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목렌즈로 관찰되는 상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이해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Image Observed in a Diverging Len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5, 2015년, pp.871 - 876  

권경필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오목렌즈로 관찰되는 상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이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29명의 3학년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2009개정 과학교육과정 '오목렌즈로 물체 관찰하기' 탐구활동을 수행하게 하였으며, 탐구활동에서 예비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상의 크기 비교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둘째, 렌즈로부터 멀리 떨어진 물체가 더 작게 관찰되는 원인을 옳게 설명하지 못했다. 셋째, 눈과 렌즈사이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른 상의 크기 변화를 옳게 설명하지 못했다. 넷째, 오목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 개념을 5단계로 나누었으며,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1단계에 머물러 있었다. 연구결과로부터 초등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제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image observed in a diverging le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Scientific inquiry activity of 'Observing Objects through a Diverging Lens' in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car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눈과 오목 렌즈 사이의 거리를 한 팔 길이 정도로 하고 한 뼘 길이 정도 떨어진 물체와 한 팔 길이보다 멀리 떨어진 물체를 관찰하여 서로 다른 차이점을 알아보게 하였다. 예비교사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오목렌즈로 관찰되는 상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이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29명의 3학년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2009개정 과학교육과정 ‘오목렌즈로 물체 관찰하기’ 탐구활동을 수행하게 하였으며, 탐구활동에서 예비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 조사하였다.
  • 넷째, 오목렌즈에 의한 상의 형성 개념을 5단계로 나누었으며,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1단계에 머물러 있었다. 연구결과로부터 초등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제고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또한 이러한 어려움은 교사의 잘못된 비유나 예, 또는 부적절한 표현에 의해 오히려 학생들에게 오개념으로 정착되거나 또는 학생들이 기존에 갖고 있던 오개념을 더욱 강화하게 될 수도 있다(Kwak, 2009). 이에 오목렌즈로 물체를 관찰하는 탐구실험을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직접 수행해 보게 함으로써 탐구 수행의 어려움과 관찰된 상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예비 교사 양성교육과정 및 오목렌즈 관련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2009개정 교육과정 6학년 1학기 과학 ‘렌즈이 이용’ 단원은 기존의 교과서에서 다루던 렌즈에 의해 형성되는 상 이외에 렌즈에 의해 형성된 상을 눈으로 관찰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학습하게 함으로써 상황을 좀 더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고 생각된다. 즉, 렌즈와 눈 사이의 거리를 또 다른 변인으로 고려함으로써 눈과 렌즈 사이의 거리가 물체의 상에 어떤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예측을 하게 한다. 따라서 관찰되는 상이 렌즈에 의한 효과인지 눈과 렌즈에 의한 복합적인 효과인지 구분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들이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반드시 숙지해야할 사항은 무엇인가?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학생들은 학습 이전에 여러 경험을 통해 학습할 내용에 대한 많은 선개념(preconception)을 가지고 교실에 들어오며, 학생들의 이러한 선개념은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교사들이 반듯이 숙지해야할 사항중 하나이다(Cho & Choi, 2002). 특히 ‘빛’과 같이 비가시적 자연현상에 대한 개념은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들에서도 많은 오개념으로 나타나고 있다.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학생들은 교실에 들어올 때 어떤 것을 가지고 들어오는가?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학생들은 학습 이전에 여러 경험을 통해 학습할 내용에 대한 많은 선개념(preconception)을 가지고 교실에 들어오며, 학생들의 이러한 선개념은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교사들이 반듯이 숙지해야할 사항중 하나이다(Cho & Choi, 2002). 특히 ‘빛’과 같이 비가시적 자연현상에 대한 개념은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들에서도 많은 오개념으로 나타나고 있다.
교사들이 물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에 따른 상의 변화에 대한 설명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이유는? 첫째, 눈과 오목 렌즈 사이의 거리를 한 뼘 길이 정도로 하고 한뼘 길이 정도로 가까이 있는 물체와 한 팔 길이보다 멀리 있는 물체를 관찰하거나 눈과 오목렌즈 사이의 거리를 한 팔 길이 정도로 하고 한 뼘 길이 정도로 가까이 있는 물체와 한 팔 길이보다 멀리 있는 물체를 관찰할 때 예비교사들은 물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에 따른 상의 변화를 설명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있었다. 초등예비교사들이 두 경우에 대해 다양한 관찰 결과를 제시한 것은 교과서에서 ‘한 뼘 길이 정도로 가까이’ 또는 ‘한 팔 길이보다 멀리’와 같이 명확하지 않은 거리 표현의 사용과 함께 서로 다른 크기의 물체를 관찰하게 함으로써 상의 크기를 비교하기 어렵게 했기 때문이다. 초등예비교사들에게도 이러한 혼란이 생기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더 많은 혼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nderson, C. W., & Smith, E. L. (1986). Research series No. 166, Children's conception's of light and color: Understanding the role of unseen rays. Michigan State University. 

  2. Cho, H.-Y., & Choi, K.-H. (2002). Science Education: Constructivist Perspectiv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4), 820-836. 

  3. Lee, S.-K., Choi, C. I., Lee, G., Shin, M.-K., & Song, H. (2013) Exploring Scientific Reasoning i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Discour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181-192. 

  4. Ministry of Education (2015). Science 6-1, Seoul: MiraeN. 

  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2009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 Goldberg, F. M., & McDermott, L. C. (1986). Student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image formation by a plane mirror. The Physics Teacher, 24(8), 472-480. 

  7. Guesene, E. (1985). Light : in Children's ideas in Science, Driver, R., Guesen, E.,& Tiberghien, A.(Eds), Milton Keynes,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8. Kim, Y.-S., & Paik, S.-H. (2008) The Cognition Changes Related to the Teaching Methods of “Light” Chapter for 7th Grade as Experienced by Science Teachers in Abduction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6), 507-518. 

  9. Kwak, Y.-S. (2009). Research on the effects of subject matter knowledge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classroom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6), 611-625. 

  10. Kwon, G.-P. (2013).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Imag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4), 527-534. 

  11. Paik, S.-H., & Jung, Y.-K. (2009). A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Light and Image' and chang of perception related to learing cont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3), 245-262. 

  12. Park, J.-H. (2004). The investigation of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ray tracing and mixing of colored light in the 'Light" of korean 7th grade curriculum.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13. Ronen, M., & Eylon, B. (1993). To see or not to see: the eye in geometrical optics-when and how? Physics Education, 28, 52-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