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활용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식한 실재감이 학습몰입경험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Presence and Learning Flow Experience at University Classes Using Facebook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2 no.3, 2015년, pp.321 - 332  

박혜진 (강릉원주대학교 기초교육원) ,  유병민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  차승봉 (강릉원주대학교 기초교육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use of social service in classroom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ence and learning flow, key words in the analysis of college classes using Face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social presence(${\ss}=.33$,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교육 분야에서 학습자의 페이스북 참여도와 반응이 어떤 요인과 관련되는지, 페이스북이 교육적 도구로서 효과를 발휘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Brady, Holcomb, & Smith, 2010). 따라서 페이스북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실재감과 학습몰입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페이스북 활용 수업에서 의사소통의 결과와 교육적 활동의 수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인들이 페이스북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페이스북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페이스북을 대학수업에 활용하였을 때 교육의 효과로써 나타나는 학습몰입경험에 실재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학습몰입의 하위유형인 인지적 몰입경험, 감성적 몰입경험, 행동적 몰입경험에 따라서 실재감의 하위유형인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페이스북을 활용한 수업에서 대학생들이 느끼는 실재감의 하위 유형들이 학습몰입경험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통합적인 연구모델을 설정하여 관련요인 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실제 페이스북 수업을 운영한 후 참여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재감과 학습몰입경험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에 대한 다차원적인 검토를 통해 웹 기반 환경에서 학습자의 실재감을 높임으로써 학습몰입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학습 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활용 수업을 위한 수업설계와 협력학습이 가능한 과제 출제, 교수자와 학습자, 동료학습자와의 상호교류 등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실재감을 향상시키고 학습몰입을 촉진하도록 하였다.
  • 페이스북 활용 수업에서 의사소통의 결과와 교육적 활동의 수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인들이 페이스북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페이스북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페이스북을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실재감의 유형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페이스북을 포함한 SNS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몰입을 일으키는 수업 설계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실재감과 학습몰입경험 과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위해 도출한 변인들 간의 다중공선성을 확인하고자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든 변인 간의 상관관계 계수가 .
  • 본 연구는 페이스북을 활용한 수업에서 대학생들이 느끼는 실재감의 하위 유형들이 학습몰입경험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통합적인 연구모델을 설정하여 관련요인 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실제 페이스북 수업을 운영한 후 참여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재감과 학습몰입경험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페이스북을 대학수업에 활용하였을 때 교육의 효과로써 나타나는 학습몰입경험에 실재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학습몰입의 하위유형인 인지적 몰입경험, 감성적 몰입경험, 행동적 몰입경험에 따라서 실재감의 하위유형인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재감의 하위유형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학습몰입경험의 하위유형을 각각의 종속변인으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재감이란 무엇인가? 실재감이란 ‘어딘가에 존재하는 느낌’을 의미한다(Heeter, 1992). 실재감은 개인의 지각을 중시하는 인간의 경험으로서, 그것을 뇌에서 처리할 때 발생하는 인지적 상태이자 환경에 대한 주체의 능동적인 정신적 과정으로 정의된다(Steuer, 1993). 실재감은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을 인식하는 심리적 상태로(Witmer & Singer, 1998) 학습자가 경험하는 학습과정 안에서 물리적 접촉이 불가능하더라도 교수자 및 동료 학습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Picciano, 2002).
인지적 실재감이란 무엇인가요? 인지적 실재감은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경험, 학습목표의 유형, 학습양식 등이 내포되는 개념으로 학습자가 학습상황과 내용에 대해 인식하는 지적측면의 요소이다(김지심, 2009). 인지적 실재감은 커뮤니티 맥락에서 지속적 성찰과 담화를 통해 학습자들이 의미를 구성하고 확인할 수 있는 정도로, 학습몰입경험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학습 과정 중에 형성되고 강화된다(강명희, 구한나, 문소영, 정지윤, & 김지심, 2007).
몰입경험을 위한 단계인 몰입의 조건, 상태, 결과는 각각 무엇인가? 김미경(2012)은 학습과정 중에 몰입경험을 위한 단계로 몰입의 조건, 상태, 결과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몰입의 조건은 명확한 목표, 구체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조화를 들 수 있고, 몰입경험 상태는 과제에 대한 집중, 행동과 의식의 통합, 통제감과 자의식 상실, 시간감각의 왜곡이 일어나며, 몰입경험을 통해 얻게 되는 결과는 자기목적적 경험이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강대식, 김정겸, & 정회인. (2011). 대학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학습실재감, 몰입감, 학습만족도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1), 133-150. 

  2. 강명희. (2005). 협력학습을 위한 Cybergogy 모델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3. 강명희 & 김민정. (2006). e-learning 환경에서 인식되는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도 관계규명, 교육공학연구, 22(4), 1-27. 

  4. 강명희, 구한나, 문소영, 정지윤, & 김지심. (2007). 온라인 강의에서 내용제시유형이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155-181. 

  5. 강명희, 한정선, & 김진희. (2012). 대학 봉사학습 과목에서의 페이스북 활용 효과. 교육방법연구, 24(4), 771-796. 

  6. 고일상, 최수정, & 정경호. (2006). 웹 기반 원격교육에서 학습자 몰입의 영향요인과 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6(1), 83-108. 

  7. 고은현. (2007). e-러닝 환경에서의 교수 실재감 측정도구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경숙 & 이성엽. (2011). SNS를 활용한 직장인 무형식학습 사례 연구: Facebook 활용을 중심으로. HRD연구, 13(4), 31-61. 

  9. 김미경. (2012). 웹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설계, 학습과제특성, 웹기반 학습환경이 학습자특성을 매개로 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수연. (2008). 이러닝 환경에서 감성지능, 이러닝효능감, 감성적 실재감, 학습결과 간의 관계규명.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유진 & 박주호. (2012).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3(3), 143-170. 

  12. 김정화. (2010). 이러닝 환경에서 e-튜터의 학습지원이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의 하위 변인에 미치는 영향과 구조적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지심. (2009). 기업 이러닝에서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권혁준 & 이인숙. (2004).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몰입, 정보처리 전략, 성취수준간의 관련성 규명. 교육공학연구, 20(4), 241-267. 

  15. 계보경. (2007). 증강현실 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박성익 & 김연경. (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 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17. 박지언. (2007).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실재감에 의한 이러닝 학습자의 참여도, 만족도, 성취도 예측.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박찬욱, 현병언, & 박주영. (2013).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탐닉적 이용동기 및 확산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27(2), 331-354. 

  19. 박혜진. (2008). 웹기반 학습에서 학습몰입과 인터넷 중독이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박혜진. (2013).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박혜진 & 유병민. (2014).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4), 649-674. 

  22. 유지원. (2011). 학습자의 몰입에 영향을 주는 동기 요인, 심리적 중재 요인, 사회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이시훈. (1999). 인터넷 광고효과의 인과적 모델에 관한 연구 : 플로우(flow) 경험의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이정민 & 오성은. (2013). 페이스북 기반 협력학습 성과를 예측하는 학습실재감 요인 규명.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305-316. 

  25. 이정민, 오성은, & 정현민. (2014). 페이스북을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각 실재감 하위요인의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 예측. 교육방법연구, 26(3), 489-510. 

  26. 이준엽. (2012). e-learning에서 고객지향성에 대한 지각이 감성적 실재감과 학습몰입 그리고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 10(10), 139-146. 

  27. 이지혜. (2009).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임걸. (2010). 스마트폰 기반 사회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수업 사례연구: 의사소통 내용 및 도구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2(4), 91-114. 

  29. 임걸, 강민석, & 신성욱. (2012). SNS 활용 요소 개발 및 IPA 방법에 의한 SNS의 교육적 활용 우선순위 규명. 교육공학연구, 28(4), 925-952. 

  30. 장선영. (2013). 고등교육에서 이러닝 공개교육자료의 현 사용 실태를 통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 KOCW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5(1), 289-315. 

  31. 장은정 & 장혜정. (2013). SNS 기반 토론에서 SNS 도구, 창의적 토론 기법과 집단의 크기에 따른 SNS 토론전략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4), 693-721. 

  32. 주영주, 김은경, & 박수영. (2009). 기업 사이버교육에 서 인지적 실재감과 몰입, 만족도, 지속의향과의 구조적 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3), 21-38. 

  33. 주영주, 하영자, 유지원, & 김은경. (2010).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2), 151-160. 

  34. 진현승. (2012).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학습자가 지각한 유용성과 태도, 자아효능감이 학습몰입과 학습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페이스북(facebook)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황용석. (1999). 웹 이용과정에서 플로우 형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 연구 :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모델의 구축.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Argyle, M., & Dean, J. (1965). Eye-contact, distance and affiliation. Sociometry, 28(3), 289-304. 

  37. Astin, A. W.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8. Bergman, S. M., Fearrington, M. E., Davenport, S. W., & Bergman, J, Z. (2011). Millennials,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What narcissists do o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wh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0(5), 706-711. 

  39. Biocca, F., & Harms, C. (2002). Defining and measuring social presence: Contribution to the networked minds theory and measure. Proceedings of Presence 2002, 7-36. 

  40. Brady, K. P., Holcomb, L. B., & Smith, B. V. (2010). The use of alternative social networking sites in higher educational settings: A case study of the e-Learning benefits of Ning in Education. Journal of Interactive Online Learning, 9(2), 151-170. 

  41. Coates, H. (2006). Student engagement in campus-based and online education. New York, NY: Routledge. 

  42.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CA: Jossey-Bass. 

  43.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NY: Harper & Row. 

  44. Csikszentmihalyi, M., Rathunde, K., & Whalen, S. (1993). Talented 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Garrison, D. R., Anderson, T., & Archer, W. (2000). Critical inquiry in a text-based environment: Computer conferencing in higher education.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2), 87-105. 

  46. Garrison, D. R., Anderson, T., & Archer, W. (2001). Critical thinking, cognitive presence, and computer conferencing in distance educ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5(1), 7-23. 

  47. Handelsman, M. M., Briggs, W. L., Sullivan, N., & Towler, A. (2005). A measure of college student course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8(3), 184-191. 

  48. Heeter, C. (1992). Being There: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presence.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1(2), 262-271. 

  49. Linnenbrink, E. A. (2006). Emotion Research in Education: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s on the Integration of Affect, Motivation, and Cognitio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8, 307-314. 

  50. Linnenbrink, E.. A., & Pintrich, P. R. (2003).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in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Reading& Writing Quarterly, 19(2), 119-137. 

  51. Lock, V., & Redmond, P. (2006). International online collaboration: modeling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2(4), 233-247. 

  52. Picciano, A. G. (2002). Beyond student perceptions: Issues of interaction, presence, and performance in an online course.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6(1), 21-40. 

  53. Pintrich, P. R. (2003). A motivational science perspective on the role of student motiva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contex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4), 667-686. 

  54. Richardson, J. C., & Newby, T. (2006). The role of students' cognitive engagement in online learning.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20(1), 23-37. 

  55. Spanjers, D. M. (2007). Cognitive engagement as a predictor of achiev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innesota. 

  56. Steele, J. P., & Fullagar, C. (2009). Facilitators and outcomes of student engagement in a college setting. Journal of Psychology: Interdisciplinary and Applied, 143, 5-27. 

  57. Steuer, J. (1993).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42(4), 73-93. 

  58. Stipek, D. J. (1998). Motivation to learn: From theory to practice(3rd ed.). Boston: Allyn and Bacon. 

  59. Thornam, C. L. (2003). Teaching presence in face-to-face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lorado, Denver. 

  60. Tu, C.H., & McIsaac, M. (2002). The Relationship of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on on Online Classes. The American Jounal of Distance Education, 16(3), 131-150. 

  61. Wang, M. J., & Kang, M. (2006). Cybergogy for engaged Learning: A Framework for creating Learner Engagement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M. S. Kinde (Ed.),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y. 225-253.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62. Witmer, B. G., & Singer, M. J. (1998). Measuring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 A presence questionnaire. Presence, 7(3), 225-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