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핵심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에 따른 TV광고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Including Types of Creative Elements in TV Advertis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1, 2015년, pp.58 - 73  

이희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  조창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TV 광고의 핵심적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TV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를 조작한 후 브랜드 친숙도, 성별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광고 효과를 측정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광고 태도와 브랜드 태도 측면에서 제품 및 비제품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광고가 비제품 요소가 포함되지 않은 광고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브랜드 친숙도가 높을 경우,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에 대한 호의적 평가의 강도가 높았다. 셋째, 브랜드 친숙도가 낮을 경우, 남성 소비자는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에 대하여 여성 소비자보다 높은 강도의 호의적 광고 태도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광고의 핵심적 크리에이티브 요소들이 광고에 포함되는 형태에 따라 소비자는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실증적으로 확인한 것으로서, 이는 향후 광고 제작 시 광고 집행 상황에 따른 적절한 표현전략의 실질적 가이드라인이 되어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ad novelty, certain types of ads are frequently created to gain consumers' attention leaving out some of the main creative elements which have generally been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producing ad effectiveness. Given circumstance, this experimental study examine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TV광고의 핵심 크리에이티브 요소를 제품 요소와 비제품 요소로 구분한 후, 이들 요소의 포함 형태에 따른 광고 효과와 브랜드 친숙도 및 성별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하였듯이, 국내외 여러 연구들은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요소를 소비자의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주요한 기제로 보았으나, 주로 개별적 크리에이티브 요소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주목해왔기 때문에 핵심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에 따른 광고 효과에 대한 체계적 논의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광고의 핵심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 광고되는 브랜드의 친숙도, 성별이 광고 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 설계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험 설계를 위한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그 동안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에 따른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었음을 보완하는 데 그 의의가 있으며, 특히 광고 제작 전문가의 협조를 받아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를 연구 목적에 맞게 조작한 다음 그 효과를 검증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내적 타당성은 확보되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동일한 광고에 대하여 두 가지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와 광고되는 브랜드의 친숙도가 높고 낮음에 따라 조작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3]에 요약되었다.
  • 자동차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요소 포함형태를 조작함에 있어 먼저 제품 요소, 즉 제품의 모습 또는 제품명 및 제품 관련 메시지 요소로 구성된 광고와, 여기에 기타 비제품 요소인 광고 모델, 배경 음악, 나래이션(제품과 무관한 메시지)가 포함된 광고를 개발하였다. 실제 방영이 가능할 정도의 크리에이티브 수준을 갖춘 광고를 개발하기 위하여 광고제작 전문가의 협조를 받았는데, 이는 실제적 광고 반응에 가까운 결과를 얻기 위한 목적이었다. 실험 제품군의 선정 시 자문을 구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에게 연구의 목적을 상세히 설명한 다음, 제품 및 비제품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광고와 제품 요소만으로 구성된 광고를 제작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 이 같은 문제 인식 하에 본 연구는 광고의 핵심적 크리에이티브 요소들의 포함 형태에 따라 광고 효과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을 해봄으로써 효과적인 광고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향후 광고 크리에이티브 관련 연구 분야의 다양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그 동안 이론적 논의가 드문 편이었던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들의 영향력에 대한 후속 연구로서 개별적 크리에이티브 요소가 아닌 제 요소의 포함 형태에 따른 영향력에 관한 연구이며,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별 TV 광고를 실제로 제작하여 광고 효과에 대해 검증한 최초의 실험 연구라는 의의를 지닌다. 금번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제작자들에게 실질적인 전략적 가이드라인이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가설 설정

  • [가설 1] 광고의 핵심 크리에이티브 요소 중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는 비제품 요소가 포함되지 않은 광고보다 더 긍정적인 광고 효과(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를 유발할 것이다.
  • [가설 2] 소비자의 브랜드 친숙도가 높을 경우에는 친숙도가 낮을 때보다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가 비제품 요소가 포함되지 않은 광고보다 더 긍정적인 광고 효과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를 유발할 것이다.
  • [가설 3-1] 여성 소비자일 경우에는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가 비제품 요소가 포함되지 않은 광고보다 더 긍정적인 광고 효과(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를 유발할 것이다.
  • [가설 3-2] 남성 소비자일 경우에는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와 비제품 요소가 포함되지 않은 광고에 대한 광고 효과(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 [가설 3]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와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할 것이다.
  • [가설 4-1] 브랜드 친숙도가 낮을 경우에 남성 소비자는 여성 소비자보다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인 광고 효과(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를 나타낼 것이다.
  • [가설 4-2] 브랜드 친숙도가 높을 경우에는 성별에 따라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와 비제품 요소가 결여된 광고에 대한 광고 효과(광고태도, 브랜드 태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 [가설 4]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와 성별, 브랜드 친숙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할 것이다.
  • 한편,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브랜드의 친숙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가설 2]는 광고 태도에 대해서만 지지되었다.
  •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친숙도가 낮은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들이 지니는 정보 욕구[27]는 특히 남성에게 있어 두드러질 것임을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고의 정보성이 광고 효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남성 소비자는 핵심 정보메시지 위주의 제품 크리에이티브 요소만으로 구성된 광고보다 제품 관련 핵심적 메시지와 함께 비제품 크리에이티브 요소를 통해 전달되는 기타 정보메시지의 총량에서 앞서는 제품 및 비제품 크리에이티브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광고에 대해 보다 긍정적 반응을 보일 것임을 가정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Stern & Resnik(1977)의 연구는 광고에서 전달되는 정보의 총량이 많을수록 소비자의 의사결정에 현명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하였는데[38], 이는 광고의 메시지 전달에 기여하는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수가 늘면 사안과 관련된 정보의 전달이 늘고, 이는 소비자의 인지 반응에 영향을 미치므로 설득을 강화시키는 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요소가 모두 포함되는 광고가 비제품 요소가 포함되지 않은 광고 보다 더 긍정적인 광고 효과가 있을 것임을 가정한다.
  • 본 연구는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가 광고 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브랜드의 친숙도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와 브랜드 친숙도를 독립변수로, 광고 태도와 브랜드 태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고, 두 변수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 가능토록 한 다음 two-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 앞서 살펴본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는 광고의 효과가 발생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따라서 소비자들의 광고에 대한 태도는 핵심적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임이 가정된다. 물론 한 광고에서 무엇이 핵심적인 크리에이티브 요소인가에 대한 견해는 사람들마다 다를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V 광고의 핵심적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의 결과는? 본 연구는 TV 광고의 핵심적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가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TV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를 조작한 후 브랜드 친숙도, 성별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광고 효과를 측정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첫째, 광고 태도와 브랜드 태도 측면에서 제품 및 비제품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광고가 비제품 요소가 포함되지 않은 광고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브랜드 친숙도가 높을 경우,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에 대한 호의적 평가의 강도가 높았다. 셋째, 브랜드 친숙도가 낮을 경우, 남성 소비자는 제품 및 비제품 요소가 모두 포함된 광고에 대하여 여성 소비자보다 높은 강도의 호의적 광고 태도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광고의 핵심적 크리에이티브 요소들이 광고에 포함되는 형태에 따라 소비자는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실증적으로 확인한 것으로서, 이는 향후 광고 제작 시 광고 집행 상황에 따른 적절한 표현전략의 실질적 가이드라인이 되어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브랜드에 대한 친숙성이란? 브랜드 친숙도는 제품과 관련하여 누적된 소비자의 다양한 경험들로 정의될 수 있는데, Alba &Hutchinson(1987)은 브랜드에 대한 지식은 전문성과 더불어 친숙성이라는 주요한 요소로 구성된다고 설명한다[25]. 여기서 친숙성이란 소비자가 누적해온 제품에 관련된 경험의 빈도, 즉 해당 제품 광고에 대한 노출, 정보의 탐색, 판매자 간의 상호작용, 제품이나 브랜드의 선택과 구매결정, 그리고 구매 등을 통한 경험의 누적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친숙한 브랜드의 광고와 광고 메시지에 대해 더 호의적인 해석을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브랜드 친숙도는 광고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광고 크리에이티브 주제 가운데 창의성의 영역의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이유는? 이러한 연구들을 살펴볼 때, 광고 크리에이티브는 크게 광고 창의성 (advertising creativity) 영역과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 (components of advertisement) 영역으로 구분되어 연구가 수행되어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광고 크리에이티브 주제 가운데 창의성의 영역은 그 실무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2][14][15][37], 그 이유는 광고의 창의성은 다분히 주관적이며 비과학적인 요소이고, 구성 개념을 측정하기 어려운 매우 복합적 개념이기 때문에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2][14][15][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병희, "광고 창의성의 개념 분석," 광고학연구, 제13권, 제4호, pp.47-69, 2002. 

  2. 김병희, "광고 창의성과 크리에이티브에 관한 연구 동향과 전망," 광고학연구, 제25권, 제8호, pp.71-103, 2014. 

  3. 김병희, 한상필, "광고 창의성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과 타당성 검증," 광고학연구, 제17권, 제2호, pp.7-41, 2006. 

  4. 김병희, 한상필, "텔레비전 광고의 창의성 척도 개발과 타당화," 광고학연구, 제19권, 제2호, pp.7-42, 2008. 

  5. 김요한, "브랜드 친숙도와 인지욕구에 따른 광고 반복의 설득효과," 광고연구, 연구논문 봄호, pp.37-63, 2008. 

  6. 김정현, "광고 표현요소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4권, 제2호, pp.209-229, 2003. 

  7. 김지영, 강효순, "텔레비전 광고의 요소와 브랜드 선호도와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185-193, 2011. 

  8. 김현숙, 이경렬, 유진한, "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광고커뮤니케이션 3 요인: 브랜드 친숙도, 메시지복잡성, 광고의 노블티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1권, 제1호, pp.311-328, 2010. 

  9. 김화동, "TV 광고에서의 제품 및 상표 친숙도에 따른 정서적 광고 태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5권, 제2호, pp.7-27, 2003. 

  10. 김효규, 유재적, "브랜드 친숙도(Familarity) 에 따른 교통광고 효과 연구," 옥외광고학연구, 제6권, 제2호, pp.23-46, 2009. 

  11. 문달주, 전성률, 김태원, "크리에이티브 요소를 통한 계층적 광고효과 모델에 관한 실증 연구," 광고연구, 제64호, pp.109-137, 2004. 

  12. 부경희, "선호된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요소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8권, 제1호, pp.129-153, 1997. 

  13. 서성한, 김찬경, 임재욱, "도입기와 성숙기의 광고 메시지 전략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55권, 제2호, pp.51-85, 2002. 

  14. 유창조, "광고에 대한 평가요인의 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1권, 제1호, pp.35-51, 2000. 

  15. 유창조, 김광수, 신강균, 김철민, 이화자, "광고 창의성의 구성 및 선행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2권, 제3호, pp.125-143, 2001. 

  16. 유창조, 안광호, 김광식,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수준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표현방식 및 브랜드 명성의 조절효과," 마케팅연구, 제21권, 제4호, pp.23-48, 2006. 

  17. 유현재,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대한 비교 문화적 접근,"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2권, 제4호, pp.26-161, 2010. 

  18. 윤일기, "인쇄광고에 있어서 여백의 효과에 관한 실험 연구: 제품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1권, 제3호, pp.59-69, 2011. 

  19. 이동진, 관계마케팅 전략, 고양 : 피앤씨미디어, 2015. 

  20. 이호배, 정주훈, 박기백,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속성신념과 태도가 홈페이지 광고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29권, 제2호, pp.263-290, 2000. 

  21. 전영우, 윤각, "광고모델의 전문성과 신뢰성이 광고,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세대간 비교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3권, 제1호, pp.108-136, 2001. 

  22. 최민석, 강민철, 양성병, "스마트 사이니지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데이터베이스학회, 제19권, 제4호, pp.115-135. 2012. 

  23. 천현숙, 마정미, "TV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TV CF.co.kr의 광고 댓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4권, 제4호, pp.99-140, 2012. 

  24. 한상필, 이형석, "광고학연구 25년 내용분석: 1990년 창간호부터 2014년 25권 5호까지의 내용 분석과 연구동향," 광고학연구, 제25권, 제8호, pp.7-33, 2014. 

  25. J. W. Alba and J. W. Hutchinson, "Dimensions of consumer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3, No.4, pp.411-454, 1987. 

  26. C. Benko, B. Pelster, P. Silverglate, A. Steinberg and R. Carlos, "How Women Decide," (cover story), Harvard Business Review, Vol.91, No.9, pp.78-84, 2013. 

  27. J. B. Cohen and Basu, Kunal, "Alternative Models of Categorization: Toward a Contingent Processing Framework,"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pp.455-472, Mar. 1987. 

  28. R. H. Ducoffe,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6, No.5, pp.21-35, 1996. 

  29. W. K. Darley and R. E. Smith, "Gender differences in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ies: An empirical test of the selectivity model in advertising response," Journal of Advertising, Vol.24, No.1, pp.41-56, 1995. 

  30. R. Haley, J. Staffaroni, and A. Fox, "The missing measures of copy test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pp.47-59, May/June, 1994. 

  31. J. L. Hilton and J. M. Darley, "The effects of interaction goals on person perceptio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4, pp.236-267, 1991. 

  32. E. J. Johnson and J. E. Russo, "Product familiarity and learning new inform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1, No.6, pp.542-550, 1984. 

  33. R. E. Petty and J. T. Cacioppo,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In L. Berkowitz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Vol.19, pp.123-205, 1986. 

  34. J. Phelps and E. Thorson, "Brand familiarity and product involvement effects on the attitude toward an ad-brand attitude relationship,"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8, pp.202-209, 1991. 

  35. L. N. Reid, K. W. King, and D. E. Delorme, "Top-level agency creatives look at advertising creativity then and now," Journal of Advertising, Vol.27, No.2, pp.1-16, 1998. 

  36. D. A. Sheinin, S. Varki, and C. Ashley, "The differential effect of ad novelty and message usefulness on brand judgments," Journal of Advertising, Vol.40, No.3, pp.5-17, 2011. 

  37. R. Smith and X. Yang, "Toward a general theory of creativity in advertising: Examining the role of divergence," Marketing Theory, Vol.4, No.1/2, pp.31-58, 2004. 

  38. B. L. Stern and A. Resnik, "An analysis of information content in television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Vol.41, No.1, pp.50-53, 1977. 

  39. D. C. West, A. J. Kover, and A. Caruana, "Practitioner and customer views of advertising creativity: Same Concept, Different Meaning?," Journal of Advertising, Vol.37, No.4, pp.35-45, 2008. 

  40. A. White and B. L. Smith, "Assessing advertising creativity using the creative product semantic scal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41, No.6, pp.27-34,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