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빛 요법이 갱년기 여성의 수면장애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ight Therapy on Sleep Disturbance and Depression in Climacteric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1 no.3, 2015년, pp.197 - 206  

김윤아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ight therapy on sleep disturbance and depression in climacteric women with menopausal symptom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9, 2013 to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빛 요법은 비침습적이며 부작용이 없이 이해하기 쉽고,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없어 중년여성에게 쉽게 적용할 수 있고, 단기간 내에 효과 측정이 가능하여[17], 갱년기 여성에서 폐경증상으로 인한 수면장애와 우울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보완대체 중재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경 증상이 있는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빛 요법을 적용하여 이들의 수면장애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갱년기 여성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간호중재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빛 요법이 갱년기 여성의 수면장애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폐경증상이 있는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빛 요법을 적용하여 수면장애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시차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이다.
  • 본 연구는 폐경증상이 있는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인공빛 요법과 자연 빛 요법을 적용하여 수면장애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시차 설계로, 부산광역시 소재 여성병원에서 운영하는 갱년기 교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40~60세의 갱년기 여성중 대조군 16명, 인공 빛 요법군 17명, 자연 빛 요법군 17명을 임의 표출하였다.
  • 실험 시작 전, 본 연구에서 사용될 빛에 대한 부작용을 미리 파악하고, 갱년기 여성의 평상시 노출되는 조도를 확인하고자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인공 빛 요법군, 자연 빛 요법군 및 대조군 간의 수면장애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부가설 1-2: 세군 간의 멜라토닌 수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부가설 2-2: 세군 간의 세로토닌 수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가설 2. 인공 빛 요법군, 자연 빛 요법군 및 대조군간의 우울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갱년기 여성의 우울증의 특징은 무엇인가 갱년기에 수면장애가 눈에 띄게 증가하며[3], 이러한 수면장애는 우울증과 큰 연관성이 있다[4]. 갱년기 여성의 우울증은 퇴행기적 우울증으로, 폐경으로 인한 신체적,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로 인한 부정적인 사고의 과정들이 우울을 야기시키며,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가 있는 사람은 자신의 외부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자신의 내부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5]. 그러므로 사소한 신체감각이라도 우울 증상으로 인해 자신이 느끼는 신체적 감각을 더 주의 깊고 심각하게 지각하게 된다[6]. 우리나라에서는 폐경증상으로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여성은 약 80%이지만 이들 중 37%만이 실제로 의사를 찾아 상담하고 있다[7].
폐경과 갱년기를 동시에 경험하는 여성은 어떤 증상을 겪는가 갱년기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나타나지만, 폐경이라는 가시적인 생리현상을 경험하는 여성에게서 그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이 시기에 여러 가지 신체증상을 경험하며, 신체적ㆍ 심리적인 갈등과 여성성의 상실감, 출산능력의 상실 등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1]. 특히 사람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폐경증상으로 인한 수면장애와 우울을 경험한다[2]. 갱년기에 수면장애가 눈에 띄게 증가하며[3], 이러한 수면장애는 우울증과 큰 연관성이 있다[4].
빛 요법은 무엇인가 빛 요법은 자연 햇빛이나 인공 광선을 이용하여 인체의 생리적 변화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빛은 눈의 망막을 지나 대뇌 중추에 영향을 미쳐 신경화학물질과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여 생체리듬에 관여하고, 낮 동안의 빛은 야간의 멜라토닌 분비를 상승시켜 수면 리듬을 조절하고 세로토닌 활성도를 증가시켜 기분을 조절한다[13]. 빛 요법을 이용한 국, 내외 선행연구는 주요 우울장애 대상자들에게 적용하여 대부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4,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HS, Kim YH, Lee YM. A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corresponding to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in the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6;8(1):23-37. 

  2. Jung GH, Suh HS, Kim KG, Hwang IC, Lee KS. Factors which may influ -ence vasomotor symptoms in menopausal and perimenopausal women.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2009; 15(3):164-171. 

  3. Krystal AD. Insomnia in women. Clinical Cornerstone. 2003;5(3):41-50. 

  4. Ohayon MM. Epidemiology of insomnia: What we know and what we still need to learn. Sleep Medicine Review. 2002;6 (2):97-111. 

  5. Lee SS, Choi WH.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tress in Korea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d Health. 2007;11(2):185-196. 

  6. Jung HY, Park JH, Lee SI.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omatizer according to depressive symptoms and sex.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5;43(2):165-171. 

  7. Choi H, Lee HK, Park HM. The Korean menopausal women's attitudes and awareness on menopause: Results of Korean gallup epidemiologic survey on menopause and HRT. Journal of Menopausal Medicine. 2003;9(1):36-43. 

  8. Hays J, Ockene JK, Brunner RL, Kotchen JM, Manson JE, Patterson RE, et al. Effec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3; 348:1839-1854. 

  9. Lonsdorf N. The ageless woman: Natural health and beauty after forty with Maharishi Ayurveda. Ann Arbor: MCD Century Publications; 2004. 

  10. Chlebowski, RT, Anderson GL, Gass M, Lane DS, Aragaki AK, Kuller LH, et al. Estrogen plus progestin and breast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0;304(15):1684-1692. 

  11. Edlund DM. Reiki and its effect on the chakras, as measured by the aura-star imaging device [dissertation]. Connecticut: University of Connecticut; 2003. 

  12. Kim JS, Shin GL. A study on depress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adul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4;34(2):352-361. 

  13. Joo EY. Circadian neurobiology. Journal of Sleep Medicine. 2006;3(1):1-5. 

  14. Jang SH, Kim KH. Effects of self-foot reflexology on stress, fatigue and blood circulation in premenopausal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8;39(5):662-672. 

  15. Lieverse R, Nielen MM, Veltman DJ, Uitdehaag BM, van-Someren EJ, Smit JH, et al. Bright light in elderly subjects with nonseasonal major depressive disorder: A double blind randomised clinical trial using early morning bright blue light comparing dim red light treatment. Biomedical Central. 2008; 9(1):48. 

  16. Friedman L, Zeitzer JM, Kushida C, Zhdanova I, Noda A, Lee T, et al. Scheduled bright light for treatment of insomnia in older adult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9;57 (3):441-452. 

  17. Terman M, Terman JS. Light therapy for seasonal and nonseasonal depression: Efficacy, protocol, safety, and side effects. CNS Spectrums. 2005;10(8):647-663. 

  18. Women's Health Care Study Group. Women's health nursing. 7th ed. Seoul: Soomoonsa; 2012. 

  19. Sarrel PM.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postmenopausal patients. Female Patient. 1995;20:27-32. 

  20. Jo HS, Lee KJ. A comparative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of natural menopausal women and artificial 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31(4):692-702. 

  21. Sukegawa T, Itoga M, Seno H, Miura S, Inagaki T, Saito W, et al. Sleep disturbance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Japan.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2003;57(3):265-270. 

  22. Oh JJ, Song MS, Kim S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3):563-572. 

  2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of mental disorders (DSM-IV). 4th ed. Washington, DC: APA; 1994 

  24. Zung WW.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65;12:63-70. 

  25. Chun SI. Perspective on complimentary alternative medicine for cancer patients.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2004; 1:45-75. 

  26.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Press; 1998. 

  27. Hyun KS. The effect of the DanJeon breathing exercise program applied to health promotion in women in midlif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1;13(3):373-384. 

  28. Snyder M, Lindquist R. Complementary & alternative therapy in nurs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0. 

  29. Golden RN, Gaynes BN, Ekstrom RD, Hamer RM, Jacobsen FM, Suppes T, et al. The efficacy of light therapy in the treatment of mood disorders: A review and meat-analysis of the evidenc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05;162:656-662. 

  30. Lee HK. A study on the effects of aromatherapy the climacteric disorder [master's thesis]. Suwon: Kyonggi University;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