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박잎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항산화 활성 및 저장 기간에 따른 노화 억제 효과
Effects of Pumpkin (Cucurbita moschata Duch.) Leaf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ies, and Retarding Retrogradation by Shelf-Life of Sulgidduck (Rice Cak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12, 2016년, pp.1792 - 1798  

송가영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현빈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양양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기영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영순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멥쌀가루를 이용하여 한국의 전통 떡인 설기떡을 제조한 후, 멥쌀가루의 0%, 1%, 2%, 3% 및 4% 비율의 호박잎 분말을 첨가하여 설기떡의 품질 특성, 항산화 특성 및 노화 억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호박잎 설기떡의 수분 함량은 대조군(39.18%)과 비교하여 호박잎 분말 1%와 2% 첨가군에서 증가하였다가 3% 첨가군과 4% 첨가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는 호박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4.50~6.16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색도의 경우 호박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호박잎 설기떡에서 경도는 대조군이 $207.50g/cm^2$, 호박잎 분말 1% 첨가군에서 $186.10g/cm^2$로 감소하였다가 2~4%에서 $225.77{\sim}249.70g/cm^2$로 다시 증가하였다. 탄력성은 81.72~88.02%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씹힘성과 부착성은 호박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호박잎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노화도 분석은 호박잎 분말 첨가군이 대조군(7.47)에 비해 높은 시간상수 값으로 노화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으며, 호박잎 분말 첨가군 중 2% 첨가군이 낮은 Avrami 지수 값으로 호박잎 첨가군 중 노화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총 페놀화합물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호박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7점 척도법을 이용한 소비자 기호도 조사 결과 색, 향, 촉촉함, 단맛, 씹힘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호박잎 분말 2% 첨가군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낸 반면, 4% 첨가군은 다른 시료들에 비해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호박잎 분말의 첨가는 설기떡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저장성을 고려한 노화 억제 효과를 위해서는 2%의 호박잎 분말의 첨가가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ies, and retarding retrogradation of Sulgidduck, traditional rice cake of Korea, prepared using rice flour added with 0%, 1%, 2%, 3%, and 4% pumpkin leaf powder. Moisture content of pumpkin leaf Sulgidduck showed a tendency to inc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련 선행 연구로는 깻잎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5), 연잎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6), 산수유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4), 감귤과피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7), 강황분말 설기떡의 품질 특성(8), 부추가루 첨가 설기떡의 저장기간 중품질 특성(9), 설기떡 품질 향상을 위한 부재료 첨가의 효과 (10)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량의 식이섬유와 항산화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호박잎 분말을 첨가하여 설기떡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 항산화 활성 및 노화 억제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멥쌀가루를 이용하여 한국의 전통 떡인 설기 떡을 제조한 후, 멥쌀가루의 0%, 1%, 2%, 3% 및 4% 비율의 호박잎 분말을 첨가하여 설기떡의 품질 특성, 항산화 특성및 노화 억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The data are mean±SD in triplicat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기떡에 호박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 할 수록 총 페놀화합물 및 ABTS는 어떤 경향을 나타내는가? 47)에 비해 높은 시간상수 값으로 노화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으며, 호박잎 분말 첨가군 중 2% 첨가군이 낮은 Avrami 지수 값으로 호박잎 첨가군 중 노화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총 페놀화합물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호박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7점 척도법을 이용한 소비자 기호도 조사 결과 색, 향, 촉촉함, 단맛, 씹힘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호박잎 분말 2% 첨가군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낸 반면, 4% 첨가군은 다른 시료들에 비해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호박이란 어떤 식물인가? 호박(Cucurbita moschata Duch.)은 박과에 속하는 일년생 덩굴성 식물로 크게 동양계 호박, 서양계 호박, 페포계 호박 등으로 구분된다(1). 열대 아메리카 지역과 한국, 일본, 중국 등의 동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호박은 애호박, 풋호박, 늙은 호박 등이 속하는 동양계 호박이다(2).
호박잎이 가지고 있는 이로운 성분과 효능은 무엇이 있는가? 열대 아메리카 지역과 한국, 일본, 중국 등의 동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호박은 애호박, 풋호박, 늙은 호박 등이 속하는 동양계 호박이다(2). 호박은 늑간신경통, 화상, 당뇨병, 야맹증, 각막건조증, 요충, 회충 감염증 등에 효과적이며, 특히 우리나라에서 빈번히 식용되고 있는 호박잎은 칼슘 함량과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라디칼 소거 활성, 환원력, tyrosinase 활성 저해능 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호박잎에 대한 주요 선행 연구로는 항산화 및 항암 효과에 대한 연구로 호박잎을 이용한 식품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70 2013 10.9721/KJFST.2013.45.6.770 

  2. J Soc Korean Med Obesit Res 9 57 2009 

  3. Food Eng Prog 17 105 2013 10.13050/foodengprog.2013.17.2.105 

  4. Korean J Culinary Res 16 299 2010 

  5. Korean J Food Cook Sci 23 433 2007 

  6.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93 2011 10.3746/jkfn.2011.40.7.993 

  7. Korean J Culinary Res 17 184 2011 

  8. J East Asian Diet Life 17 827 2007 

  9. Korean J Diet Cult 16 399 2001 

  10. Korean J Food Nutr 25 1008 2012 10.9799/ksfan.2012.25.4.1008 

  11. Korean J Food Nutr 21 436 2008 

  12. Eur Food Res Technol 212 364 2001 10.1007/s002170000218 

  13. J Sep Sci 34 1925 2011 10.1002/jssc.201100361 

  14. Korean J Culinary Res 20 125 2014 

  15. Korean J Food Cook Sci 27 763 2011 10.9724/kfcs.2011.27.6.763 

  16. Korean J Culinary Res 16 104 2010 

  17. Korean J Food Cook Sci 21 110 2005 

  18. Korean Food Cook Sci 30 119 2014 10.9724/kfcs.2014.30.2.119 

  19.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2 257 2011 10.7856/kjcls.2011.22.2.257 

  20. Fam Environ Res 53 17 2015 10.6115/fer.2015.002 

  21. Korean J Food Nutr 23 39 2010 

  22.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88 1994 

  23. Korean J Food Cook Sci 29 453 2013 10.9724/kfcs.2013.29.5.453 

  24. Korean J Food Cook Sci 31 335 2015 10.9724/kfcs.2015.31.3.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