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팝업 스토어의 연도별 변화 추이 및 유형 특성 -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types and annual trends of pop-up fashion stores - Focused on domestic cases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3 no.5, 2015년, pp.822 - 834  

유지헌 (상명대학교 의류학과) ,  최도리 (상명대학교 대학원 생활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temporary fashion companies have been planning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promote brands and products more effectively for satisfying consumers' increasingly diversified needs. For this reason, retail spaces have continued to evolve and the modern concept of pop-up stores appeared through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팝업 스토어에 대한 개념 및 유래를 고찰하고, 국내 패션 팝업 스토어의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여 운영 형태와 목적을 분석한 후, 그 유형을 분류 시도해 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에서 운영된 팝업 스토어의 횡적 변화 추이를 파악해 봄으로써 앞으로 패션기업들이 팝업 스토어를 패션마케팅 전략의 수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며, 패션 팝업 스토어에대한 학문적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팝업 스토어에 대한 개념 및 유래를 고찰하고, 국내 패션 팝업 스토어의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여 운영 형태와 목적을 분석한 후, 그 유형을 분류 시도해 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에서 운영된 팝업 스토어의 횡적 변화 추이를 파악해 봄으로써 앞으로 패션기업들이 팝업 스토어를 패션마케팅 전략의 수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며, 패션 팝업 스토어에대한 학문적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오늘날 패션 시장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국내 팝업 스토어 사례 분석을 통해 운영 주체별 분류와 패션존 현황 및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내 전개 패션 팝업 스토어의 유형을 도출하고, 공간 형태 및 운영 목적에 따른 팝업스토어의 변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팝업 스토어를 이용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인 국내 패션 팝업 스토어의 유형 및 특성을 운영 주체, 패션존, 매장 형태 및 운영 목적에 따라 분류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브랜드‘푸마’는 샵, 카페 그리고 2개의 테라스와 사무실로 구성된 화물차 매장으로 전 세계를 돌았는데, 이를 통해 그들은 방문객에게 브랜드를 통해 가질 수 있는 최대 경험을 전달하고자 하였다(Surchi, 20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 기업들이 차별화된 감성과 체험을 전략으로 제공하는 이유는? 이런 변화는 패션을 소비함에 있어서도 다르지 않다. 국․내외적으로 패션 브랜드가 급증하면서 제품의 질, 가격, 디자인 등 제품이 가진 특성만으로는 수많은 패션 브랜드 사이에서 경쟁력을 갖기가 힘들어졌다. 이 때문에 패션 기업들은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감성과 체험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브랜드와 제품을 홍보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소비자의 욕구에 대한 최근 추세는? 과거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소비자의 욕구는 매우 다차원적으로 변해왔다. 단순히 필요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쇼핑하던 이전과는 달리, 쇼핑하는 것 자체를 즐기게 되면서, 더 이상 쇼핑이 어떤 목적을 위한 수단인 것이 아니라, 쇼핑 자체가 목적이 되었고, 쇼핑을 통해 느끼는 감성과 체험을 중요시하는 분위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런 변화는 패션을 소비함에 있어서도 다르지 않다.
팝업 스토어에 대한 학문적인 접근이 부족한 이유는? 그러나 팝업 스토어의 개념이 등장한 지 불과 10년 남짓 되었고, 특히 국내 패션 브랜드에서 팝업 스토어를 마케팅 도구로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더욱이 오래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패션기업에서도 타국의 팝업 스토어 운영 형태를 외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한 상태이기 때문에, 팝업 스토어에 대한 정의와 설립 목적, 대상, 설립 위치 그리고 설립 방법뿐만 아니라, 그 유형 분류가 학문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uman, Z., & Favaro, S. (2010). Liquid times: Living in an age of uncertainty. Cambridge: Polity Press. 

  2. Chae, H. J., Choi, H. Y., Jang, J. H., & Ko, E. J. (2012). The influence of pop-up store attributions toward brand attitude and revisiting intention: Focus on sports brand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4(3), 400-412. doi:10.5805/KSCI.2012.14.3.400 

  3. Jang, S. Y. (2012, March 8). 美온라인 시장의 새로운 키워드 'F 커머스와 팝업 스토어' [USA, The new keyword in online market 'F Commerce and Pop-up Store']. KOTRA, Retrieved December 20, 2014, from http://www.globalwindow.org/gw/overmarket/GWOMAL020M.html?BBS_ID10&MENU_CDM10103&UPPER_MENU_CDM10102&MENU_STEP3&ARTICLE_ID2148049&ARTICLE_SE20302 

  4. Kim, H. J., & Lee, J. K. (2012).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p-up store applied experiential marketing.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7(1), 77-86. 

  5. Kim, J. S. (2010). The influence of pop-up store experiences on brand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6. Kim, S. Y. (2010). Classifications of Korean fashion multi-brand stores and their strategic direc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7. Kim, S. Y., & Kim, C. S. (2011). Comparison of feel/ sense and purchase behavior among NIKE, PUMA, and KUHO POP-UP store visitor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6), 1288-1301. 

  8. Kim, Y. K., & Kim, Y. I. (2013). Analysis of VMD characteristic of department pop-up store: Focus on Seoul, Busan, Daegu and Osaka. Korea Science & Art Forum, 14, 77-90. 

  9. Lim, K. R. (2012, November 16). 유통가에 오디션 바람 [The fever of auditions in the distribution markets]. Apparel News, Retrieved December 31, 2014, from http://www.apparelnews.co.kr/naver/view.php?iid44699 

  10. Lisanti, T. (2014, December). Pop-ups reflect retail trends. License! Global 17(6), 7. 

  11. Marciniak, R., & Budnarowska, C. (2009, July). Marketing approaches to pop up stores: An exploration of social networking. Paper presented at the 15th Conference of the European Association of Education and Research in Commercial Distribution (EAERCD), Guildford, Surrey, England. Retrieved July 15, 2015, from http://eprints.bournemouth.ac.uk/15678/2/EAERCD_2009_Marciniak_%26_Budnarowska.pdf 

  12. Nam, S. G. (2010, February 22). 현대백화점, 프런코 팝업스토어 연다! [Hyundai Department Store will open the pop-up store of the TV show, Project runway Korea]. bntnews, Retrieved December 31, 2014, from 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2&c102&c202&c300&nkey201002221440193&modesub_view 

  13. Niehm, L. S., Fiore, A. M., Jeong, M. Y., & Kim, H. J. (2006). Pop-up retail's acceptability as an innovative business strategy and enhancer of the consumer shopping experience. Journal of Shopping Center Research, 13(2), 1-30. 

  14. Picot-Coupey, K. (2014). The pop-up store as a foreign operation mode (FOM) for retailer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42(7), 643-670. doi:10.1108/IJRDM-01-2013-0032 

  15. Shin, J. S. (2013). Brand identity strategy with space marketing methodology: Focusing on the pop-up sto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6. Sim, J. S. (2011, July 5). A new Message of Brownbreath. Retrieved December 31, 2014, from https://www.musinsa.com/?mmagazine&bidmagazine&catFASHION_NEWS&p10&uid1761&brand&scopt&init 

  17. Subvertising. (2009, September). Temporary stores and guerrilla stores (in Italian). 21, p.16. 

  18. Surchi, M. (2011). The temporary store: A new marketing tool for fashion brand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5(2), 257-2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