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상잡병(內傷雜病) 개념 형성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Concept Formation of Neishangzabing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8 no.4, 2015년, pp.179 - 192  

백유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n this article, the concept of Neishang and Zabing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terms, are investigated. Methods :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Neishang and Zabing, for example, Huangdineijing, Shanhanlun, Jinguiyaolue etc are selected and then the analysis and inv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雜病의 개념은 外感病 이외의 질환을 총칭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인식되었으므로 오히려 단일한 분류체계로서는 부각되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만약 후대에 雜病 개념이 협의로 사용된 경우라면, 이에 대한 구체적인 病證, 症狀들을 조사하여 그 특징을 도출하여야 보다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나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하여 진행되기를 기대하며 본 논문에서는 우선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각 개념이 어떻게 변천되었는지를 참고적으로 살펴보는 정도에 그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글에서는 한의학 초기의 전적인 『黃帝內經』, 『傷寒論』, 『金匱要略』 등을 중심으로 內傷과 雜病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어떠한 의미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양자 간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고찰해 보았다. 특히 病因의 관점과 손상된 주체 또는 부위의 차이에 따라서 이후 역사적으로 內傷과 雜病의 개념이 어떻게 규정되고 변천되었는지를 참고적으로 간략히 살펴보았다.
  • 특히 『傷寒論』이 주로 外感으로 인한 六經病證을 다루고 있어서, 그에 비하여 『金匱要略』이 주로 雜病을 설명하며 여기에 內傷 개념이 붙어서 內傷雜病이라는 용어가 쓰이게 된 것으로 보인다41). 본 글에서는 『傷寒論』과 『金匱要略』에 나타난 雜病의 특성이 어떠한지, 그것이 『黃帝內經』에서 보이는 內傷의 개념과 어떠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같은 책에서 雜病에 대하여 『傷寒雜病論』 시대에는 “상한 이외의 여러 과의 병증(주로 내과병증)을 통틀어서 잡병이라 했는데” 근대에는 傷寒과 溫病 이외의 내과 병증을 가리킨다고 설명하고 있다10). 이와 같이 다양한 內傷과 雜病의 의미가 초기에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며 이후의 변천 과정에 대해서는 질병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글에서는 한의학 초기의 전적인 『黃帝內經』, 『傷寒論』, 『金匱要略』 등을 중심으로 內傷과 雜病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어떠한 의미로 사용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양자 간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고찰해 보았다. 특히 病因의 관점과 손상된 주체 또는 부위의 차이에 따라서 이후 역사적으로 內傷과 雜病의 개념이 어떻게 규정되고 변천되었는지를 참고적으로 간략히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內傷雜病이란 무엇인가? ‘內傷雜病’은 ‘內傷’과 ‘雜病’의 두 용어가 결합된 것으로 이미 『黃帝內經』에 나타나는데 ‘內傷’은 『素問․疏五過論』에서 “故貴脫勢, 雖不中邪, 精神內傷, 身必敗亡.”1)이라 하고, 『靈樞․百病始生』에서 “卒然外中於寒, 若內傷於憂怒, 則氣上逆, 氣上逆則六輸不通.. .”2)이라 하여 七情 등 精神의 손상을 의미하거나, 『 靈樞․終始』에서 “命曰陰陽俱溢, 如是者, 不開則血脈閉塞, 氣無所行, 流淫於中, 五藏內傷.”3)라고 한 것처럼 인체 내부의 五臟이 손상된 것을 의미하고 있다4). ‘雜病’은 『黃帝內經』에서 『靈樞․雜病』의 편명으로서 유일하게 언급되고 있는데5) 해당 편에서는 厥證, 心痛 및 인체 각 부위와 관련된 병증들의 증상과 치료법을 제한적으로 설명하고 있을 뿐이다.
內傷을 공간적 관점에서 규정하면 어떤 의미인가? 內傷의 의미를 病因의 관점이 아니라 공간적 관점에서 규정한다면, 인체의 내부가 손상된 것을 말한다. 물론 이 경우 ‘內’는 실제 내부가 아니라 추상적 공간 모델 속의 개념일 수 있다.
金匱要略에 나타난 病證 분석 시 증상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 病의 성격을 가진 것들은 무엇이 있는가? 우선 『金匱要略』에 나타난 病證들을 분석해 보면, 그 가운데 증상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 독립적인 病의 성격을 가진 것들이 대략 40여종이 된다. 痓, 百合, 狐惑, 瘧, 歷節病, 肺痿, 肺癰, 奔豚, 疝, 瘡癰, 腸癰, 蚘蟲 등은 분명히 독립된 病으로 보이며, 熱入血室은 病名으로 쓰이지는 않았으나 이미 『傷寒論』에서 하나의 證으로 사용되고 있어서 病에 가까운 것으로 보아야 한다. 濕家, 失精家, 中寒家, 嘔家, 欬家, 支飮家, 淋家, 黃家, 衄家, 飮家 등과 같이 『黃帝內經』에 나타나지 않는 ‘家’字가 붙은 용어들은 확실한 病으로 볼 수는 없으나 평소에 해당 병증을 자주 앓았던 사람을 가리키므로 病이 새로 발생하기 전에 어떠한 素因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篇名 중에는 黃疸, 痰飮, 水氣病, 婦人産後病 등과 같이 질병군을 의미하는 것이 있으며, 예를 들어 痰飮病은 다시 세부적으로 痰飮, 懸飮, 溢飮, 支飮 등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편명에 포함된 기타 病名들은 독립된 病이라기보다 해당 증상을 포함하고 있는 證候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金匱要略』에서는 外感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 病證들을 다루고 있어서 이들을 모두 ‘雜病’ 으로 본다면 그 범위가 매우 넓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Nanjingzhongyixueyuan. Zubingyuanhoulunjiaoshi(1). Beijing. Renminweichengchubanshe. 1980. 南京中醫學院. 諸病源候論校釋(上).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0. 

  2. Nanjingzhongyixueyuan. Zubingyuanhoulunjiaoshi(2). Beijing. Renminweichengchubanshe. 1980. 南京中醫學院. 諸病源候論校釋(下).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0. 

  3. Oriental Medicine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ed. Dongyangulhakdaesajeon(5). Seoul. Publisher of Kyunghee university. 1999.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東洋醫學大辭典. 서울. 경희대학교출판국. 1999. 

  4. Compiled by Moon JJ et al. Interpretation of Shanghanlun. Seoul. Publisher of Kyunghee Univ. 1996. 文濬典 외. 傷寒論精解. 서울. 慶熙大學校出版局. 1996. 

  5. Sunsimiao. Beijiquanjinyaofang. Seoul. Daeseongchulpansa. 1984. 孫思邈. 備急千金要方. 서울. 大星出版社. 1984. 

  6. Wangdao. Waitaimiyaofang. Beijing. Huaxiachubanshe. 1993. 王燾. 外臺秘要方. 北京. 華夏出版社. 1993. 

  7. Ligao. Bingjiqiyibaomingji. Shanghai. Shanghai Ancient Works Publishing House. 1991. 李?. 病機氣宜保命集外七種.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1. 

  8. Lichan. Yixuerumen. Seoul. Daeseongchulpansa. 1989. 李?. 編註醫學入門. 서울. 大星出版社. 1989. 

  9. Zhangjiebin. Jingyuequanshu. Seoul. Beopinmuhwasa. 2007. 張介賓. 景岳全書. 서울. 法仁文化社. 2007. 

  10. Chenjifan. Jinguiyaolue. Beijing. Renminweichengchubanshe. 2000. 陳紀蕃 主編. 金?要略.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0. 

  11. Chenwuzhai. Sanyinjiyibingzhengfanglun. Beijing. Renminweichengchubanshe. 1957. 陳無擇. 三因極一病證方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57. 

  12. Heojun. Donguibogam. Seoul. Beopinmuhwasa. 2012. 許浚. 對譯東醫寶鑑. 서울. 法仁文化社. 2012. 

  13. Hongwonsik. Jeonggyohwangjenaegyeongsomun. Seoul.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981. 洪元植.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1981. 

  14. Hongwonsik. Jeonggyohwangjenaegyeongywongchu. Seoul.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981. 洪元植. 精校黃帝內經靈樞.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1981. 

  15. Hongwonsik. Chinese Medical History.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1984. 洪元植. 中國醫學史.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1984. 

  16. Qulifang. A Study on the Contribution of Jinguiyaolue to Syndrome Differentiation of Neishangzabing. Chinese Journal of Basic Medicine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2. 18(2). 曲麗芳. 論金?要略對內傷雜病辨證方法的公憲. 中國中醫基礎醫學雜誌. 2012. 18(2). 

  17. Luying et al.. A Study on the Theory of Emotions in Sanyinjiyibingzhengfanglun. Jili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3. 33(8). 祿穎 外 3人. 三因極一病證方論七情學說特點分析. 吉林中醫藥. 2013. 33(8). 

  18. Wangmaohong, Gaosheng, Zhangxiaoping. A Study on the Relation of Waiganbing and Neishangzabing in Shanhanlun. Yaon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2. 39(5). 王茂泓, 高生, 張小萍. 傷寒論外感病證與內傷雜病的關係探討. 遙寧中醫雜誌. 2012. 39(5). 

  19. Jiangxiaomin.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Emotional Disease in Shanghanlun. Journal of Jiangxi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5. 17(2). 蔣小敏. 傷寒論中情志病診治特色分析. 江西中醫學院學報. 2005. 17(2). 

  20. Zhugelianxiang. A Study on the Important Effect of Wuzangzhengqi on Neishangzabing in Jinguiyaolue. Yunnanzhongyixueyuanxuebao. 1980. 3. 諸葛連祥. 從金?要略看五臟正氣在內傷雜病防治中的重要作用. 雲南中醫學院學報. 1980. 3. 

  21. Chenzhongre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Neishangzabing. Guiyangzhongyixueyuanxuebao. 1987. 4. 陳忠仁. 內傷雜病縱橫剖析. 貴陽中醫學院學報. 1987. 4. 

  22. Caigan. The Thought of Lidongyuan about Neishangzabing Treatment and Drug management. Acta Universitatis Traditionis Medicalis Sinensis Pharmacologiaeque Shanghai. 2013. 27(3). 蔡?. 李東垣辨治內傷雜病的學術思想與遣方用藥特色. 上海中醫藥大學學報. 2013. 27(3). 

  23. Xingyurui. A Study on the Concept of Emotional Cause. China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2015. 30(8). 邢玉瑞. 情志病因槪念硏究. 中華中醫藥雜誌. 2015. 3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