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나무 유전자원의 항산화능 비교
Anti-oxidative capacity of mulberry genetic resources 원문보기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v.53 no.2, 2015년, pp.71 - 77  

김현복 (국립농업과학원) ,  석영식 (강원도 농산물원종장) ,  서상덕 (충남 잠사곤충사업장) ,  성규병 (국립농업과학원) ,  김성국 (국립농업과학원) ,  조유영 (국립농업과학원) ,  권해용 (국립농업과학원) ,  이광길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ch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activity of the natural antioxidants present in fruits and vegetables, because potentially these components may reduce the level of oxidative stress. Especially, mulberry leaves containing many natural components are considerable resource for natural antioxid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지금까지 뽕 유전자원의 항산화능에 대해 품종별, 부위별, 채취시기별, 채취지역별, 국내외 수집 유전자원별로 살펴봄과 동시에 일반인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뽕잎차의 항산화능에 대해 타 음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처럼 뽕잎은 항산화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며 다양한 효능이 보고됨에도 불구하고 열매인 오디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용되지 못함으로써 농가소득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 특히 표 5에서 산상형의 특징을 갖는 No. 7 개체 뽕나무는 뽕잎의 항산화능이 높을 뿐 만 아니라 뽕나무의 생육 상태 및 오디의 결실 상태도 양호했으므로 기능성 및 오디생산용 육종 유전자원으로 이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수집하여 증식하였다.
  • 항산화능 측정장치(minilum L-100, ABCD GmbH) 및 ARAW-KIT(anti-radical ability of water-soluble substance)를 사용하였으며, ascorbic acid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calibration curve를 작성하였다.

이론/모형

  • 시료의 항산화능과 분석에 소요되는 전처리 시간을 고려하여 80% MeOH, 30 sec. vortex mixing 방법을 기준 전처리 방법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dallu B, Varadacharyulu NC (2003) Antioxidant role of mulberry (Morus indica L. cv. Anantha) leaves in streptozotocindiabetic rats. Clinica Chimica Acta 338, 3-10. 

  2. Chen PN, Chu SC, Chiou HL, Kuo WH, Chiang CL, Hsieh YS (2005) Mulberry anthocyanins, cyanidin 3-ritonoside and cyanidin 3-glucoside, exhibited an inhibitory effect on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a human lung cancer cell line. Cancer Lett Jun 21, 1-12. 

  3. Chung KO, Kim BY, Lee MH, Kim YR, Chung HY, Park JH, Moon JO (2003) In-vitro and in-vivo anti-inflammatory effect of oxyresveratrol from Morus alba L. J Pharm Pharmacol 55(12), 1695-1700. 

  4. Dai SJ, Ma ZB, Wu Y, Chen RY, Yu DQ (2004a) Guangsangons F-J,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diels-alder type adducts, from Morus macroura Miq. Phytochemistry 65, 3135-3141. 

  5. Dai SJ, Mi ZM, Ma ZB, Li S, Chen RY, Yu DQ (2004b) Bioactive diels-alder type adducts from the stem bark of Morus macroura. Planta Med 70(8), 758-763. 

  6. Dai SJ, Wu Y, Wang YH, He WY, Chen RY, Yu DQ (2004c) New diels-alder type adducts from Morus macroura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Chem Pharm Bull 52(10), 1190-1193. 

  7. Dean RT, Gieseg S, Davies MJ (1993) Reactive species and their accumulation on radical damaged proteins. Trends Biochem Sci 18, 437-441. 

  8. El-Beshbishy HA, Singag ANB, Sinkkonen J, Pihlaja K (2005) Hypo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Morus alba L. (Egyptian mulberry) root bark fractions supplementation in cholesterol-fed rats. Life Sci Nov 24. 

  9. Hassimotto NMA, Genovese MI, Lajolo FM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dietary fruits, vegetables, and commercial frozen fruit pulps. J Agric Food Chem 53, 2928-2935. 

  10.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istry 64, 555-559. 

  11. Kim AJ, Kim HB, Bang IS, Kim SY (2006a) The effects of mulberry fruit extract supplementation on the serum mineral contents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of middle-aged humans living in Choongnam a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2), 284-289. 

  12. Kim HB (2005a) Anti-oxidative capacity analysis of water-soluble substances according to varieties and maturity stages in mulberry leaves and fruits. Korean J Seric Sci 47(2), 62-67. 

  13. Kim HB (2005b) Antioxidant capacity analysis of water-soluble substances according to maturity stages in yield-type mulberry leaves and fruits collected from Kang-Won province. Korean J Seric Sci 47(2), 93-98. 

  14. Kim HB, Kang CK, Sung GB, Kang SW, Lee JR (2007a) Antioxidative capacity of mulberry leaf and its tea. Korean J Seric Sci 49(1), 18-23. 

  15. Kim HB, Koh SH, Oh NK, Jeong JS, Sung GB, Hong IP, Chung IM, Lee KG (2007b)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mulberry genetic resources conserved by Jeollabuk- Do. Korean J Seric Sci 49(2), 60-66. 

  16. Kim HB, Koh SH, Seok YS (2006b) Anti-oxidative effect of 'Cheongilppong' with mulberry leaves according to different collection areas and some kinds of mulberry branches. Korean J Seric Sci 48(2), 41-45. 

  17. Lorenz P, Roychowdhury S, Engelmann M, Wolf G, Horn TFW (2003) Oxyresveratrol and resveratrol are potent antioxidants and free radical scavengers: effect on nitrosative and oxidative stress derived from microglial cells. Nitric Oxide 9, 64-76. 

  18. Oh HC, Ko EK, Jun JY, Oh MH, Park SU, Kang KH, Lee HS, Kim YC (2002) Hepatoprotec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renylflavonoids, coumarin, and stilbene from Morus abla. Planta Med 68, 932-934. 

  19. Sharma R, Sharma A, Shono T, Takasugi M, Shirata A, Fujimura T, Machii H (2001) Mulberry moracins: scavengers of UV stress-generated free radicals. Biosci Biotehnol Biochem 65(6), 1402-1405. 

  20. Tewari RK, Kumar P, Sharma PN (2005) Antioxidant responses to enhanced generation of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in the copper-stressed mulberry plants. Planta 15, 1-9. 

  21. The Korean Society of Sericultural Science & Department of Sericulture and Entomolog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2000) The history of Korea's sericulture technology for 100 years (1900-2000). 

  22. Yen GC, Wu SC, Duh PD (1996)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nents from the leaves of mulberry(Morus alba L.). J Agric Food Chem 44, 1687-1690. 

  23. Yun SJ, Lee WC (1995)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pharmac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in mulberry 1. variet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flavonol glycoside content in leaves. RDA J Agri Sci 37, 201-205. 

  24. Zadernowski R, Naczk M, Nesterowicz J (2005) Phenolic acid profiles in some small berries. J Agric Food Chem 53, 2118-21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