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융합시대 빅데이터 인식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for Perception of Big Data in Era of Converg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0, 2015년, pp.305 - 312  

노규성 (선문대학교 경영학과) ,  이주연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의 경우 빅데이터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기관이나 대학이 아직 많지 않은 실정이다. 그 원인은 여러 가지이지만 우선적으로 빅데이터에 관한 융합적 이해 및 인식 부족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교원들의 빅데이터에 관한 인식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대학의 빅데이터 인력 양성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조사 결과, 빅데이터에 관한 다소간의 이해에도 불구하고 빅데이터의 영향은 그리 크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빅데이터에 관한 연구 및 교육 의향도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당분간 빅데이터 인력 양성이 쉽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중요한 정책의 한 축으로 고려하고 있는 정부 3.0의 정책 기조에 맞게 대학의 빅데이터 인력 양성 정책에 보다 심혈을 기울려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to educate and train Bigdata manpower are not yet much. There are various causes, but major cause among them is lack of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n Bigdat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ituation regarding the recognition on Bigdata of univers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 교원의 빅데이터에 관한 이해와 관련 영향 인식 정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부족한 빅데이터 인력의 조기 양성을 위한 방향 설정에 기여하고자 하는 연구 목적을 가지고 이루어졌다. 그러나 전체적인 조사결과 빅데이터에 관한 다소간의 이해에도 불구하고 빅데이터의 영향에 대해서는 그리 크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연구 및 교육 의향도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당분간 빅데이터 인력 양성이 쉽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 본 연구는 전국 주요 대학 교원들의 빅데이터 관련 제반 인식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빅데이터 교육 방향 설정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 교원들을 대상으로 조사된 빅데이터에 대한 이해 정도, 빅데이터의 사회적 영향, 빅데이터가 전공에 미치는 영향, 빅데이터에 대한 연구(교육) 의향, 빅데이터 관련 강좌 개설계획 여부 등에 대한 자료 기반의 분석은 소속 대학 지역간(서울,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전공간(인문계, 사회계, 자연계, 이공계) 차이에 대한 분석 등 두 가지로 나누어 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 교원들의 빅데이터에 관한 인식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근간으로 대학의 빅데이터 인력양성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학 교원들의 빅데이터에 관한 이해도와 영향에 관한 인식 차이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빅데이터에 대한 인력양성 기반 형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 교원들의 빅데이터에 관한 인식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근간으로 대학의 빅데이터 인력양성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학 교원들의 빅데이터에 관한 이해도와 영향에 관한 인식 차이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빅데이터에 대한 인력양성 기반 형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0: 교원의 전공별로 빅데이터 관련 강좌 개설(계획)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1: 교원의 소속대학 지역별로 빅데이터의 이해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교원의 전공별로 빅데이터의 이해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교원의 소속대학 지역별로 빅데이터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인식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4: 교원의 전공별로 빅데이터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인식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5: 교원의 소속대학 지역별로 빅데이터의 해당전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6: 교원의 전공별로 빅데이터의 해당 전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7: 교원의 소속대학 지역별로 빅데이터 연구(교육) 의향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8: 교원의 전공별로 빅데이터 연구(교육) 의향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9: 교원의 소속대학 지역별로 빅데이터 관련 강좌 개설(계획)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
  • 015이다. 이는 유의확률 0.05보다 작기 때문에 가설 1(교원의 소속대학 지역별로 빅데이터의 이해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은 수락된다.
  • 025이다. 이는 유의확률 0.05보다 작기 때문에 가설 2(교원의 전공별로 빅데이터의 이해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수락된다.
  • 530이다. 이는 유의확률 0.05보다 크기 때문에 가설 3(교원의 소속대학 지역별로 빅데이터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인식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은 기각된다.
  • 452이다. 이는 유의확률 0.05보다 크기 때문에 가설 4(교원의 전공별로 빅데이터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인식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기각된다.
  • 267이다. 이는 유의확률 0.05보다 크기 때문에 가설 5(교원의 소속대학 지역별로 빅데이터의 해당 전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기각된다.
  • 736이다. 이는 유의확률 0.05보다 크기 때문에 가설 6(교원의 전공별로 빅데이터의 해당 전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은 기각된다.
  • 759이다. 이는 유의확률 0.05보다 크기 때문에 가설 7(교원의 소속대학 지역별로 빅데이터 연구(강의) 의향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은 기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빅데이터는 무엇인가? 원래 ‘빅데이터’란 기존의 관리 및 분석체계로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거대한 데이터의 집합을 지칭한다[5].사실 과거에는 빅데이터를 천문‚항공‚우주정보‚인간게놈정보 등 특수 분야에 한정하였으나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분야로 확산되었다.
에릭 슈미트에 의하면 2003년까지 인류가 쌓아 올린 데이터의 양은 어느정도인가? 데이터의 규모나 데이터 처리기술을 포함하고 있는 빅데이터의 개념은 사실 방대한 데이터의 생성으로부터 출발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1]. 에릭 슈미트(구글의 전 CEO)에 의하면, 2003년까지 인류가 쌓아 올린 데이터는 5엑사바이트 수준이다. 그런데 이제는 단 하루 만에 그 정도 분량의 데이터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빅데이터에 대한 연구는 무엇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가? 빅데이터가 중요한 트렌드를 형성하면서 이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분석 보고서가 출현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언급한 바와 같이, 가치, 개념 정의, 방법론과 추진전략, 사례 분석 등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12,13,14]. 반면 빅데이터의 인식이나 영향 요인 등을 토대로 하는 연구나 빅데이터 인력 양성을 위한 기반 연구는 아직 미미한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ansik Ryu, Issues and Prospect of Big data Business, Issue & Trend, 2012. 

  2.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Big data Analystics for Business, Gwangmungak, 2014. 

  3. McKinsey Global Institute,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McKinsey & Company, 2011. 

  4. Min-Jeong Song, Business Future Loadmap Made by Big data, Hansmedia, Korea, 2012. 

  5. Gartner,'Hyper Cycle for Analytic Applications', 2011. 

  6. Economist, 'The Data Deluge', 2010. 

  7.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Bigdata Curriculum Reference Model Ver 1.0, 2014. 

  8. Kyoo-Sung Noh, Activation Program of Education about 'Big Data Analytics for Business', Proceedings of the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p. 25, 2015. 

  9. Kyoo-Sung Noh, A Study on Innovative Model for Communication System of Political Parties in Korea by using Big Data, IJACT(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ments Computing Technology) 5(12), 2013. 

  10. Kyoo-Sung Noh, Sanghwi Park, An Exploratory Study on Application Plan of Big Data to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 2014. 

  11. Kyoo-Sung Noh, A Study on Utilization Strategy of Big Data for Local Administration by Analyzing Ca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 2014. 

  12.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Big Data Trend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2012. 

  13.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Use Cases of Data Mining Software in American universities, Global Trends of Smart Education No. 1, 2012. 

  14. Iljoo Na, Cheolil Lim, Youngwhan Cho, A Study on the Learning Analysis Model and Expansion Plans,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15. 

  15. Kyoo-Sung Noh, Seong Taek Park, Kyung-Hye Park, Convergence Study on Big Data Competency Reference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3), 55-63, 2015. 

  16. Kyoo-Sung Noh, Smart Learning Strategies utilizing Convergence of e-Learning and Bigdat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 487-493,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