끼는 정서와 다른 정서를 표현할 수 있으며(Kieras, Tobin, Graziano, & Rothbart, 2005), 4세 아동은 정서를 숨기는 작업에서 실제정서와 표현정서 구별이 능숙하지 못하였으며, 6세 아동은 실제정서와 표현정서를 훨씬 더 잘 구분하여 실제정서와 겉으로 표현되는 표현정서 사이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Harris, Donnelly, Guz, & Pitt-Watson, 1986; Joshi & MacLean, 1994). 또한 정서표현규칙에 대한 이해는 좀 더 복잡한 인식능력과 사회적 능력 때문에 학령기에 상당히 발달한다고 보고되기도 하여(Cole, 1986; Cole, Michel, & Teti, 1994; Gnepp & Hess, 1986; Saarni, 1979; Underwood, Coie, & Herbsman, 1992) 정서표현규칙의 발달 시기와 발달의 정도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연구로는 유아를 대상으로 실제정서와 표현규칙이해를 살펴본 연구(김혜리,2000; 장윤정, 신유림, 2006; 이승은, 2011; 심현주, 이순형, 2006)와 초등학생 대상의 연구(한유진, 유안진, 1998; 이미경, 2005; 정임숙, 2008; 한혜원, 2003) 등이 있고 그 외 정서표현규칙에 대한 연구 결과는 많지 않은 실정으로 우리나라 아동에 적합한 정서표현규칙의 이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혜리 (2000). 어린 아동의 실제정서와 표면정서의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1-19. 

  2. 심현주, 이순형 (2006). 유아의 정서표출 여부 결정과 정서표출 동기 추론. 인간발달연구, 13(4), 33-53. 

  3. 이미경 (2005).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표현 규칙에 대한 이해.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이승은 (2011). 유아기 정서표현규칙과 정서인식의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1(4), 121-142. 

  5. 이양순, 정영숙, 이기영 (2006).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1), 41-63. 

  6. 장윤정, 신유림 (2006). 유아의 정서표현 규칙: 유아의 성, 정서표현의도 및 정서상황과의 관련성. 대한가정학회지, 44(5), 49-58. 

  7. 정상녀, 김경숙 (2010). 3세 유아의 기본정서 인식 및 표현에 대한 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15(5), 499-537. 

  8. 정임숙 (2008). 아동기 정서 표현 규칙 이해의 발달과 그 관련 변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한유진, 유안진 (1998). 부모의 정서규제와 아동의 정서표현 규칙 이해. 대한가정학회지, 36(11), 61-72. 

  10. 한혜원(2003). 아동의 정서표현 의도와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Banerjee, M. (1997). Hidden emotions: Preschooler's knowledge of appearance-reality and emotion display rules, Social Cognition, 15(2), 107-132. 

  12. Begeer, S., Banerjee, R., Rieffe, C., Terwogt, M. M., Potharst, E., Stegge, H., & Koot, H. (2011). The understanding and self-reported use of emotional display rule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ognition and Emotion, 25(5), 947-956. 

  13. Carlo, G., Knight, G. P., Eisenberg, N., & Rotenberg, K. J. (1991). Cognitive processes and prosocial behaviors among children: The role of affective attributions and reconcilia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27(3), 456-461. 

  14. Cole, P. M. (1986). Children's spontaneous control of facial expression, Child Development, 57(6), 1309-1321. 

  15. Cole, P. M., & Tamang, B. L. (1998). Nepali children's ideas about emotional displays in hypothetical challenges, Developmental Psychology, 34(4), 640-646. 

  16. Cole, P. M., Michel, M. K., & Teti, L. O. (1994).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A clinical perspective,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73-100. 

  17. Davis, T. (1995). Gender differences in masking negative emotion: Ability or motiv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1(4), 660-667. 

  18. Gardner, D., Harris, P. L., Ohmoto, M., & Hamazaki, T. (1988). Japanese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and apparent emo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1(2), 203-218. 

  19. Gnepp, J., & Hess, D. L. (1986). Children's understanding of verbal and facial display rules, Developmental Psychology, 22(1), 103-108. 

  20. Gopnik, A., & Astington, J. W. (1988). Children's understanding of representational change and its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false belief and the appearance-reality distinction. Child Development, 59(1), 26-37. 

  21. Gosselin, P., Warren, M., & Diotte, M. (2002). Motivation to hide emotion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and apparent emotions,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3(4), 479-495. 

  22. Gross, A., L., & Ballif, B. (1991).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 from facial expressions and situations: A review, Developmental Review, 11(4), 368-398. 

  23. Harris, P. L., Donnelly, K., Guz, G. R., & Pitt-Watson, R. (1986). Children's understanding of distinction between real and apparent emotion, Child Development, 57(4), 895-909. 

  24. Jones, D. C., Abbey, B. B. & Cumberland, A. (1998). The development of display rule knowledge: Linkages with family expressiveness and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69(4), 1209-1222. 

  25. Josephs, I, E. (1994). Display rules behavior and understanding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18(4), 301-326. 

  26. Joshi, M. S., & MacLean, M. (1994). Indian and English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distinction between real and apparent emotion, Child Development, 65(5), 1372-1384. 

  27. Kieras, J. E., Tobin, R. M., Graziano, W. G., & Rothbart, M. K. (2005).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Psychological Science, 16(5), 391-396. 

  28. Matsumoto, D. (1990).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display rules, Motivation and Emotion, 14(3), 195-214. 

  29. Miller, P. J., & Sperry, L. L. (1987). The socialization of anger and aggression, Merrill - Palmer Quarterly, 33(1), 1-31. 

  30. Misailidi, P. (2007). Children's understanding of display rules: The role of second-order intention, Hellenic Journal of Psychology, 4, 36-51. 

  31. Moses, L. J., & Flavell, J. H. (1990). Inferring false beliefs from actions and reactions. Child Development, 61(4), 929-945. 

  32. Naito, M., & Seki, Y.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order false belief and display rules reasoning: The integration of cognitive and affective social understanding, Developmental Science, 12(1), 150-164. 

  33. Novin, S., Banerjee, R., Dadkhah, A., & Rieffe, C. (2009). Self-reported use of emotional display rules in the Netherlands and Iran: Evidence for sociocultural influence, Social Development, 18(2), 397-411. 

  34. Saarni, C. (1979). Children's understanding of display rules for expressive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15(4), 424-429. 

  35. Saarni, C. (1984). An observational study of children's attempts to monitor their expressive behavior, Child Development, 55(4), 1504-1513. 

  36. Underwood, M. K. (1997). Peer social status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on and control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Merrill-Palmer Quarterly, 43(4), 610-634. 

  37. Underwood, M. K., Coie, J. D., & Herbsman, C. R. (1992). Display rules for anger and aggression in school-age children, Child Development, 63(2), 366-380. 

  38. Zeman, J., & Garber, J. (1996). Display rules for anger, sadness, and pain: It depends on who is watching, Child Development, 67(3), 957-9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