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의 in vitro 항산화 효과 및 RAW 264.7 대식세포에서의 항염증 효과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and Sequential Fractions of Flowers of Prunus persica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0, 2015년, pp.1439 - 1449  

곽충실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 ,  최혜인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복숭아꽃을 차로 마셔왔으며 피부 부스럼 등의 치료에 이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복숭아꽃 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와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복숭아꽃을 건조시킨 다음 에탄올 추출 농축액(EtOH)을 얻었고, 이로부터 다시 hexane(Hx), dichloromethane(DM), ethyl acetate(EA), n-butanol(BtOH) 및 water(DW) 순으로 순차적 용매 분획을 시행하여 획득한 각 농축액에서 총 페놀화합물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고, LPS를 처리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이들 추출물들이 NO, PGE2, IL-6, TNF-${\alph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총 페놀화합물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A 분획(394.6 mg TA/g, 253.7 mg RT/g)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이 BtOH 분획(128.3 mg TA/g, 93.1 mg RT/g), DM 분획(79.5 mg TA/g, 52.9 mg RT/g), EtOH 추출물(78.1 mg TA/g, 55.3 mg RT/g) 순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EA> BtOH${\geq}$ EtOH> DM=DW> Hx 순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A> BtOH> EtOH=DM> Hx=DW 분획 순으로 항산화 효과는 EA, BtOH 분획이 가장 우수하였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DPPH 라디칼 소거능($IC_{50}$)(r=-0.6081, P<0.01), ABTS 라디칼 소거능(r=0.9683, P<0.001)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IC_{50}$)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r=-0.7172, P<0.001)를 나타내었다. LPS를 처리한 대식세포에 각 추출시료를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로 처리한 결과 EtOH 추출물과 Hx, DM, EA 분획이 NO 생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P<0.05), EtOH 추출물과 DM, EA 분획이 PGE2 생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5).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와 TNF-${\alpha}$ 생성은 EtOH 추출물과 Hx, DM, EA, BtOH 분획 모두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05). 더 나아가 LPS를 처리한 대식세포에서 복숭아꽃 EtOH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iNOS와 COX-2의 합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주요한 염증 매개물질인 NO와 PGE2의 생성이 억제되는 기전을 제시하였다. 한편 대식세포에서 분비된 아질산염의 농도는 TNF-${\alpha}$ 농도(r=0.6477, P<0.05) 및 PGE2 농도(r=0.6377, P<0.05)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아질산염, PGE2, IL-6 농도는 총 페놀화합물 함량이나 항산화 효과 지표들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TNF-${\alpha}$ 농도만 총 페놀화합물 함량(r=0.6524, P<0.05), 플라보노이드 함량(r=0.6914, P<0.05), DPPH 라디칼 소거능($IC_{50}$)(r=-0.6839, P<0.05), ABTS 라디칼 소거능(r=0.7921, P<0.01)과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염증반응의 매개물질인 PGE2 및 IL-6 농도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그로부터 얻은 분획물 중에서 특히 EA와 BtOH 분획은 항산화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고, DM과 EA 분획은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을 비롯한 이들 분획물들은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반응의 상승과 관련되어 있는 만성질환을 예방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의 개발을 위한 천연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unus persica Flos (PPF) were investigated for thei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o find a natural functional food resource preventing degenerative diseases associated with excessive oxidative stress and chronic inflammation. PPF was extracted using ethanol (EtOH) and then sequen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O는 백혈구가 염증 부위로 이동하는 초기단계에 많은 역할을 하는 반면, PGE2는 발열과 통증이 나타나는 후반부에 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33,34). COX-2의 작용과정은 여러 염증반응 경로의 후반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경로이기 때문에 급성적이든 만성적이든 대부분의 항염증 약물개발 과정에서는 COX-2를 선택적으로 억제함으로써 PGE2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1).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RAW 264.
  • 본 연구의 목적은 복숭아꽃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향후 산화적 스트레스 및 염증반응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만성질병들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보조식품의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을 얻은 후 극성의 정도가 서로 다른 5종의 용매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 추출한 다음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과 항산화 효과를 측정 비교하였고, 염증반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한 상태에서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들이 NO, PGE2, IL-6, TNF-α의 생성 및 iNOS와 COX-2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복숭아꽃을 차로 마셔왔으며 피부 부스럼 등의 치료에 이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복숭아꽃 추출물이 산화적 스트레스와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복숭아꽃을 건조시킨 다음 에탄올 추출 농축액(EtOH)을 얻었고, 이로부터 다시 hexane(Hx), dichloromethane(DM), ethyl acetate (EA), n-butanol(BtOH) 및 water(DW) 순으로 순차적 용매 분획을 시행하여 획득한 각 농축액에서 총 페놀화합물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고, LPS를 처리한 RAW 2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증반응에서 대식세포의 역할은? 염증반응에서 대식세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염증유발물질이나 신호가 세포 내로 유입되면 초기에 대식세포가 빠르게 활성화되어 많은 산화질소와 prostaglandin(PG)E2 및 interleukin(IL)-6, tumor necrosis factor(TNF)-α와 같은 염증성 interleukin과 부착성 물질 등의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염증반응을 가속화시킨다(8). PGE2는 염증 부위에서 혈류의 증가, 부종, 통증을 유발시키는 주된 물질이며, TNF-α는 대표적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염증반응 초기단계에서 IL-1β와 IL-6를 비롯한 다른 사이토카인들의 생성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고, 염증세포를 염증 부위로 불러 모아 통증과 연골의 손상을 촉진시킨다(9)
활성산소는 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활성산소는 세포막 지질의 과산화를 촉진하고 nuclear factor kappa B(NF-κB)를 비롯한 여러 신호전달계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염증반응을 촉진한다(4-6). 염증반응은 광범위한 외부 자극에 대하여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면역 작용 중의 하나이지만 그 정도가 과도하거나 장기화되면 관절염, 천식, 다발성 경화증, 만성장염, 건선 등의 만성적 염증질환을 유발하게 된다(7).
복숭아꽃에는 어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가? 또한 Heo 등(16)은 동물실험 결과 복숭아꽃 에탄올 추출물이 자외선 B와 C에 의한 DNA 손상과 피부종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는데 그것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 때문이라 하였고, Li와 Wang(3)도 복숭아꽃 메탄올 추출물이 라디칼에 의해 유도되는 DNA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복숭아꽃에는 플라보노이드에 속하는 kaempferol과 그 배당체, albamyricetin 등의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고, kaempferol의 경우 지질과산화와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 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3,10). 최근 Lee와 An(17)은 복숭아꽃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얻은 여러 분획 중 일부가 LPS를 처리한 RAW 26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Lodovici M, Guglielmi F, Meoni M, Dolara P. 2001. Effect of natural phenolic acids on DNA oxidation in vitro. Food Chem Toxicol 39: 1205-1210. 

  2. Kim SH, Choi JH, Oh HT, Chung MJ, Cui CB, Ham SS. 2008. Cytoprotective effect of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thyl acetate fraction in human HepG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96-701. 

  3. Li C, Wang MH. 2011. Antioxidant activity of peach blossom extracts. J Korean Soc Apple Biol Chem 54: 46-53. 

  4. Bak MJ, Jeong JH, Kang HS, Jin KS, Ok S, Jeong WS. 2009. Cedrela sinensis leaves suppress oxidative stress and expressions of iNOS and COX-2 via MAPK signaling pathways in RAW 264.7 cells. J Food Sci Nutr 14: 269-276. 

  5. Zhang R, Brennan ML, Shen Z, MacPherson JC, Schmitt D, Molenda CE, Hazen SL. 2002. Myeloperoxidase functions as a major enzymatic catalyst for initiation of lipid peroxidation at sites of inflammation. J Biol Chem 277: 46116-46122. 

  6. Coulibaly AY, Kiendrebeogo M, Kehoe PG, Sombie PA, Lamien CE, Millogo JF, Nacoulma OG. 2011.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coparia dulcis L. J Med Food 14: 1576-1582. 

  7. Guo D, Xu L, Cao X, Guo Y, Ye Y, Chan CO, Mok DK, Yu Z, Chen S. 2011.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mechanisms of action of the petroleum ether fraction of Rosa multiflora Thunb. hips. J Ethnopharmacol 138: 717-722. 

  8. Jung SH, Kim SJ, Jun BG, Lee KT, Hong SP, Oh MS, Jang DS, Choi JH. 2013. ${\alpha} -Cyperone, isolated from the rhizomes of Cyperus rotundus, inhibits LPS-induced COX-2 expression and PGE2 production through the negative regulation of NF ${\kappa}B signalling in RAW 264.7 cells. J Ethnopharmacol 147: 208-214. 

  9. Koh YJ, Cha DS, Ko JS, Park HJ, Choi HD. 2010. Anti-inflammatory effect of Taraxacum officinale leaves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 264.7 cells. J Med Food 13: 870-878. 

  10. Liang YC, Huang YT, Tsai SH, Lin-Shiau SY, Chen CF, Lin JK. 1999. Suppression of inducible cyclooxygenase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by apigenin and related flavonoids in mouse macrophages. Carcinogenesis 20: 1945-1952. 

  11. Shan J, Fu J, Zhao Z, Kong X, Huang H, Luo L, Yin Z. 2009. Chlorogenic acid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RAW264.7 cells through suppressing NF-kappaB and JNK/AP-1 activation. Int Immunopharmacol 9: 1042-1048. 

  12. Lee EJ, Kim C, Kim JY, Kim SM, Nam D, Jang HJ, Kim SH, Shim BS, Ahn KS, Choi SH, Jung SH, Ahn KS. 2012. Inhibition of LPS-induced inflammatory biomarkers by ethylacetate fraction of Patrinia scabiosaefolia through suppression of NF- ${\kappa}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34: 282-291. 

  13. Lee AK, Sung SH, Kim YC, Kim SG. 2003. Inhibition of lipopolysaccharide-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TNF- ${\alpha}$ and COX-2 expression by auchinone effects on I- ${\kappa}B{\alpha}$ phosphorylation, C/EBP and AP-1 activation. Br J Pharmacol 139: 11-20. 

  14. Lee JY, An BJ. 2010.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runus persicae Flos. J Appl Biol Chem 53: 162-169. 

  15. Han W, Xu JD, Wei FX, Zheng YD, Ma JZ, Xu XD, Wei ZG, Wang W, Zhang YC. 2015. Prokinetic activity of Prunus persica (L.) batsch flowers extract and its possible mechanism of action in rats. Biomed Res Int 2015: 569853. 

  16. Heo MY, Kim SH, Yang HE, Lee SH, Jo BK, Kim HP. 2001. Protection against ultraviolet B- and C-induced DNA damage and skin carcinogenesis by the flowers of Prunus persica extract. Mutat Res 496: 47-59. 

  17. Lee JY, An BJ. 2012.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ractions from Pruni persicae Flos. Kor J Herbology 27: 55-63. 

  18.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19. Chae SK, Kang GS, Ma SJ, Bang KW, Oh MW, Oh SH. 2002. Standard food analysis. Jigu-moonwha Sa, Seoul, Korea. p 381-382. 

  20. Senba Y, Nishishita T, Saito K, Yoshioka H, Yoshioka H. 1999. Stopped-flow and spectrophotometric study on radical scavenging by tea catechins and model compound. Chem Pharm Bull 47: 1369-1374. 

  21.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2.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23. Green LC, Wagner DA, Glogowski J, Skipper PL, Wishnok JS, Tannenbaum SR. 1982.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 $^{15}N$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26: 131-138. 

  24.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0-254. 

  25. Rice-Evans C, Miller N,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26. Nakayama T, Niimi T, Osawa T, Kawakishi S. 1992. The protective role of polyphenols in cytotoxicity of hydrogen peroxide. Mutat Res 281: 77-80. 

  27. Toda M, Okubo S, Hiyoshi R, Shimamura T. 1989.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tea and coffee. Lett Appl Microbiol 8: 123-125. 

  28. Middletone E Jr, Kandaswami CC.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 115-119. 

  29. Lee S, You Y, Kim K, Park J, Jeong C, Jhon DY, Jun W. 2012. Antioxidant activities of native Gwangyang Rubus coreanus Muq.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327-332. 

  30. Epe B, Ballmaier D, Roussyn I, Briviba K, Sies H. 1996. DNA damage by peroxynitrite characterized with DNA repair enzymes. Nucleic Acids Res 24: 4105-4110. 

  31. Bogdan C. 2001. Nitric oxide and the immune response. Nat Immunol 2: 907-916. 

  32. Guo JY, Huo HR, Yang YX, Li CH, Liu HB, Zhao BS, Li LF, Ma YY, Guo SY, Jiang TL. 2006. 2-Methoxycinnamaldehyde reduces IL- $1{\beta}$ -induced prostaglandin production in rat cerebral endothelial cells. Biol Pharm Bull 29: 2214-2221. 

  33. Chang ST, Wu JH, Wang SY, Kang PL, Yang NS, Shyur LF.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cacia confusa bark and heartwood. J Agric Food Chem 49: 3420-3424. 

  34. Monzon ME, Casalino-Matsuda SM, Forteza RM. 2006. Identification of glycosaminoglycans in human airway secretions. Am J Respir Cell Mol Biol 34: 135-141. 

  35. Guha M, Mackman N. 2001. LPS induction of gene expression in human monocytes. Cell Signal 13: 85-94. 

  36. Kim YS, Lee SJ, Hwang JW, Kim EH, Park PJ, Jeong JH. 2012.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Ligustrum ovalifolium H. leaves on RAW264.7 macroph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05-1210. 

  37. Botting RM. 2006. Inhibitors of cyclooxygenases: mechanisms, selectivity and uses. J Physiol Pharmacol S5: 113-124. 

  38. Bekir J, Mars M, Souchard JP, Bouajila J. 2013. Assessment of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cholinesterase and cytotoxic activities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eaves. Food Chem Toxicol 55: 470-475. 

  39. Kwak CS, Lee KJ, Chang JH, Park JH, Cho JH, Park JH, Kim KM, Lee MS. 2013. In vitro antioxidant, anti-allerg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sweet potato leaves and stal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369-3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