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 김치로부터 분리한 프로바이오틱 균주에 의한 지실추출물 발효와 항산화능 분석
Probiotic Microbial Fermentation of Poncirus trifoliata Extract by Probiotic Strain Isolated from Fermented Gimchi and Antioxidant Activity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2 no.3, 2015년, pp.568 - 577  

배영민 (창원대학교 미생물학과) ,  유선균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부의 피부 노화, 질환, 훼손은 내부적인 요인으로서 활성산소라는 사실이 밝혀진 이래로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물 항산화제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들 중에 지실은 오래전부터 만성적인 염증, 알리지 완화, 황산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는 조직에 결합 되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의 유리로 생체이용율(bioavailability) 훨씬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 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실 열수 추출물을 기질로 GRAS 알려진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를 수행하고 발효가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하였다. 지실 열수 추출물은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는 hesperidine, naringine, luteoilin, imperatorin등의 플라보노이드 및 furocoumarin등이 동정이 되었고 함유량은 hesperidine naringine, imperatorin, luteolin 순이었다. 열수 추출물을 기질로 하여 분리된 Leuconostocs sp. strain JYK로 발효를 수행한 결과 지실 열수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71.2{\pm}4.58(mg/g)$총 페놀 함량이 있는 것으로 측정이 되었고 반면에 발효 추출물에는 $89.2{\pm}13.47(mg/g)$으로 약 25.3%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지실 열수 추출물에는 $25.1{\pm}4.12(mg/g)$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있는 것으로 측정이 되었고 반면에 발효 추출물에는 $31.0{\pm}4.06(mg/g)$으로 약 23.5%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소거능은 지실 열수 추출물에는 70.9% 반면에 발효 추출물은 86.2% 측정이 되었다. 총 항산화 능력은 18.7% 발효추출은 26.6%로 발효를 통하여 약 40% 증가하였다. 따라서 미생물 발효를 통하여 천연물에 포함이 되어있는 기능성 물질에 대한 생체 이용률을 높인다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 노화 완화 및 개선 작용으로 기능성 화장품 및 식품의 소재로 활용 가치를 높여 줄 것으로 기대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otect skin problems, new natural material alternative to synthetic antioxidants has been extensively selected from natural sources such as plants, animals, and microorganisms. Poncirus trifoliata of those has been widely used as treatment of allergy,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and natura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지실을 소금에 절여 비살균 자연 발효 시킨 후에 추출하여 미백제품에 적용한 사례는 있으나 프로바이오틱(probiotic)과 같은 단일 균주를 이용한 미생물발효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실 추출물을 기질로 발효 김치로부터 일반적으로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알려진 프로바이오틱 균주를 분리를 하여 발효를 수행하고 발효생성물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 원인은? 그러나 산화적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받은 세포들은 위와 같은 균형이 해체 되고 세포내 활성 산소들 대량으로 증가를 한다. 세포에 대한 산화적 스트레스 원인들은 일반적으로 cigarette smoke, extreme temperature change 및 UV 광선으로 알려 졌다.
지실의 염증 및 알러지 완화, 소화 촉진 효능과 관계된 것으로 보이는 생리 활성 물질은? 지실은 오래전부터 만성적인 염증, 알리지 완화, 소화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왔다[11-12]. 이러한 기능과 관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생리활성 물질들인 poncrin, coumarin, hesperibine, naringin, phellopterin 등이 동정이 되었다고 보고되었다[13-14]. 지실은암세포의 자살을 촉진 시키는 것으로 anti-leukemic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15].
활성산소 소거를 위한 합성 항산화제의 종류는? ), hydrogen peroxide (H2O2), 및 singlet oxygen (1O2)으로 이루어졌다[3]. 따라서 활성산소 소거를 위해 합성 항산화제들인 BHT(butylated hydrxyltolune), BHA(butylatedhydroxyanisole), TBHQ(tert-butylhydroquinnoe), PG(propyl gallate)등이 상업적으로 사용이 되어왔지만 그들의 독성 및 발암 가능성 등에 대하여 의문시 되어 왔다[6]. 따라서 식물성 천연물 유래flavonoids, phenolics, limonoids, cartenoids, coumarins, phytosterols 같은 항산화 물질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집중적으로 보고되고 있다[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Liyana PCM, Shahidi F: Importance of insoluble bound phenolics to antioxidants properties of wheat. J Agri food Chem 54 : 1256-1264, 2006. 

  2. Rieger MM, Pains M: Oxidative reactions in and on the skin: mechanism and prevention. Cosmetic Toiletries108 : 43-56, 1993. 

  3. Ruberto G, Baratta MT, Biondi DM, and Amico V: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of the marine algal genus Cystoseira in a micellar model system. J Appl Phycol 13 : 403-407, 2001. 

  4. Harman D: Role of free radicals in aging and diseases. Ann NY Acad Sci 673 : 126-132, 1992. 

  5. Oikarinen A: The aging of skin: chronoaging verse photoaging. Photodermatol, Phytommunol. photomed 7 : 3-4, 1990. 

  6. Shahidi F: Antioxidants in food and food antioxidants. Nahrung 44 : 158-163, 2000. 

  7. Craig WJ : An intorduction to free radical biochemistry. Brit Med Bull 49 : 481-493, 1999. 

  8. Karl JH, John MF: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sition of fresh, frozen, jarred and canned vegetables. Innovative Food Science and Emerging Technologies 3 : 399-406, 2002. 

  9. Ou B, Hampsch-Woodill M, Flanagan J. Deemer E.K, Prior RL, Huang D: Novel fluorometric assay for hydroxyl radical prevention capacity using fluorescein as the probe. J Agri Food Chem 50 : 2772-2777, 2002. 

  10. Lee S, Kim JH, Shun HK: Contents of poncirin and naringin in fruit of Poncirus trifoliata according to different harvesting times and locations for two years. Kor J Pharmacogn 42: 138-143, 2011. 

  11. Lee HT, Seo EK, Chung SJ, Shim CK: Prokinetic activity of an aqueous extract from dried immature fruit of Poncirus trifoliate (L.) Raf. J Ethnopharmacol 102 : 131-136, 2005. 

  12. Kim HM, Kim HJ, Park ST: Inhibition of immunoglobulin E production by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J Ethnopharmacol 66 : 283-288, 1999. 

  13. Ogawa K, Kawasaki A, Yoshida T, Nesumi H, Nakano M, Ikoma Y, Yano M: Evaluation of auraptene content in citrus fruits and their products. J Agric Food Chem 48 : 1763-1769, 2000. 

  14. Nizamutdinova IT, Jeong JJ, Xu GH, Lee SH, Kang SS, Kim YS, Chang KC, Kim HJ: Hesperidin, hesperidin methyl chalone and phellopterin from Poncirus trifoliate (Rutaceae) differentially regulate the expression of adhesion molecules in tumor necrosis factor- ${\alpha}$ -stimulat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Int Immunopharmacol 8 : 670-678, 2008. 

  15. Jayaprakasha GK, Mandadi KK, Poulose SM, Jadegoud Y, Nagana GGA, Patil BS: Inhibition of colon cancer cell growth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ioactive compounds from Poncirus trifoliate (L.). Raf Bioorg Med Chem 15 : 4923-4932, 2007. 

  16. Lee E: Antihyper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Poncirus trifoliata. Korea J Plant Res 19 : 279-276, 2006. 

  17. Hubert J, Berger M, Nepveu F, Paul F, Dayde J: Effects of fermentation on the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oy germ. Food Chemistry 109: 709-721, 2008. 

  18. Katina K, Liukkonen KH, Kaukovirta-Norja A, Adlercreutz H, Heinonen SM, Lampi AM: Fermentation-induced changes in the nutritional value of native or germinated rye. J Cereal Sci 46 : 348-355, 2007. 

  19. Thomson, J.D., D.G. Higgins, and T.J. Gibson.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 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 22, 4673-4680, 1994. 

  20. Nidaye M, Philippe C, Mukhtar H, Ahmad N: The grape antioxidant resveratrol for skin disorders: promise, prospects, and challenges. Archives Biochem Biophy 508 : 164-170, 2011. 

  21. Hirata A, Murakami Y, Shoji M, Kadoma Y, Fujisawa S: Kinetics of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hesperidin and hesperidin and their inhibitory activity on COX-2 expression. Anticancer Res 25 : 3367-3374, 2005. 

  22. Schindler R, Mentlein R: Flavonoids and vitamin E reduce the release of the angiogenic peptid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from human tumor cells. J Nutr 136 : 1477-1482, 2006. 

  23. Kelley KW, Johnson RW: Luteolin reduces IL-6 production in microglia by inhibiting JNK phosphorylation and activation of AP-1. Proc Natl Acad Sci 105 : 7534-7539, 2008. 

  24. Jeon RH, Choi HJ, Moon SJ, Na MS: The effects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with Poncirus trifoliata ethanol extracts during growth. J Kor Soc Cosm 4 : 1225-1230, 2010. 

  25. Lee YS, Yoon HG, Kim NW: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ife fruit of Poncirus trifoliata. Korean J Food Presev 17 : 698-705, 2010. 

  26.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inermis Rehder.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2006. 

  27. Ahn MS, Kim HJ, Sed MS: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Cirus unshju peel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22: 454-461, 2007. 

  28. You JM,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005. 

  29.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Sci Technol 36 : 333-338, 2004. 

  30. Pitchumoni SS, Doraiswamy PM: Current status of antioxidant theraphy for alzheimers disease. J Am Geriatr Soc 46 : 1566-1572, 1998. 

  31. Miller NJ, Davis MJ, Copinaththan V, Milner A: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application to monitoring the antioxidant status in premature neonants. Clinical Science 26 : 265-277,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