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과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프로바이오틱 효과
Probiot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Isolated from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1, 2016년, pp.12 - 19  

이경희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봉연주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현아 (부산대학교 김치연구소) ,  김희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우점유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52P(LPpnu)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KCCM 11353P(LMpnu)의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높기로 잘 알려진 Lactobacillus rhamnosus GG(LRgg)의 효능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pnu는 Lab. rhamnosus GG(LRgg)보다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더 뛰어났으며, LMpnu 또한 LRgg와 거의 유사한 수준의 효능을 나타냈다. LPpnu와 LMpnu는 모두 내산, 내담즙성, 장 부착능, 열 안정성의 프로바이오틱의 기본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LPpnu는 가장 높은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LMpnu 및 LRgg와 비교했을 때 LPpnu는 DPPH radical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에서 더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고, Bcl-2 유전자 발현억제와 Bax 유전자 발현 증가를 통해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HT-29 human colon cancer cell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김치유래 LPpnu와 LMpnu는 프로바이오틱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특히 LPpnu는 항산화 및 항암 활성에 뛰어난 효능을 나타내었기에 중요한 프로바이오틱 균주라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biotic effects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B), Lactobacillus plantarum (Lab.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Leu. mesenteroides), were studied. Lab. plantarum KCCM 11352P (LPpnu) and Leu. mesenteroides KCCM 11353P (LMpnu)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were the predominant LA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Lab. rhamnosus GG를 대조군으로 하여 2종의 김치 유산균의 위산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 장내세포에 대한 부착성, 열 안정성을 비교하였으며, 추가적인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평가하여 김치 유산균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2종의 우점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여(Lab. plantarum, Leu. mesenteroides) 김치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Lab.
  •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우점유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52P(LPpnu)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KCCM 11353P(LMpnu)의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높기로 잘 알려진 Lactobacillus rhamnosus GG(LRgg)의 효능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pnu는 Lab.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효능은 무엇이 있으며, 그 원인은 무엇인가? 김치는 십자화과 채소들이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건강식품이며 풍부한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등이 함유된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발효 식품으로 다양한 체내 생리활성 및 그 기능성이 연구, 보고되고 있다. 김치의 대표적인 건강 기능성으로는 항암, 항산화, 항당뇨, 항비만 활성 등이 있으며, 이는 김치 내 원재료들과 유산균의 발효에서 기인된다 하겠다(1,2). 일반적으로 김치 내 유산균은 107~9 CFU/g 수준의 높은 생균수를 유지하며, 대표적인 유산균으로는 Leuconostoc 속, Lactobacillus 속, Weissella 속 등이 있다(2).
김치에 유래한 우점유산균들은 어느정도의 효능을 가졌는가?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우점유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52P(LPpnu)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KCCM 11353P(LMpnu)의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높기로 잘 알려진 Lactobacillus rhamnosus GG(LRgg)의 효능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pnu는 Lab. rhamnosus GG(LRgg)보다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더 뛰어났으며, LMpnu 또한 LRgg와 거의 유사한 수준의 효능을 나타냈다. LPpnu와 LMpnu는 모두 내산, 내담즙성, 장 부착능, 열 안정성의 프로바이오틱의 기본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LPpnu는 가장 높은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LMpnu 및 LRgg와 비교했을 때 LPpnu는 DPPH radical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에서 더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고, Bcl-2 유전자 발현억제와 Bax 유전자 발현 증가를 통해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HT-29 human colon cancer cell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김치유래 LPpnu와 LMpnu는 프로바이오틱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특히 LPpnu는 항산화 및 항암 활성에 뛰어난 효능을 나타내었기에 중요한 프로바이오틱 균주라고 하겠다.
식물성 유산균은 어떤 강점을 지녔는가? 최근에는 이러한 김치 유산균의 항산화, 항암, 항돌연변이, 항비만 효과 및 면역기능 강화 등의 건강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 입증들이 새롭게 시도되고 있다(1). 또한 김치와 같은 식물 원료의 발효 식품에서 분리된 식물성 유산균은 타 동물성 발효식품과 비교하여 풍부하지 않은 영양소와 기타 열악한 환경조건에서 생육하기 때문에 영양소를 분해 또는 섭취하는 능력이 높아 다양한 미생물 환경 속에서 경쟁적으로 우점종을 차지하는 우수한 생존력을 가지며, 특히 천연 항균물질 및 생리활성 물질의 생성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또한 식물유래 유산균은 임상연구에서 변비 완화, 혈중 지질 및 간 기능을 증진시켜 동물유래 유산균보다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높음이 확인된 바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Park KY, Jeong JK, Lee YE, Daily JW 3rd. 2014. Health benefi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s) as a probiotic food. J Med Food 17: 6-20. 

  2. Park KY, Kim BK. 2012. Lactic acid bacteria in vegetable fermentation. In Lactic Acid Bacteria. Lahtinen S, Ouwehand AC, Salminen S, von Wright A, ed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187-211. 

  3. Jeong EJ, Moon DW, Oh JS, Moon JS, Eom HJ, Choi HS, Kim CS, Han NS. 2012. Composition optimization of cabbage extract medium for cell growth of Lactobacillus plantarum. Korean Soc Biotechnol Bioengineering J 27: 347-351. 

  4. Fumiko H, Masafumi N, Tomokazu A, Kazuhiro N, Hirotaka O, Masanori S. 2010. Improvement of constipation and liver function by plant-derived lactic acid bacteria: a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Nutrition 26: 367-374. 

  5. FAO/WHO. 2006. Probiotics in food: Health and nutritional properties and guidelines for evaluation (FAO Food Nutr Paper 85).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a, Italy. 

  6. Salminen MK, Tynkkynen S, Rautelin H, Saxelin M, Vaara M, Ruutu P, Sarna S, Valtonen V, Jarvinen A. 2002. Lactobacillus bacteremia during a rapid increase in probiotic use of Lactobacillus rhamnosus GG in Finland. Clin Infect Dis 35: 1155-1160. 

  7. Cebeci A, Gurakan C. 2003. Properties of potential probiotic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Food Microbiol 20: 511-518. 

  8. De Vries MC, Vaughan EE, Kleerebezem M, De Vos WM. 2006. Lactobacillus plantarum-survival, functional and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in the human intestinal tract. Int Dairy J 16: 1018-1028. 

  9. Jung JY, Lee SH, Lee HJ, Seo HY, Park WS, Jeon CO. 2012. Effects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starter cultures on microbial communities and metabolit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Int J Food Microbiol 153: 378-387. 

  10. Choi HJ, Kim DW, Joo WH. 2014. Characteristics of Paenibacillus sp. BCNU 5016 as a novel probiotic. J Life Sci 24: 161-166. 

  11. Bang JH, Shin H, Choi HJ, Kim DW, Ahn CS, Jeong YK, Joo WH. 2012.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us isolates. J Life Sci 22: 251-258. 

  12. Kil JH. 2004. Studies on development of cancer preventive and anticancer kimchi and its anticancer mechanism.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3. Liu CT, Chu FJ, Chou CC, Yu RC. 2011. Antiproliferative and anticytotoxic effects of cell fractions and exopolysaccharides from Lactobacillus casei 01. Mutat Res-Gen Tox En 721: 157-162. 

  14. Kobayashi Y, Tohyama K, Terashima T. 1974. Studies on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II. Tolerance of the multiple antibiotic resistant strain, L. casei PSR 3002, to artificial digestive fluids. Nippon Saikingaku Zasshi 29: 691-697. 

  15. Jung JK, Kil JH, Kim SK, Jeon JT, Park KY. 2007. Survival of double-microencapsulated Bifidobacterium breve in milk in simulated gastric and small intestinal conditions. J Food Sci Nutr 12: 58-63. 

  16. Blum S, Reniero R, Schiffrin EJ, Crittenden R, Mattila-Sandholm T, Ouwehand AC, Salminen S, von Wright A, Saarela M, Saxelin M, Collins K, Morelli L. 1999. Adhesion studies for probiotics: need for validation and refinement. Trends Food Sci Technol 10: 405-410. 

  17. Park DJ, An EY, Kim JS, Imm JY, Han KS, Kim SH, Oh SJ. 2002. Dry enteric coating process of lactic acid bacteria by hybridization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56-861. 

  1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Halliwell B, Gutteridge JM, Aruoma OI. 1987. The deoxyribose method: a simple "test-tube" assay for determination of rate constants for reactions of hydroxyl radicals. Anal Biochem 165: 215-219. 

  20. Sim JH, Oh SJ, Kim SK, Baek YJ. 1995. Comparative tests on the acid tolerance of some lactic-acid-bacteria species isolated from lactic fermented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01-104. 

  21. Klaver FA, van der Meer R. 1993. The assumed assimilation of cholesterol by Lactobacilli and Bifidobacterium bifidum is due to their bile salt-deconjugating activity. Appl Environ Microbiol 59: 1120-1124. 

  22. Jung SE, Kim SH. 2015.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raw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44-50. 

  23. Seo JH, Lee H. 2007.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potential probio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81-687. 

  24. Bernet MF, Brassart D, Neeser JR, Servin AL. 1993. Adhesion of human bifidobacterial strains to cultured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and inhibition of enteropathogen-cell interactions. Appl Environ Microbiol 59: 4121-4128. 

  25. Coconnier MH, Klaenhammer TR, Kerneis S, Bernet MF, Servin AL. 1992. Protein-mediated adhes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BG2FO4 on human enterocyte and mucus-secreting cell lines in culture. Appl Environ Microbiol 58: 2034-2039. 

  26. Saulnier DM, Spinler JK, Gibson GR, Versalovic J. 2009. Mechanisms of probiosis and prebiosis: considerations for enhanced functional foods. Curr Opin Biotechnol 20: 135-141. 

  27. Saito T, Lim KS. 2012. Immunogenicity and survival strategy of Lactobacillus rhamnosus GG in the human gut. Korean J Dairy Sci Technol 30: 31-36. 

  28. Buck BL, Altermann E, Svingerud T, Klaenhammer TR. 2005. Functional analysis of putative adhesion factors in 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 Appl Environ Microbiol 71: 8344-8351. 

  29. Gouesbet G, Jan G, Boyaval P. 2002.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study of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thermotolerance. Appl Environ Microbiol 68: 1055-1063. 

  30. Kim SS, Jeong MH, Seo YC, Kim JS, Kim NS, Woon WB, Ahn J, Hwang B, Park DS, Park SJ, Lee HY. 2010.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by high pressure extraction of Codonopsis lanceolata from different production areas. Korean J Med Crop Sci 18: 248-254. 

  31. Sanders JW, Leenhouts KJ, Haandrikman AJ, Venema G, Kok J. 1995. Stress response in Lactococcus lactis: cloning, expression analysis, and mutation of the lactococcal superoxide dismutase gene. J Bacteriol 177: 5254-5260. 

  32. Lin MY, Yen CL. 1999. Antioxidative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J Agric Food Chem 47: 1460-1466. 

  33. Cho YH, Imm JY, Kim HY, Hong SG, Hwang SJ, Park DJ, Oh S. 2009.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isoflavone transforming Lactobacillus plantarum YS712 for potential probiotic us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9: 640-646. 

  34. Hirayama K, Rafter J. 2000. The role of probiotic bacteria in cancer prevention. Microbes Infect 2: 681-686. 

  35. Kim HY, Bae HS, Baek YJ. 1991. In vivo antitumor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sarcoma 180 and mouse Lewis lung carcinoma. J Korean Cancer Assoc 23: 188-196. 

  36. Guo XZ, Shao XD, Liu MP, Xu JH, Ren LN, Zhao JJ, Li HY, Wang D. 2002. Effect of bax, bcl-2 and bcl-xL on regulating apoptosis in tissues of normal liver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World J Gastroenterol 8: 1059-1062. 

  37. Kim B, Song JL, Ju JH, Kang SA, Park KY. 2015.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fermented for different times and with added ingredients in human HT-29 colon cancer cells. Food Sci Biotechnol 24: 629-633. 

  38. Kim HY, Song JL, Chang HK, Kang SA, Park KY. 2014. Kimchi protects against azoxymethane/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colorectal carcinogenesis in mice. J Med Food 17: 833-8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