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 인식
Spiritual Welling-Being, Attitude to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Care i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8 no.4, 2015년, pp.294 - 305  

이영은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  최은아 (대동대학교 간호학과) ,  이경은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적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정도와 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B 광역시에 소재한 3개 종합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학과를 제외한 대학생 143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9월 1일부터 동년 9월 0일까지였다. 결과: 대학생의 영적안녕 정도는 평균 2.63(척도범위 1~4)으로 중간 정도였고, 죽음에 대한 태도는 2.74(척도범위 1~4)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약간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의 호스피스의 인식 정도는 일반적 인식에서 '알고 있다'라고 대답한 학생이 54.5%로 절반수준이었고, 호스피스 관련 교육을 '받은 적 없다'가 93.0%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호스피스를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 호스피스를 듣게 된 경로는 '종교기관'이 30명(38.5%)으로 가장 많았다. 호스피스의 목적에 대한 인식 정도는 3.90(척도범위 1~5)로 비교적 높았고, 호스피스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3.48(척도범위 1~5)로 중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의 목적에 대한 인식 정도는 호스피스인지, 추후 호스피스 수강 의향, 추후 호스피스 자원봉사 의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는 부모 생존 여부, 학교생활 만족도, 부모와의 관계, 호스피스 인지, 호스피스 관련교육 수강 유무, 추후 호스피스 수강 의향, 추후 호스피스 자원봉사 의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r=0.175, P=0.037), 영적안녕과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r=0.203, P=0.015)은 각각 양의 상관관계였고, 죽음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 인식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일반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죽음 및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hospice care for college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t three universities in B city with 143 students from September 5, 2014 through September 26, 2014. The data were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간호⋅의료계열이 아닌 대학생의 영적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정도와 그 관계를 규명하여 일반 대학생들을 위한 죽음 및 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영적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및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 정도와 그 관계를 규명하여 삶과 죽음의 의미를 깊이 숙고하게 하여 삶을 새롭게 바라보며, 좀 더 의미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를 가질 수 있는 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인식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스피스란 무엇인가? 호스피스란 완치를 목표로 하는 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며 질병이 점차 진행됨으로써 기대여명이 6개월 정도로 예상되는 환자와 그 가족들을 대상으로 질병의 마지막 과정과 사별기간에 접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제공되는 전인적인 돌봄이다. 호스피스 대상자들은 통증과 신체적 증상, 우울, 불안 혼돈과 같은 심리적⋅인지적 증상, 가족과 직장⋅지역사회에서의 사회적 관계와 지지, 경제적 요구와 돌봄 제공에 대한 요구, 희망과 기대, 영적⋅문화적 및 존재론적 신념 등에 대한 요구가 있다.
암 발생자 수의 증가 추세는 어떻게 되는가? 암은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세계적인 건강문제이다. 암 발생자 수가 2015년에는 270,809명으로 2010년의 202,053명보다 34.0%가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우리나라 국민들이 평균수명(81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7.3%였으며, 남자(77세)는 5명 중 2명(37.
대학생 시기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적은 이유는? 이러한 시기의 대학생들은 삶의 올바를 가치관을 확립하고 의미를 발견하는 것뿐만 아니라 올바른 사생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10). 특히 이 시기는 건강을 위협하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경우가 많다(11). 그러나 대학생들 역시 잠재적 암환자나 가족 또는 미래의 호스피스 대상자가 될 수 있으므로, 이 시기부터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호스피스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2008 annual report of the central cancer registry in Korea. Seoul, Goya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2008.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2012 Hospice & palliative care guideline for palliative care team member. Seoul, Goya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2012. 

  3. Paloutzian RF, Ellison CW.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Peplau LA, Perman D, 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Wiley;1982. p. 224-36. 

  4. Kim SN, Lee SB. Spiritual well-being,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 East-West Nurs Res 2013;19:186-94. 

  5. So HY, Min HS. Spiritual wellbeing and life attitude of breast cancer patients. Korean J Rehabil Nurs 2006;9:5-14. 

  6. Suh KH, Chung SJ, Koo JH. Spiritual well-being, life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Couns Psychother 2005;17:1077-95. 

  7. Kim JH, Min KH. Predictors of death attitude and death competency among the elders. Korean J Soc Personal Psychol 2010; 24:11-27. 

  8. Kim MS. Philosophical studies on cognition and attitude of Koreans towards dea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nfucianism Research Institute 2010;22:73-108. 

  9. WHO Expert Committee on Comprehensive School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Promoting health through schools. Geneva:WHO;1997. 

  10. Jung HO, Chung KT, Hwang WD, Kim YS, An JH, Kim DH, et al.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orientation and attitudes on hospice-to develop homo humanitas thanatology. J North-East Asian Cultures 2010;22:153-68. 

  11. Min HJ. A study on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 2011. Korean. 

  12. Lee YE, Choi EJ, Park JS, Shin SH. Perception and knowledge of hospice care and attitude toward death held by medical professionals from the same region in Korea.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242-52. 

  13. Lee YE, Park HS, Son SK.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nursing students. Faith & Scholarship 2007;12:195-232. 

  14. Jun JS.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wards death and perception of hospice among nurses [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 of Busan; 2014. Korean. 

  15. LEE HJ. Spiritual well-being and perception of death in nursing stud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4;7:29-36. 

  16. Lee YJ. A study on nurse'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death and hospice [master's thesis]. Daejeon: Daejeon Univ.; 2004. Korean. 

  17. Lee HJ. A study on the nursing student's attitude toward death and perception on hospice care. J East-West Nurs Res 2013; 19:88-95. 

  18. Kim JH, Min KH. The influence of gender and personality on fear of death and death acceptance among young adults. Korean J Psychol 2005;24:11-36. 

  19. Keon BK. Study on the attitude to death and the hospice care perceive by medical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 2007. Korean. 

  20. Kim JH, Lee Y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s toward death in volunteers for hospice care. J Wholistic Nurs Sci 2011;5:84-98. 

  21. Chung YJ. Influencing factors to attitude, preparation about death and hospice perception in elderly home residents [master's thesis]. Seoul: Korea National Open Univ.; 2010. Korean. 

  22. Han YR, Kim IH. Attitude toward death and recognition of hospice of community dwellers.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 Acad Soc 2008;22:49-61. 

  23. Choi SS.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ness,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urban adul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 1990. Korean. 

  24. Kang JH. A study on the spiritual wellbeing of the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 1996. Korean. 

  25. Thorson JA, Powell FC. Elemen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s of death. J Clin Psychol 1988;44:691-701. 

  26. Park SC. A study on the death orientation of hospice volunteers. J Korean Acad Nurs 1992;22:68-80. 

  27. Han JY, Lee NY. Nursing students' attitude toward death and perception on hospice care. J Korean Oncol Nurs 2009;9:95-103. 

  28. Kim KH, Kim KD, Byun HS, Chung BY. Spiritual well-being, self esteem, and attitude to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n Oncol Nurs 2010;10:1-9. 

  29. Kwon BK. A study on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hospice are perceived by medical student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 2007. Korean. 

  30. Cho HJ, Kim ES.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8:163-72. 

  31. Lee YE, Choi EJ, Park JS. Effect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on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2;26:280-8. 

  32. Kim SN, Choi SO, Lee JJ, Shin KI. Effects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attitude to death and meaning in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5;22: 141-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