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사관학과 학생들의 소방안전교육 경험과 생활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Research for the Experience of Fire Fighting Aafety Education and Living Safety Consciousness of Department of Noncommissioned Officer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0 no.4, 2015년, pp.159 - 167  

이원주 (대덕대학교 군사학부 국방탄약과) ,  권신영 (대덕대학교 사회복지과) ,  강순형 (전남대학교 화학교육과) ,  나윤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wareness survey on the experience of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and living safety 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oncommissioned officer. Additionally, making provision of basic references and the effective fire fight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제도적 측면에서 부사관과의 교육과정을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현 시점에서 전문대학 부사관과 학생들의 안전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 설문조사에 응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소방안전교육 경험의 유무”와 “소방안전교육의 주체”에 대해서 상담을 실시한 결과 부사관학과 학생들이 정기적인 소방교육을 학과수업에서 받았다고 답변을 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 중 안전관련 교과목이 포함되어 있는지 조사하였다. 부사관학과들의 교육과정 조사는 각각의 학과 홈페이지에 공시된 자료를 정보를 이용하였다.
  • 이 연구는 전문대학 부사관학과 학생들의 소방안전교육 경험과 생활안전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부사관학과의 소방안전교육 필요성과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기본 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따라서 부사관과 임관자들 중 부사관과 출신이 높아지는 현실과 군에서 안전사고 예방을 담당하는 부사관의 임무를 고려하여 부사관과 학생들의 안전의식 향상에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대학 부사관과 학생들의 소방안전교육 경험과 생활안전의식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제도적 측면에서 부사관과의 교육과정을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대는 무엇으로 나뉘는가? 군대는 한 국가의 방어를 책임지며, 다른 나라와 전쟁 및 전투를 담당하는 정부 기관이다. 군대는 그 통상 활동 영역에 따라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로 나뉜다. 또한 군대는 구성하는 인적 조직의 계급에 따라 장교, 준사관, 부사관, 병사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1).
군대 내 초급간부의 역할은? 군대를 구성하는 군사 계급 중 중ㆍ소위와 하사 및 초임 중사를 일반적으로 초급간부라 지칭한다2). 이들은 분대 및 소대, 포대, 포반 등 가장 작은 전투제대의 전투력 발휘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지휘자들이다. 아무리 큰 전투라 할지라도 승리의 발단은 이들로부터 시작되며, 이들의 사소한 실수나 능력부족이 패전의 시초가 될 수 있다.
군대란? 군대는 한 국가의 방어를 책임지며, 다른 나라와 전쟁 및 전투를 담당하는 정부 기관이다. 군대는 그 통상 활동 영역에 따라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로 나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wikipedia encyclopedia, web site http://ko.wikipedia.org,http://ko.wikipedia.org/wiki/%EA%B5%B0%EC%82%AC%EA%B3%84%EA%B8%89 

  2. B. -S. Lee, "A Study Obtaining the Excellent Human Resources of the Army's Non-commissioned Officer (NCO), Department of Policy Analysi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Master's Thesis, Yeunganam University, 2008. 

  3. Instructions of Military Base Management, Vol. 1483,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12. 

  4. Y. H. Lee, "Marketing Strategies for Recruiting Excellent NCO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nd Social Welfare, Konyang University, 2013. 

  5. Department of Military Science, Daeduk College, http://mil.ddc.ac.kr/bbs/board.php?bo_table05_02&wr_id10 

  6. S. Y. Kim,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e Safety Eduction",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Fire & Disaster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stration Local Autonomy, Hanyang University, 2011. 

  7. M. -S. Han, "A Research for Development Plan of Fire Safety Education: Fire Safety Experience-centered",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Industrial Safety, 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2012. 

  8. D. -y. Kang, "A Study of the Effect on the Safety Behavior and the Standard Life Habit by Experiential Safety Education", Master's Thesis,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5. 

  9. H. W.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ing Scale of Safety Consciousnes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Health Eduction,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 University, 2002. 

  10. H. T. Lee, "The Effects on Safety Life Practicing Behavior by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Awareness,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for the Elderly", Ph. D. Thesis, Graduate School, Daegu Haany University, 2010. 

  11. S. j. Kim, "A Stu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Experience of Fire Prevention Eduction and Children's Fire Prevention Education: Focused on Kangwon Province",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Fire Disaster Preven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Science, Kangwon Nation University, 2012. 

  12. wikipedia encyclopedia, web site, http://ko.wikipedia.org,http://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C%9C%A1%EA%B5%B0#.EB.B3.91.EA.B3.BC 

  13. A. Field,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Sage Publications,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