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급식에서 영양사의 친환경 농산물 사용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사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Purchase Decision and Attitude of Dieticians regarding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Meals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4, 2015년, pp.192 - 206  

안선정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도지역 학교급식 영양사를 대상으로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태도와 구매 결정요인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친환경 농산물태도와 친환경농산물 구매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변수간의 요인분석Correlation(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사들은 친환경농산물의 중요성에 관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나 구입 가격에 관해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구매결정요인은 '충성도' 0.920, '지각된 품질' 0.791, '인지' 0.862, '브랜드' 0.801로 조사되었다. 일반사항에 따른 결과에서 영양사들은 친환경 농산물 구매결정요인 중 충성도가 가장 높았으며, 품질, 브랜드, 인지 순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농산물에 관한 태도는 친환경 농산물에 관한 구매의사 결정요인 중 품질(r=.296, p<.01) 및 브랜드(r=.350, p<.01), 충성도(r=.558, p<.01), 인지(r=.496, p<.01)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로 경기도지역 영양사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친환경 농산물에 관한 친환경농산물 구매의사 결정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 농산물 구매의사 결정 요인 중 충성도와 인지가 친환경농산물 태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교급식 관리자인 영양사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제시가 필요하며, 친환경농산물 구매의사 결정요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udy was conducted on dietitians in the Gyeonggido area to analyze the effect of purchase decision and attitude related factors regarding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Man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급식 관리자인 영양사의 친환경 농산물 사용에 대한 태도와 친환경농산물의 구매 결정요인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조사하여, 급식 관리자의 영양사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사 결정요인의 이해수준을 높이고, 친환경농산물의 활성화 정책과 농산물 생산 및 가공업체에 유용한 정보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과 건강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이유는?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소비자들의 의식수준이 높아지며, 환경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과 건강에 대한 관심은 먹거리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웰빙(well-being) 시대를 가져오며, 유기농식품에 이어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되었다(Lee SH et al 2011)
친환경 농산물이란 어떤 것을 뜻하나요? 친환경 농산물(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은 안전한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농약과 화학비료 등 화학제품을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최소량 만을 사용하여 생산한 농산물로 정의되며,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농약농산물로 분류된다(Ahn SC 2013; 친환경인증정보시스템 http://www.enviagro.
본 연구에서 경기도 지역의 영양사를 대상으로 어떻게 설문조사를 했나요? 조사의 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영양사를 대상으로 2012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설문조사에 동의한 영양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접 배포 또는 우편으로 설문지를 직접 기입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210부를 배포하여 총 194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2.3 %)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항목이 많아 분석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2부를 제외한 192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이계임 (2002). 학교급식의 식재료 사용실태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경제, 25(1):92. 

  2. 친환경인증정보시스템 http://www.enviagro.go.kr/portal/content/html/info/signintro.jsp 

  3. Ahn SC (2013).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ietitian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 Culinary Research 19(4):307-320. 

  4. Chang UJ (2001). Job importance and job satisfa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s dietitians in Seoul. Korean J of Dietary Culture 16(5):423-230. 

  5. Chang HS, Lee MJ (2009). The perception for management of school food service using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hers in Gunsan. Korean J Community Nutr 13(6):867- 878. 

  6. Choi MK, Seo HC, Baek SH (2010). The influenc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perception of parents in Chung-buk area on EAPs consumption behavior. Korean J Food nutrition 23(2):269-275. 

  7. Choi HY (2007). A Study on the Current Use and Satisfaction in Environmentally-Friendly Farm Products in School Feeding for Secondary and High Schools in Gwangju. M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1-3, Gwangju. 

  8. Huh EJ, Kim JW (2010). Consumer knowledge and attitude to spending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Human Ecology 19:883-896. 

  9. Jang JY, Choi MK (2013).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EAPs) and the degree of confidence about the certification mark in Daegu. Korean J Community Nutr 18(4):324-332. 

  10. Ko BS, Ko PS (2005).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Korean J Culinary Research 11(4):214-227. 

  11. Kim SS (2007). A study on consumer's attitude for food safety and purchase of enviro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J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6):15-32. 

  12. Kim DS (2013). The effects of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value 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Culinary Research 19(1): 103-120. 

  13. Kim KM, Kwon YS, Kim YS, Kim GG, Kim Y (2013). The wareness and satisfaction regarding Korean traditional food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8(2):167-176. 

  14. Kim Y, Kim YS, Hyun YH (2011). A study on the local farmers' perceptions toward the use of local food for school meals. J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8(3): 569-590. 

  15. Kim SH, Jeong DW, Kim GH (2012).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image, awareness, public confidence of certificate mark for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purchase intension. J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5(6):359-383. 

  16. Lee HS, Park MJ (2008). Parental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used of school food service in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Korean J Food Culture 23:737-747. 

  17. Lee SH, Han SS, Do HO, Seo KD (2011). The effect of hallmark of the enviro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consumer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J of Digital Convertgence 9(4):143-156. 

  18. Lee JE (2011). The effectiveness of consumer's environmental consciusness on environmentally- friendly farm products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Korean J Food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8(2):196-219. 

  19. Lee YS , Park MJ (2008). Parental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used for school food service in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Korean J Food Culture, 23(6):737-747. 

  20. Liou YW, Namkung Y (2012). The effect of restaurant green practices on perceived quality,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Korean J of Food Service Management 21(20):113-130 

  21. Rho JO, Kim MO (2011). A study on the utilizatio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food serv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service in Jeonbuk area. Korean J Human Ecology 20(2):427-437. 

  22. Rue JH, Rho JO (2011). The consumption behavior and perception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J of Food and Nutrition 24(1): 101-110. 

  23. Rue MJ, Suh JS, Lye ES (2004). The perception of dietitians for using imported and pro-environment farm products for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in Busan.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0(4):452-466. 

  24. Sin EK, Lee MJ, Lee YK (1999).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and work valu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 Korean J of Community Nutrition 4(3):441-153. 

  25. Sin EK, Lee YK (2003). Effects of personal and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Daegu?Gyengbuk area by food service employment type. Korean J Food Culture 18(2):75-88. 

  26. Shin BY (2004). Pro-environment farm products and school food service. Food Service Forum Matrial Book, 25. The Forum of School Food Service Innovation. 

  27. Whang CJ, Lee SY (2010). An analysis on the purchasing behaviors and influence factors of th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4(1):123-145. 

  28. Yang IS, Lee BS, Lee SJ, Lee HY, Jung HY (2006). Using statu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food service and dieticians' perception. Korean J Food Culture 21(2) 142- 153. 

  29. Yong EZ, Choi YS, Lee KT (2009). A survey on the perception and usage status of dietitians in food service business for meat products. Korean J of Food Sci Ani Resour 29(1):121-131. 

  30. Yoon HS, Yoon HH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personal consumption values on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of Food Service Management 22(1):253-26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