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임상영양사의 업무별 소요시간 분석: 서울 및 경기 일부의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Time Measurement Study of Certified Clinical Dietitians from Tertiary Hospital in Seoul and Gyeonggi-do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1 no.2, 2015년, pp.123 - 139  

엄미향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박유경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이송미 (강남세브란스병원 영양팀) ,  차진아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  이은 (건국대학교병원 헬스케어센터) ,  류은순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how clinical dietitians working at tertiary hospitals spend their time based on several categories of activities using a time measurement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4 tertiary hospitals, and dietitians answered by classifying their wor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 결과에서 CL3∼CL4(고위험)의 의사의뢰 비율은 CL1∼CL2(저, 중 위험)의 의사의뢰 비율 보다 높게 나와 의료진이 임상영양서비스를 치료의 보조수단 으로 여기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반면에 저 위험군에 대한 의사의뢰 비율이 낮아 예방 수단으로의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바이다.
  • 본 연구는 Um 등(2014)과 연계되는 연구로 임상영양사의 적정인력 산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수행되어 임상영양사의 업무별 활동시간을 면밀하게 조사한 연구이다. 연구대상 병원은 임상영양서비스가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영양교육평가원에 임상영양사 실습협약기관으로 등록된 14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5일 동안(주말 제외) 위 병원에서 활동하고 있는 총 129명의 임상영양사의 활동시간을 자가 보고의 방식으로 분석하였으며, 조사기간 중에 임상영양사에게 직접관리를 받은 총 2,282명(미기입 제외)의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관리수준을 평가하여 관리 수준에 따른 업무 소요시간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영양사 교육대학원의 실습기관으로 되어 있는 14개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영양사(정규직, 비정규직), 수련 영양사 총 129명을 대상으로 임상영양업무 직무 표준(5개 관리 업무, 22개 세분화 업무)에 따른 임상영양사의 업무 소요시간 조사를 위해 주중 5일 동안 10분 단위로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입원환자 대상 영양관리수준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영양관리수행수준을 조사함으로써 정확한 근거중심의 적정인력 추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Yang 등 1995; Kim 등 1995; Kim 등 1996; Kim 등 1998)의 단점을 보완하였으며, Cha 등(2013)의 연구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임상영양사들에 의한 실질적인 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한 직무 표준을 기본으로 수정ㆍ보완하여 병원 임상영양사의 업무별 소요시간을 기록하였으며, 입원환자들의 영양관리 수준에 따른 업무소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환자 영양상태 분류 기준은 Nutrition Status Classification Worksheet(Lynn 등 2001)을 참고로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근거로 각 병원별 영양사가 직접 기재한 하루 동안 근무한 업무내용 및 업무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분석함으로써 임상영양서비스의 질을 낮추는 요인 중 하나가 임상영양사의 인력 부족이며 추후 임상영양사 적정인력 및 배치기준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병원 환자들의 영양관리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한 종합평가 영역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각 조사대상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영양관리수 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체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영양관리수준에 대한 평가(영양초기평가)를 시행하 였다. Nutrition Status Classification Worksheet에 근거 하여 수정ㆍ보완하였으며, 총 7가지(영양력, 비의도 적인 체중 손실, 표준체중비, 식사력, 진단명, 알부민 검사 결과, TLC 결과) 영역의 종합평가에 따라 영양관리 수준을 1∼4로 구분하였다. 영양관리수준 평가는 9월 1주차 월∼금요일까지 각 병원에서 입원한 전체 환자(소아, 산모 제외)를 대상으로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전체 입원환자 대상 Care Level(CL)에 따른 환자 비율 조사하여 4가지 수준(CL1: 없음 또는 저 위험군, CL2: 중 위험군, CL3∼CL4: 고 위험 군)으로 개별 환자의 영양관리평가 후 수준을 정하 였다.
의료기관의 임상영양서비스이 갖는 목적은 무엇인가? 의료기관에서의 임상영양서비스는 환자 영양관리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춘 임상영양사가 환자의 영양상태를 판정하고 적절한 영양치료 계획을 세운후 이를 수행하며, 환자와 가족에게 영양교육 및 상담을 실시하는 것으로 영양치료 계획의 성과를 추적하여 의사나 간호사 등 의료팀의 구성원들에게 영양전문인으로서의 자문 역할을 하며 회진에 참여 하여 환자들의 영양상태 개선을 통한 치료효과의 증대를 목적으로 한다(Arkwright 1974). 병원영양사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의사들도 입원환자의 영양 관리가 질환의 예후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환자 영양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추세다.
영양 관리과정이란 무엇인가? 특히 최근에는 환자들에게 양질의 개별화된 영양 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영양관리과정(Nutrition Care Process, NCP)을 적용하여 활용하도록 하였다. 영양 관리과정(NCP)이란 개인 또는 집단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영양전문가가 영양관련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비판적 사고와 결정을 하는 것으로 양질의 영양관리를 제공하는 체계적인 문제 해결 방법이다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12): International dietetics & nutrition terminology (IDNT) reference manual.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Chicago. pp.3-9 

  2.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Nutrition care manual oncology. Available from: http://www.nutritioncaremanual.org. Accessed September 11, 2014 

  3. Arkwright MS, Collins ME, Sharp JL, Yakel RM (1974): Titles, definitions and responsibilities for the professional of dietetics-1974. J Am Diet Assoc 64(6):661-665 

  4. Biesemeier CK (2004): Achieving excellence: clinical staffing for today and tomorrow.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Chicago, IL. USA. pp.3-145 

  5. Buzby KM (1990): Overview: Screening, assessing, and monitoring. In: Bloch AS, ed. Nutrition management of the cancer patient. Aspen Publishers. New York. pp.15-23 

  6. Cha JA, Kim KE, Kim EM, Park MS, Park YK, Baek HJ, Lee SM, Choi SK, Seo JS (2013): Development of job description of clinical dietitians in hospitals by the DACUM method. J Korean Diet Assoc 19(3):265-286 

  7. Chang MK, Ahn CS, Park SM (2001): A behavior-modification approaches to improved exercise performance for athletes through the multiple nutritional counseling. Korean J Nutr 34(1):79-88 

  8. Conklin-Fread MT (1990): An investigation of the direct, indirect, and intangible benefits which accrued to hospital dietetic departments sponsoring an internship for student dietitians. Masters degree thesis. New York University. pp.22-89 

  9. Hammersberg SS (1981): A cost benefit study of clinical education in selected allied health programs. Masters degree thesi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pp.34-78 

  10. Han MH, Lee SM, Lyu ES (2012): Doctor's perception and needs on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s. J Korean Diet Assoc 18(3):266-275 

  11. Harper RL, Gonyea MA (1977): Cost analysis of ten allied health education programs. Ohio State University, School of Allied Medical Professions Columbus, Ohio. pp.175-369 

  12. Jang HS, Kwon CS (1996): Evaluation of Necessity of clinical nutrition education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J Korean Soc Food Nutr 25(3):415-422 

  13. Kieselhorst KJ, Skates J, Pritchett 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5):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standards of practice in nutrition care and updated standards of professional performance. J Am Diet Assoc 105(4):641-645 

  14. Kim HJ, Kim EM, Lee GJ, Lee JJ, Lim JH, Lee JM, Jeon HJ, Lee HY (2011): Clinical nutrition service at medical centers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17(2):176-189 

  15. Kim HS (1999): The effect of nutrition counseling service on the patients' satisfaction. Master degree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p.60-77 

  16. Kim JN, Lee SJ, Choi MS, Lee JM, Baek IK, Leem HS (199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and staffing model of the clinical dietitian.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Symposium. Seoul. pp.7-30 

  17. Kim WY, Cho MS, Lee YH, Kim YH, Lee HS (1998): A study of the payment of nutrition counseling services. J Korean Diet Assoc 4(1):53-64 

  18. Kim YH, Shin ES, Kang EH, Kim JH, Kim MK, Kim KJ, Hong HS (1996): Productiv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linical nutrition team. J Korean Diet Assoc 2(2):199-215 

  19. Kim YM (1994): Nutrition service's roles and expectations for improvement of medical service. Korean Diet Assoc Symposium Proceeding. Seoul. pp.7-13 

  20.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Standard of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Available from: http://www.koiha.or.kr. Accessed September 11, 2014 

  21. Korean Institute of Dietetic Education and Evaluation.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ietitian. Available from: http://www.kidee2011.or.kr. Accessed September 11, 2014 

  22.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Medical law.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Accessed September 11, 2014a 

  23.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 nutrition management act.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Accessed September 11, 2014b 

  24. Lynn H, Lowery JC, Davis JA, Shore CJ, Striplin DT (2001): Nutritional status classification in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J Am Diet Assoc 101(7):786-792 

  25. Lyu ES (2011): Needs for clinical nutrition service of medical staffs and patients.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Report. Seoul. Korea. pp.7-89 

  26. Lyu ES, Lee SM, Hyh KY (1995): A study on the current of hospital practices in clinical dietetics. J Korean Diet Assoc 1(1):10-20 

  27. Lyu ES, Lee SM, Hyh KY (1996): A study of satisfaction with nutrition counseling service for consumers. J Korean Diet Assoc 2(1):62-68 

  28. Lyu ES, Park YK, Lee SM, Lee SM, Lee E, Cha JA, Park MS, Lee HS, Rha MY (2013): Demand and supply outlook of clinical dietitians. The Korean Health Promotion Foundation Report. Seoul. Korea. pp.33-68 

  29. Marcason W (2006): What is ADA's staffing ratio for clinical dietitians? J Am Diet Assoc 106(11):1916 

  30. Moon HK, Jang YJ (2002): Analysis of the Dietitian's Job description in the hospital. J Korean Diet Assoc 8(2):132-142 

  31. Moon SJ, Shon CY, Kim JH, Kim HS, Lim HS, Lee HC, Huh KB (1994): Measurement of nutrition counseling effects for diabetes mellitus patients. Korean J Nutr 27(10):1070-1077 

  32. Ottery FD (1996): Definition of standardized nutrition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al pathways in oncology. Nutrition 12(1 Suppl):S15-S19 

  33. Park EC, Kim HA, Lee HY, Lee YE, Yang IS (2002): A Review of the Medical Nutrition Therapy (MNT) of the U.S. medicare system. Korean J Community Nutr 7(6):852-862 

  34. Um MH, Park YK, Lee SM, Lee SM, Lee E, Cha JA, Park MS, Lee HS, Rha MY, Lyu ES (2014): Clinical nutrition service in Korean tertiar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result of nutrition wide cross-sectional survey. J Korean Diet Assoc 20(3):183-198 

  35. Yang IS, Lee SJ, Cha JA (1995): Developing standardized clinical dietetic staffing indicates in hospital food service. Korean J Nutrition 28(7):675-687 

  36. Yun HJ, Lee JE, Hong WS (2009): A study on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hospital dietitians. Korean J Community Nutr 14(1):100-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