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이 요구되는 동북아 항만경쟁 구조에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경쟁력을 다루는 기존 연구들은 단기적인 관점에서 항만 자체의 경쟁능력을 구성하는 결정요인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항만의 지속가능성을 다루는 연구 역시 기후변화 또는 환경부화의 최소화와 같은 환경적 요인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항만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 간의 이론적 괴리가 발생하였다. 이 연구는 지속가능성을 구성하는 TBL(Triple bottom line)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을 재해석하였고, 다각적으로 관련 활동들을 분석/분류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 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항만경쟁력 연구의 이론적 진보뿐만 아니라, 상업적 항만의 지속가능한 개발/운영 전략 수립 및 전략적 의사 결정에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이 요구되는 동북아 항만경쟁 구조에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경쟁력을 다루는 기존 연구들은 단기적인 관점에서 항만 자체의 경쟁능력을 구성하는 결정요인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항만의 지속가능성을 다루는 연구 역시 기후변화 또는 환경부화의 최소화와 같은 환경적 요인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항만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 간의 이론적 괴리가 발생하였다. 이 연구는 지속가능성을 구성하는 TBL(Triple bottom line)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을 재해석하였고, 다각적으로 관련 활동들을 분석/분류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 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항만경쟁력 연구의 이론적 진보뿐만 아니라, 상업적 항만의 지속가능한 개발/운영 전략 수립 및 전략적 의사 결정에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mid intense port competition in Northeast Asia, international ports require sustainable growth based on competitiveness that incorporate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Despite the importance of sustainability issues in port competition, prior studies on port competitiveness have...
Amid intense port competition in Northeast Asia, international ports require sustainable growth based on competitiveness that incorporate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Despite the importance of sustainability issues in port competition, prior studies on port competitiveness have focused on ports' own handling capacities. Moreover, sustainability concerns have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impact minimization and environmental index development. The prior literature makes distinctions between studies of port competitiveness and works relating to port sustainabilit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redefine sustainable port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triple bottom line," comprising sustainability, analysis of the relevant issues, and practices. The findings offer not only important steps in building knowledge about sustainable port competitiveness, but als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rategic agendas and guidance for future improvements in port operations.
Amid intense port competition in Northeast Asia, international ports require sustainable growth based on competitiveness that incorporate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Despite the importance of sustainability issues in port competition, prior studies on port competitiveness have focused on ports' own handling capacities. Moreover, sustainability concerns have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impact minimization and environmental index development. The prior literature makes distinctions between studies of port competitiveness and works relating to port sustainabilit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redefine sustainable port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triple bottom line," comprising sustainability, analysis of the relevant issues, and practices. The findings offer not only important steps in building knowledge about sustainable port competitiveness, but als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rategic agendas and guidance for future improvements in port operation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럼 지속가능한 경쟁력은 무엇인가? 경쟁력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과 전략은 무엇일까? 특히 항만 기업 또는 산업이 어떻게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서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심화된 경쟁구조를 보이는 항만 운영에 있어서 경제 환경 변화, 사회적 기능 확대, 생태환경 악화 등 외부적인 환경 변화를 수용하는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을 전략적 관점에서 개념화하였고, 전략 전환을 통하여 항만의 경쟁력을 높이고 그로 인해 항만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먼저,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의 개념 정립을 위해 항만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다루는 기존 문헌들을 검토하였으며, 지속가능성을 구성하는 TBL(Triple bottom line)을 바탕으로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영역을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을 개념화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문헌 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TBL을 기초로 항만 내/외 활동들의 다각적인 검토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2012), 항만의 지속가능활동 (Kim and Chiang, 2014) 등을 다루는 기존 문헌들은 항만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영역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접근이 요구 되어진다고 주장하였으며, 항만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다루는 국내 연구(현기순·이금숙, 2011; 이태휘·여기태, 2012) 역시 항만 개발은 도시 개발계획과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영역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항만운영에서 요구되어지는 경제적 수익성, 환경적 건전성, 사회적 책임 경영 등의 다양한 활동들을 포괄적으로 수용하는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의 확보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TBL을 바탕으로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경쟁력 창출을 위해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지속성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TBL을 바탕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2014년 3월 부산항에서 실시된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의 확보를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범주화하고, 관련 활동들의 직/간접적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동북아 항만 경쟁에서 경쟁력은 항만의 지속가능성에 중대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지속가능성을 구성하는 TBL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항만 경쟁력을 재해석하고, 확보 방안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이 경제·사회·환경적 영역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는 항만경쟁력을 다루는 기존 연구들과 지속가능성을 다루는 연구 간의 이론적 괴리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고,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측면을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을 TBL을 바탕으로 재해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연구 결과는 항만 운영자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전략 수립 및 전략적 의사 결정을 위한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술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하지만 항만 경쟁력을 다루는 기존 연구들은 항만과 배후 경제지역 간의 연계성장 및 지속가능성 등 사회적·환경적 영역을 고려하는 포괄적인 관점에서의 접근보다는, 항만 시설의 규모, 운송 시간, 항만 요율 등의 항만 내 물류 활동들을 위한 인적/물적 자원의 배치 및 정합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먼저,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의 개념 정립을 위해 항만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다루는 기존 문헌들을 검토하였으며, 지속가능성을 구성하는 TBL(Triple bottom line)을 바탕으로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영역을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을 개념화하였다.
먼저,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의 개념 정립을 위해 항만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다루는 기존 문헌들을 검토하였으며, 지속가능성을 구성하는 TBL(Triple bottom line)을 바탕으로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영역을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을 개념화하였다. 이 개념화된 연구 모형은 관련활동을 분류하고 범주화하기 위해 활용하였으며, 2014년 부산항에서 실시된 항만종사자들의 인터뷰를 통하여 관련 활동들을 분류하여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 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간접적인 효과를 동반하는 포괄적인 항만 활동들의 다각적인 검토를 통하여 항만이 갖추어야 할 경쟁능력 및 항만 활동들을 분류하였다. 다음 장에서는 상업적 항만의 지속가능한 개발/운영 전략 수립 및 전략적 의사 결정에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 방안을 살펴본다.
조사되어진 활동들을 범주화하기 위하여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기법이 활용되었으며,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관련 활동의 직/간접 효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항만은 GSCM의 구심점일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과 기업들의 경제활동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경제적 협력 공간으로서 항만 경쟁력을 다루는 기존 연구들보다 지정학적으로 넓은 범위의 접근을 통하여 경제·사회·환경적으로 조화로운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TBL을 바탕으로 직/간접적인 효과를 통한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써 조사되어진 23가지 활동들은 효율성 증대 및 시설 활용, 협력공간으로써 환경조성, 녹색 기술 개발 및 도입, 운영의 장기적 실현 가능성 등으로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본 연구는 항만경쟁력을 다루는 기존 연구들과 지속가능성을 다루는 연구 간의 이론적 괴리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하고,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측면을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을 TBL을 바탕으로 재해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 연구는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이 요구되는 동북아 항만경쟁 구조에서, 다각적으로 관련 활동들을 분석/분류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 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항만경쟁력 연구의 이론적 진보뿐만 아니라, 상업적 항만의 지속가능한 개발/운영 전략수립 및 전략적 의사 결정에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응답자 선정을 위하여 주제와 관련성이 높은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인터뷰를 실시하는 주요 정보 제공자 기법을(Key informant method) 활용하였으며, 인터뷰 대상자들은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성이 높은 부처 관리자 또는 관련 지식을 가진 터미널 운영자, 정부관계자, 학계 등을 포함하는 12명의 항만 분야 전문가 집단으로 제한되어 졌다.
성능/효과
인터뷰를 통하여 23가지 관련 활동들이 조사되었고, 주제어의 분석을 통하여 조사된 활동들은 효율성 증대 및 시설 활용, 협력공간으로서 환경조성, 녹색 기술 개발 및 도입, 운영의 장기적 실현 가능성 등의 그룹으로 분류 되었다(표 4 참조).
내용 분석결과 항만운영에서 효율성을 주제어로 하는 그룹으로 규모의 효율성 증대(물동량 유치 및 창출), 운영비용 절감을 위한 시설 및 장비 확충, 건설 방법의 혁신으로 지속가능한 시설물 축조, 노동 생산성 향상, 이동수단의 노선 최적화, 복합운송 체제 활용, 운송 경로의 정비와 유지, 위험관리시설 및 절차 등이 효율성 증대 및 시설 활용 측면으로 분류되었다.
규모의 효율성 증대, 지속가능한 시설물 축조, 노선 최적화, 운송 경로의 정비와 유지, 오염물 처리 시설 확충, 항만 인프라의 활용성 증대, 항만 내 사고 및 공해, 소음의 감소, 투명한 경영공시 등은 직접효과와 기대효과를 통해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영역을 동시에 아우르는 확보방안으로 밝혀졌다.
연구 결과는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이 경제·사회·환경적 영역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항만은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사회·환경적 여건을 개선시키는 동시에 사업의 핵심 경쟁력(항만 자체의 수용력 및 이용 가능성)을 증대시키는 일련의 정책 및 경영활동으로서 항만이 수익창출 이후에 사회공헌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항만 활동 자체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면서 동시에 경제적 수익을 추구하여한다.
첫째, 초기 경쟁체제에서 항만의 경쟁력은 규모 및 시설 등의 사업 환경 조성에 중대하게 영향을 받지만, 거시적인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항만의 경쟁력은 건강과 안전, 환경, 경제 그리고 사회적 기여 등의 다양한 문제들을 포함하여야 한다.
둘째, 항만이 수익창출 이후에 사회공헌/환경보호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항만 활동 자체가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면서 동시에 경제적 수익을 추구하여 한다. 따라서 이해관계자 간의 대화와 협력을 통하여 상호의존적인 공유가치를 창출하고, 믿을 수 있는 정보를 공시하고, 투자자들은 그 공시를 바탕으로 시장의 흐름을 읽고 장기적으로 건전한 투자를 통해 관련 산업과 경제를 발전시켜야 한다.
후속연구
연구 결과는 항만의 경쟁력 연구의 이론적 진보 뿐만 아니라, 상업적 항만의 지속가능한 개발/운영전략 수립 및 전략적 의사 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경제적 관점은 수익성, 부가가치창출, 생산성증대, 고용창출 등 경제적 수익성을 내포하며, 인권, 노동, 제품책임, 사회공헌, 공정경쟁 등은 사회적 관점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관점에서 온실가스, 오염물질, 소음/공해, 자원보존, 친환경생산 등 생산 및 사회활동에서 야기되는 다양한 환경부화의 가능성을 다룬다.
또한 항만은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도입으로 환경적 검토 및 관련 서류 준비, 다양한 경로로 적용을 위한 규격화된 관리 절차를 제공하여야한다. 환경적인 관리 체계의 도입 및 시행을 통하여 잠재적인 환경적 위험들을 최소화하고, 지속적인 개발과 향상이 요구된다. Dinwoodie et al.
셋째, 항만은 운영 계획의 수립 단계에서 직접효과 뿐만 아니라 간접효과를 항만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으로 고려하여야하며, 관련 활동을 통한 고용 및 가치 창출이 요구된다.
넷째, 항만 운영에 있어 환경적 영역 및 관련된 위험요소들의 중대성을 인식하고, 환경적 인식과 운영의 장기적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 및 훈련을 강화하여, 항만 종사자들의 인식 제고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최소한의 환경관련 국제 협약 및 규제들의 준수는 관련 활동으로부터 경쟁 항만보다 우수한 서비스를 시연하기 힘들다는 점을 인지하고, 항만자체에서도 관련 활동을 통한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실행 및 준수 등의 자가진단 시스템의 검토 및 도입이 요구된다.
연구결과는 항만경쟁력 연구의 이론적 진보뿐만 아니라, 상업적 항만의 지속가능한 개발/운영 전략수립 및 전략적 의사 결정에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지속가능한 경쟁력 측정을 위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분석 또는 평가방법들의 검토들이 필요하며, 동태적인 관점에서의 지속가능한 경쟁력 평가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만경쟁력이란?
항만경쟁력은 다른 경쟁 항만과 경쟁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물적/인적자원을 갱신, 보충, 투입하면서 물동량에 대한 유치능력을 개선시킴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보다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차별화된 사업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Yeo et al., 2008; Tongzon, 2009).
항만 역할의 변화는?
국제운송물류에서 항만은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협력 공간으로서 그 역할과 기능이 다양해지고, GSCM(global supply chain management)의 구심점으로서 그 중요성이 확대되었다. 항만의 물리적, 기능적 확대와 함께 항만경쟁력을 결정하는 요인들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지역중심항으로써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은 항만 운영주체들 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의 종사자들에게도 인식되고 있다.
지속가능성의 환경적 관점은?
경제적 관점은 수익성, 부가가치창출, 생산성증대, 고용창출 등 경제적 수익성을 내포하며, 인권, 노동, 제품책임, 사회공헌, 공정경쟁 등은 사회적 관점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환경적 관점에서 온실가스, 오염물질, 소음/공해, 자원보존, 친환경생산 등 생산 및 사회활동에서 야기되는 다양한 환경부화의 가능성을 다룬다.
참고문헌 (24)
김태균.김환성(2014), "우리나라 항만특성에 맞는 그린포 트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AHP를 이용한 울산항 그린포트 정책 우선순위 개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8집, 제5호, 549-559.
송지웅.하명신(2014), "친환경 물류활동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제30집, 제2호, 25-50.
이태휘.여기태(2012), "항만도시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제75집, 559-579.
현기순.이금숙(2011), "지속 가능한 항만도시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한국 항만도시의 유형 분석", 지역연구, 제27집, 제2호, 113-134.
Bird, J. and Bland, G.(1988), "Freight Forwarders Speak: The Perception of Route Competition via Seaport in the European Communities' Research Project, Part 1,"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32 No.4, 331-346.
Cheon, S. H. and Dwakin, E.(2010), "Supply Chain Coordination for Port Sustainability,"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Board, Vol.2166 No.2, 10-19.
Denktas, S. G. and Karatas, C. C.(2012), "Port Sustainability and Stakeholder Management in Supply Chains: A Framework on Resource Dependence Theory,"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Vol.28 No.3, 301-320.
Dinwoodie, J., Tuck, S., Knowles, H., Benhin, J. and Sansom, M.(2012), "Sustainable Development of maritime Operations in Ports,"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Vol.21 No.2, 111-126.
Feng, m., Mangan, J. and Lalwani, C.(2012), "Comparing Port Performance: Western European versus Eastern Asian Ports,"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and Logistics Management, Vol.42 No.5, 490-512.
Kim, S. and Chiang, B. G.(2014), "Sustainability Practices to achieve Sustainability in International Port Operations," The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30 No.3, 15-37.
Lee, S.W., Song, D.W. and Ducruet, C.(2008), "A Tale of Asia's World Ports: The spatial Evolution in global hub Port Cities," Geoforum, Vol.39 No.1, 372-385.
Murphy, P. R., Dalenberg, D. R. and Daley, J. M. (1988), "A Contemporary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Port Operations," Transportation Journal, Vol.28 No.2, 23-32.
Murphy, P. R. and Hall, P. K.(1995), "The relative Importance of Cost and Service in Freight Transportation Choice before and after Deregulation: An Update," Transportation Journal, Vol.35 No.1, 30-38.
Notteboom, T. E. and Rodrigue, J. P.(2005), "Port Regionalization: towards a new Phase in Port Development,"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32 No.3, 297-313.
Porter, M. E. and Kramer, M.(2011), "Creating Shared Value," Harvard Business Review, Vol.89 No. 1/2, 62-77.
Sanchez, R. J., Hoffmann, J., Micco, A. Pizzolitto, G. V., Sgut, M. and Wilmsmeier, G.(2003), "Port Efficiency and International Trade: Port Efficiency as a Determinants of Maritime Transport Costs," Maritime Economics and Logistics, Vol. 5, 199-218.
Yeo, G. T., Roe, M. and Dinwoodie, J.(2008), "Evaluating the Competitiveness of Container Ports in Korea and China,"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s, Vol.42 No.6, 910-92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