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영재 학생의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 탐색적 연구
The Impact of Self-Reported Knowledge and Self-perceived Importance about Earth Systems on Science Gifted Students' Science Motivation: An Exploratory Study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no.6, 2015년, pp.580 - 590  

오준영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  이현동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전공) ,  이효녕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지식, 중요성, 과학 동기 사이에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기존에 수행되지 않았던 내용을 다루는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는 K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등 융합과학반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 과학 동기를 분석할 수 있는 설문지를 투입하고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상관분석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지구계에 대한 지식은 과학 동기에 상관계수 .656으로 높은 상관을 보여주었다. 반면 지구계에 대한 중요성은 과학 동기와 .387로 다소 낮은 상관이 나왔다. 높은 상관을 보여준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과학 동기의 회귀분석을 통해 그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과학 동기의 총 변화량의 43%를 지구계에 대한 지식이 설명함을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구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과학 영재 학생들의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과학 동기의 유발과 함께 학습 동기와 관련된 다양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science gifted students' self-reported knowledge and self-perceived importance about Earth systems, and their science motivation. Ninety three seventh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o enrolled at Science Gifted Institute of K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세 가지 요소(지구계에 대한 지식, 지구계에 대한 중요성, 과학 동기)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면,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지구계에 대한 중요성이 과학 동기를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지 그 영향력을 분석한다. 그리고 과학 동기 내 하위 요인 간 상관분 석을 통해 과학 동기의 향상이 성적이나 직업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 학생 82명의 검사 자료를 대상으로 지구계에 대한 지식, 중요성, 과학 동기 사이의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그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 과학 동기 내 하위 요인 사이의 상관 분석을 통해 지구계에 대한 지식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요인들을 분석하는 탐색적 연구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계에 대한 지식,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과학 동기와의 상관관계와 관련된 변인들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요인들을 분석하는 탐색적 연구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계에 대한 지식,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과학 동기와의 상관관계와 관련된 변인들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한다.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과학 동기 유발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난다면 과학 영재 학생들의 선발과 수업의 효율적인 참여를 위하여 지구계에 대한 여러 가지 교육프로그램들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으며, 나아가 과학의 여러 분야에 대하여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수업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 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지구계 교육이 과학 영재 교육의 전반적인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지구계에 대한 중요성, 과학 동기에 대한 관계를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 탐색적 연구의 목적은 과학 영재 학생들이 인지하는 지구계에 대한 지식, 지구계에 대한 중요성이 과학 수업의 동기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조사하고 세 가지 요소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면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지구계에 대한 중요성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 과학 동기는 내적 동기, 자기 효능감, 자기 결정, 직업 동기, 성적 동기로 총 5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구계에 대한 지식에 대한 학습이 과학 동기를 향상시켜 준다면 과학 동기가 향상됨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효과를 하위 요인 간의 상관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Table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지구과학 교육에서 지구계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도 제 7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지구과학 교과에서는 시스템과 관련된 내용으로 ‘지구계(Earth systems)’가 교육과정에 적용되고 있다. 지구계는 지구과학 영역에서 학습하는 개념들의 핵심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지권, 수권, 생물권, 기권뿐만 아니라 지구를 둘러싼 우주 공간과 지구 자기장을 다루는 외권까지 중학교 교육과정 도입되어 단원명으로 사용되고 있다(Lee, 2011). 또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I의 ‘소중한 지구’ 단원에서는 지구계의 구성 및 상호작용과 관련된 내용이 학습 목표 및 성취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다.
국제적인 지구과학 교육의 동향은 어떠한가? 2013년에 발표된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기준을 살펴보면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지구계가 핵심 개념이고 지구계와 관련된 내용을 모든 학교급에서 가르치고 있다(NRC, 2012, 2013). 국제적인 지구과학 교육의 동향은 지구계를 중심으로 거시적인 관점에서 물리, 화학, 생명 과학, 지구과학을 통합하고 나아가 융합적 소양을 함양하는 데 지구계의 이해를 강조하고 있다(Lee et al., 2011; Ben-Zvi-Assaraf and Orion, 2005a, 2005b; Hlawatsch et al.
지구계에 대한 내용 중 중학생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은 무엇인가? 이렇게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지구계에 대한 내용은 중학생들의 지식 수준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학생들의 경우 지구계의 구성 요소 중에 수권과 기권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지구의 빙하에 관련된 개념의 이해가 부족하고 외권의 구체적인 사례에 대해 잘 인식하지 못하였다(Lee, 2011; Oh and K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1)

  1. Ben-zvi-Assaraf, O. and Orion, N., 2005a, A study of junior high students' perceptions of the water cycle.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 366-373. 

  2. Ben-zvi-Assaraf, O. and Orion, N., 2005b,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518-560. 

  3. Ben-zvi-Assaraf, O. and Orion, N., 2010a, System thinking skill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 540-563. 

  4. Ben-zvi-Assaraf, O. and Orion, N., 2010b, Four case studies, six years later: developing system thinking skills in junior high school and sustaining them over tim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 1253-1280. 

  5. Brosnan, T., 1990, Categorizing macro and micro explanations of material change (eds.), Relating macroscopic phenomena to microscopic particles. CD- $\beta$ Press, Utrecht, Holland, pp. 198-211. 

  6. Cho, S. and Kim, M., 2011, An analysis of brain dominanc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emotion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logy Education, 39, 345-354. (in Korean) 

  7. Cho, S. and Paik, S., 2006, A comparison analysis of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between science-gifted education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 307-316. (in Korean) 

  8. Chun, B., Park, K., and Chun, M., 2008, An analysis of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chievements motivation, and the peer relationship, and parents' attitudes to science gifted educ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8, 443-464. (in Korean) 

  9. Chung, C. and Kang, K., 2007, The relationships among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ce related attitude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 848-853. (in Korean) 

  10. Department for Education, 2013,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Framework document (July 2013). Retrieved from http://www.education.gov.uk/ 

  11. Driver, R., Guesne, E., and Tiberghien, A., 1985, Some features of children's idea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eaching. In R. Driver, E. Guesne, & A. Tiberghien (eds.), Children's ideas in science. Open University Press, Milton Keynes, UK, pp. 193-201. 

  12. Forrester, J.W., 1992, System dynamics and learner centered learning in kindergarten through 12th grade education. Boston, MA: Cambridge. 

  13. Garigliano, L., 1975, SCIS: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systems concep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75, 245-249. 

  14. Glynn, S.M., Gita, T., and Brickman, P., 2009,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Construct Validation With Nonscience Maj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 127-146. 

  15. Go, Y. and Yeo, S., 2011, Comparison of problem find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tendency, science process skill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 624-633. (in Korean) 

  16. Heo, J. and Lee, Y.,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ity and motiva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18, 343-363. (in Korean) 

  17. Hill, D. and Redden, M., 1985, An investigation of the system concep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5, 233-239. 

  18. Hlawatsh, S., Bayrhuber, H., Euler, M., Hansen, K.H., Hildebrandt, K., Hoffmann, L., Lucius, E.R., Siemer, F., and Hassenpflug, W., 2003, Earth Systems Education in Germany. In Mayer, V.J. (ed),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Earth Systems Education Program,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155-156. 

  19. Jax, D.W., 1995, A case study of the initiation and implementation of an innovative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for grades nine and ten.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The Ohio States University, OH, USA, 340 p. 

  20. Jeon, J., 2014,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program based on systems thinking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E.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69 p. 

  21. Kali, Y., Orion, N., and Eylon, B-S., 2003, Effect of knowledge integration activities on students' perception of the Earth's crust as a cyclic syste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545-556. 

  22. Karplus, R. and Thier, H., 1969, A new look at elementary school science; 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study. Rand McNally, Chicago, USA, 204 p. 

  23. Kim, D., 1999, Introduction to systems thinking. Boston, MA: Pegasus Communication. 

  24. Kim, D., 2004, Systems thinking. Sunhaksa, Seoul, Korea, 323 p. 

  25. Kim, D., 2005, Introspecsive reflection on applying systems thinking: Toward an incremental systems thinking. Journal of Institute of Governmental Studies, 11, 63-85. (in Korean) 

  26. Kim, M. and Kim, B., 2002, A comparative study of the trends of current science education and the system thinking paradig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 64-75. (in Korean) 

  27. Kim, S., 2010, Systems thinking and scenario planning. CBNU Press, Cheongju, Korea, 404 p. 

  28. Kim, S., & Yoo, M., 2012, Comparison on the vocational values and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between middle school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 1222-1240. (in Korean) 

  29. Kim, Y. and Jeong, J., 2009, Understandings on the cycle as a substance and ES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 951-962. (in Korean) 

  30. Kim, Y., Jeong, J., and Wee, S., 2009, Analysis of conceptions of earth system cycles a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 963-977. (in Korean) 

  31.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oFAC], 2012a, STEAM education program(elementary).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32.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oFAC], 2012b, Introduce of STEAM education.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33. Kwon, Y., Kim, W., Lee, H., Byun, J., and Lee, I., 2011, Analysis of biology teachers' systems thinking about eco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logy Education, 39, 529-543. (in Korean) 

  34. Lee, D., Oh, E., Kim, H., and Jeong, J., 2013, Analysis of carbon cycle concepts based on earth systems perspective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 157-169. (in Korean) 

  35. Lee, H., 2003, A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second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Earth systems contents and environment topics. In mayer V.J. (Ed),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Columbus, OH, USA: Earth Systems Education Program, The Ohio State University, 81-91. 

  36. Lee, H. and Kim, S., 2009,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on the earth system based on their thinking styl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 12-30. (in Korean) 

  37. Lee, H., 2010,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n exemplary science teacher's Earth Systems Education experience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 500-520. (in Korean) 

  38. Lee, H., 2011,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Earth systems to implement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effectivel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798-808. (in Korean) 

  39. Lee, H., Kwon, Y., Oh, H., and Lee, H.,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skills: Focus on global warm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784-797. (in Korean) 

  40. Lee, H., Kwon, H., Park, K., and Lee, H., 2013, An instru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 995-1006. (in Korean) 

  41. Lee, H. and Lee, H., 2013, Revalidation of measuring instrument systems thinking and comparison of systems thinking between science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 1237-1247. (in Korean) 

  42. Mayer, V.J., 1995, Using the Earth systems for integrating the science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79, 375-391. 

  43. Mayer, V.J., 2002, Global Science literacy (Ed.), Kluwer Academic Publisher, Dordrecht, Netherland, 242 p. 

  44. Mayer, V.J., 2003,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Ed.), Earth Systems Education Program,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OH, USA, 293 p. 

  45. Meadows. D.H., 2008, Thinking in systems. Chelsea green, Washington, DC, USA, 240 p. 

  4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no. 9].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47.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0, High school curriculum explain: scienc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48. Moon, B., Jeong, J., Kyung, J., Koh, Y., Youn, S., Kim, H., and Oh, K., 2004, Related conception s to earth system and applying of systems thinking about carbon cycle of the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684-696. (in Korean) 

  49. Moon, B. and Kim, H., 2007, A study on the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s thinking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8, 235-252. (in Korean) 

  50. Moon, T., 2011,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gifted children in science, mathematics, and information technology usi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20, 33-44. (in Korean) 

  51. Na, D. and Kim, J., 2004,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science-gifted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in the triarchic intelligence, thinking styles, and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Journal of Korea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8, 115-130. (in Korean) 

  52.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272 p. 

  53.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USA, 400 p. 

  54.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USA, 534 p. 

  55. O'Connor, J. and McDermmot, I., 1997, The art of systems thinking: Essential skills for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Thorsons Publishers, London, UK, 288 p. 

  56.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2011, Ontario schools kindergarten to grade 12 policy and program requirements. Ontario: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57. Oh, H.S. and Kim, C.J., 2010, An analysis of Earth system understandings (ESU) of 8th-grade students' imagery about 'the Earth' represented by words and drawing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 71-87. (in Korean) 

  58. Park, B., Koh, M., and Kim, O., 2012, The comparison of the science gifted and mathematics gifted i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learning motivations in sc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22, 917-928. (in Korean) 

  59. Park, S., 2004, Analysis on the earth science concepts of the gifted science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by the type of thinking style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708-718. (in Korean) 

  60. Park, S. and Kim, K., 2005,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ifted science students' thinking style type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concep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5, 307-320. (in Korean) 

  61. Park, B., 2014,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ystem Thinking-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M.E.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78 p. 

  62. Park, B. and Lee, H.,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ystems thinking-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secondary scienc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systems thinking skill.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 421-444. (in Korean) 

  63. Renzulli, J.S., 1978, What make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 180-184. 

  64. Renzulli, J.S., Reis, S.M., and Smith, L.H., 1981, The revolving door Identification model. Creative Learning Press, Mansfield, CT, USA, 248 p. 

  65. Seong, T., 2011,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Haksisa, Seoul, Korea, 542 p. 

  66. Song, J., 2011, SPSS/AMOS Statistical analysis. 21 Century Press, Paju, Korea, 480 p. 

  67. Shin, D.H., 2000, Past, present and future of earth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 479-487. (in Korean) 

  68. Shin, D.H., 2001, Earth science in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 147-158. (in Korean) 

  69. Shin, Y. and Sohn, W., 2012, A person-centered analysi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for gifted and non-gifted 7th graders. Journal of Korea School Psychology Association, 9, 65-83. (in Korean) 

  70. Shim, J. and Kim, O., 2003,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the gifted in science based on implicit theory. Journal of Korea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7, 241-255. (in Korean) 

  71. Shim, J., Kim, J., and Kim, O., 2005, A comparative study of creativity between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ordinary students. Journal of Korea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9, 563-57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