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위험만삭아의 생후 초기 체중변이
Weight Variation in Term Newborns Hospitalized during Early Postnatal Period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4, 2015년, pp.339 - 346  

안영미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남희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영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곽미영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weight variations in high-risk term newborns hospitalized during the early postnatal period. Methods: A retrospective explorative study was performed with 64 term newborns who were hospitalized in the NICU after birth. Data on daily weight, birth in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위험만삭아를 대상으로 생후 초기 일일 체중변화를 측정하고 체중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재태기간과 치료적 처치와 관련된 내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더라도 40주에 가까운 만삭아일수록 생후 초기 적절한 체중증가를 보였지만, 37-39주 만삭아의 경우에 체중감소의 정도는 작지만 생후 2주 동안 체중감소가 지속되었다.
  • 본 연구는 고위험만삭아의 일일체중값 및 임상특성을 조사하여 생후 초기체중변화 양상을 분석한 종적 탐색연구이다. 표적모집단은 출생 시 재태기간 37-41주의 만삭아 중 태변흡인, 수유장애, 황달 등의 문제로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만삭아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만삭아로 출생하였으나, 병리문제로 인해 신생아집중치료실(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에 입원 중인 고위험만삭아를 대상으로 생후 초기 일일 체중변화를 측정하고 이들 체중변이 패턴이 재태기간과 같은 영아 특성과 치료적 처치와 같은 임상요인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기의 특징은? 신생아기는 삶의 주기 중 유병률과 사망률이 가장 높은 시기로 건강유지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건강한 만삭아는 출생 후 세포외액의 소실, 태변 배출, 수유 양 부족 등으로 인해 최대 10% 정도의 생리적 체중감소를 경험하며 대개 7-10일 내에 다시 출생체중을 회복하여[1,2], 생후 한 달경에 출생체중의 약 30%의 체중증가를 보인다[2].
건강한 만삭아의 발달과정은? 신생아기는 삶의 주기 중 유병률과 사망률이 가장 높은 시기로 건강유지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건강한 만삭아는 출생 후 세포외액의 소실, 태변 배출, 수유 양 부족 등으로 인해 최대 10% 정도의 생리적 체중감소를 경험하며 대개 7-10일 내에 다시 출생체중을 회복하여[1,2], 생후 한 달경에 출생체중의 약 30%의 체중증가를 보인다[2]. 미숙아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체내수분율에 비해 미성숙한 신체대사와 수분전해질불균형, 흡수장애 등으로 생후 초기 체중감소의 폭이 크며 이를 회복하는 시기 역시 더 오래 걸리고[3,4] 그 정도는 조산 정도에 비례한다[5].
고위험만삭아는 증가 추세를 보이는데 비해 국내 환경의 미흡한 점은? 9%가 7일 이내에 재입원한다는 일 연구보고[6]와 같이 출생 직후 생후 초기 이행 적응에 문제가 있는 고위험만삭아는 증가 추세를 보인다. 특히 국내의 경우 임산부가 쉽게 접근 가능한 지역 산부인과의원의 감소경향에 따라 만삭아라 할지라도 갑작스럽게 고위험요인을 발현하는 경우 시기 적절한 대처가 미흡할 가능성이 크고 이는 곧 고위험만삭아의 증가와 직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생후 초기 체중변화에 대한 연구나 실무는 일반적인 생리적 체중감소와 미숙아의 치료와 관련된 체중변이가 주를 이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cademy of Breastfeeding Medicine Protocol Committee. ABM clinical protocol #3: Hospital guidelines for the use of supplementary feedings in the healthy term breastfed neonate, revised 2009. Breastfeeding Medicine. 2009;4(3):175-182. 

  2. Grossman X, Chaudhuri JH, Feldman-Winter L, Merewood A. Neonatal weight loss at a US baby-friendly hospital. Journal of the Academy Nutrition and Dietetic. 2012;112(3):410-413. http://dx.doi.org/10.1016/j.jada.2011.10.024 

  3. Kim HS, Shin YH. Weight gain study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relation to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1):5-13. 

  4. Steward DK, Pridham KF. Growth patterns of extremely low-birthweight hospitalized preterm infant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2;31(1):57-65. http://dx.doi.org/10.1111/j.1552-6909.2002.tb00023.x 

  5. Ahn Y, Sohn M, Lee S. Growth patterns of premature infants up to 40th term week of corrected 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613-622. http://dx.doi.org/10.4040/jkan.2011.41.5.613 

  6. Choi EJ, Hong SY. Readmission in neonatal period among the normal full-term neonates.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009;20(1):52-59. 

  7. Lee JJ, Park CG, Lee KS. Birth weight distribution by gestational age in Korean population: Using finite mixture model.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5;48(11):1179-1186. 

  8. Schroeder ML, Delaney A, Baker AL. The child with cardiovascular dysfunction. In: Hockenberry MJ, Wilson D, editors. Wong's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9th ed. St. Louise, Missouri: Elsevier; 2012. p. 820-842. 

  9. Ahn Y, Shin E. Assessment of hydration on the stratum corneum and the influencing factors in neona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5):781-789. 

  10. Crossland DS, Richmond S, Hudson M, Smith K, Abu-Harb M. Weight change in the term baby in the first 2 weeks of life. Acta Paediatrica. 2008;97(4):425-429. 

  11. Moyer-Mileur LJ. Anthropometric and laboratory assessment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The most helpful measurements and why. Seminars in Perinatology. 2007;31(2):96-103. http://dx.doi.org/10.1053/j.semperi.2007.02.006 

  12. Moon JS, Lee SY, Nam CM, Choi JM, Choe BK, Seo JW, et al.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Review of developmental process and an outlook.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08;51(1):1-25. http://dx.doi.org/10.3345/kjp.2008.51.1.1 

  13. Takahashi Y, Jonas W, Ransjo-Arvidson AB, Lidfors L, Uvnas Moberg K, Nissen E. Weight loss and low age are associated with intensity of rooting behaviours in newborn infants. Acta Paediatrica. 2015;104(10):1-6. http://dx.doi.org/10.1111/apa.13077 

  14. Miller JR, Flaherman VJ, Schaefer EW, Kuzniewicz MW, Li SX, Walsh EM, et al. Early weight loss nomogs for formula fed newborns. Hospital Pediatrics. 2015;5(5):263-268. http://dx.doi.org/10.1542/hpeds.2014-0143 

  15. Noel-Weiss J, Courant G, Woodend AK. Physiological weight loss in the breastfed neonate: A systematic review. Open Medicine. 2008;2(4):11-22. 

  16. Lee JJ, Kim MH, Ko KO, Kim KA, Kim SM, Kim ER, et al. The study of growth measurements at different gestational ages of Korean newborn the survey and stat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2006;13(1):47-57. 

  17. Oh W, Karecki H. Phototherapy and insensible water loss in the newborn infant. American Journal of Diseases of Children. 1972;124(2):230-232. 

  18. Wu PY, Moosa A. Effect of phototherapy on nitrogen and electrolyte levels and water balance in jaundiced preterm infants. Pediatrics. 1978;61(2):193-198. 

  19. Kjartansson S, Arsan S, Hammarlund K, Sjors G, Sedin G. Water loss from the skin of term and preterm infants nursed under a radiant heater. Pediatric research. 1995;37(2):233-238. 

  20. Choi Y, Seo JK, Hong CE. Fluid therapy in child. 2nd ed.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2005. p. 141-146. 

  21. Yun N, Park JY, Shin SH, Lee J, Kim EK, Kim HS, et al. Withholding enteral feeding and its clinical consequences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during NICU stay.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013;24(4):281-289. http://dx.doi.org/10.14734/kjp.2013.24.4.281 

  22. Kwon KA, Bae MH, Park KH, Byun SY, Cho YH, Kim HY, et al. Analysis of neonatal gastrointestinal disease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or 3 years neonatal GI diseases in a NICU for 3 Yea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2011;18(2):337-344. http://dx.doi.org/10.5385/jksn.2011.18.2.3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