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교육대학교 학생의 천식에 대한 지식, 공감 및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
Knowledge about Asthma, Empathy, and Attitudes to Child with Asthma for Students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1, 2016년, pp.11 - 20  

문소현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조헌하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knowledge about asthma, attitude to asthma, and empathy for children with asthma as held by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an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and factors that influence them. Methods: Participants were 347 third and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천식아동의 최적의 건강증진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서 교육현장에 투입되기 전인 교육대학교 학생 때부터 천식과 천식아동을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되는 것이 천식아동의 안전한 학교활동과 지지적인 환경을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천식에 대한 지식과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 및 공감을 확인함으로 교육대학교 학생들을 위한 천식 아동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천식에 대한 지식, 공감,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 정도를 파악하고 교사 관련 제 변수들과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천식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천식에 대한 지식, 인지공감, 정서공감이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쳤고 정서공감이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규명되었다.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학생의 천식에 대한 지식, 공감 및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 정도를 파악하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천식 아동 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교육대학교 학생의 천식에 대한 지식, 공감능력이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교 학생의 천식에 대한 지식, 공감 및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식은 이를 앓고 있는 아동들에게 어떤 부정적 영향을 주는가? 특히 학령기 천식 아동은 천식발작이나 투약중인 약물로 인해 학교수업에 지장을 받을 수 있고 천식유발요인 중 하나인 운동은 초등학교생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학년의 경우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 투약 등에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3]. 천식은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으로 아동들은 질병을 경험하면서 스트레스, 분노, 피로감과 심리적 의존감을 경험하고 잦은 결석으로 인하여 학업의 연속성이 깨어지며 심지어는 학교 공포증 발생과 중도 학업 중단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4].
천식아동의 효과적인 천식 치료와 관리를 위해 교사에게 필요한 것은? 따라서 효과적인 천식 치료와 관리를 위해서 교사는 아동의 구체적인 필요에 적절히 반응할 수 있도록 잘 준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질환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고 교사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천식아동의 건강요구를 인식하고 천식아동 관리에 책임을 갖고 능동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그러나 질환에 대한 지식습득과 달리 공감은 전 연령대에 걸쳐서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서만 형성될 수 있는 교사의 덕목이므로[11] 단기간에 형성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수의 연구에서 교사들이 만성질환아동을 다루는 데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가? 그러나 다수의 연구에서 교사들이 만성질환아동을 지지하는 것을 어려워할 뿐 아니라 천식과 같은 아동만성질환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갖고 있으며 특히 응급상황 발생 시 대처하는 것과 같은 만성질환 아동 관리 및 이에 대해 책임지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8]. 특히 만성질환에 대한 지식은 만성질환 및 만성질환 아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영향하고 만성질환 아동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태도가 학급아동들에게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만성질환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중요하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sthma and allergy, take care with the proven treatments![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cited 2015 July 20]. Available from: http://yhs.cdc.go.kr/new/?cpds&s1&gbnviewok&sp&sw&ps10&gp1&ix8.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 in 3 children with asthma "preschooler"[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3[cited 2015 July 20]. Available from: http://stat.mw.go.kr/front/notice/statPressRelease-View.jsp?menuId31&bbsSeq4&nttSeq20715&nPage1&searchKey&searchWord&sttsDataSeq. 

  3. Kim WK, Lee HR, Yoon SY. An assessment of asthmatic knowledge of school teachers.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1998;8(2):179-189. 

  4. Brook U, Galili A. Knowledge and attitudes of high school teachers towards pupils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1;43(1):37-42. http://dx.doi.org/10.1016/S0738-3991(00)00148-8 

  5. Closs A, Burnett A. Education for children with a poor prognosis: reflections on parental wishes and on an appropriate curriculum.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1995;21(6):387-394. 

  6. Kintner EK. Lack of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and knowledge of asthma in school age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2004;9(1):5-14. http://dx.doi.org/10.1111/j.1088-145X.2004.00005.x 

  7. Kim KH, Kim JK. A study on effect that authoritarian and narcissistic personalities of teachers have on prejudice against students -Considering empathy as a parameters-. Korean Journal Teacher Education. 2012;28(2):49-73. 

  8. Mukherjee S, Lightfoot J, Sloper P. The inclusion of pupils with a chronic health condition in mainstream school: What does it mean for teachers?. Educational Research. 2000;42(1):59-72. 

  9. Lee WY, Cho SH, Hong SJ, Yu JH, Chang YS. Development of community based strategy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sthma and atopic eczema. Health Promotion Fund Research Report. Gwa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hung-Ang University of College of Medicine; 2008. Report No: 07-36. 

  10. Park JK, Kim HR, Seo BS, Kim JJ. Teachers' perception on curriculum management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of general school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2012;13(1):123-144. 

  11. Feshbach ND, Feshbach S. Empathy & education. In: Decety J, Ickes W. editors. The social neuroscience of empathy. Cambridge, MA: The MIT Press; 2011. p. 85-100. 

  12. Lee JW, Back KS. A study on the knowledge level and educational demand about pediatric asthma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sthm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5;11(2):252-259. 

  13. Mehrabin A, Epstein N. 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 Journal of Personality. 1972;40(4):525-543. http://dx.doi.org/10.1111/j.1467-6494.1972.tb00078.x 

  14. Davis M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Journal Supplement Abstract Service):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980;10:85. 

  15. Bryant BK.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1982;53(2):413-425. 

  16. Park SH. Experimental study on empathy in relation to the altruistic behavior[Doctoral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3. p. 1-105. 

  17. Ones U, Akcay A, Tamay Z, Guler N, Dogru M. Asthma knowledge level of primary schoolteachers in Istanbul, Turkey. Asian Pacific Journal of Allergy & Immunology. 2006;24(1):9-15. 

  18. Chosun Media(Health Chosun). 1 in 4 children with asthma was absent from school[internet]. Seoul: Health.Chosun; 2003[cited 2015 July 20]. Available from: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05/09/30/2005093056129.html. 

  19.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School Health Act Enforcement Regulations[internet]. Seoul: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2015[cited 2015 July 20].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6409&efYd20150101#0000. 

  20. Atopy.asthma Friendly School Management Handbook.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Education; 2014. 

  21. Park EH, Park JY, Nho CR. Development of educational support model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005;40(3):269-298. 

  22. Hsieh L. Chiou H. Comparison of epilepsy and asthma perception amongpreschool teachers in Taiwan. Epilepsia. 2001;42(5):647-650. 

  23. Gu SS. The influenc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mpathy ability on their conflict management style and teacher efficacy.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2012;14(3):501-522. 

  24. Sung YH, Son KO. Teacher-child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 enhancing student-teachers' empathic communication with the children and influencing teachers' professional belief toward their career.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00;5(2):127-146. 

  25. Tettegah S, Anderson CJ. Pre-service teachers' empathy and cognitions: Statistical analysis of text data by graphical model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007;32(1):48-82. http://dx.doi.org/10.1016/j.cedpsych.2006.10.010 

  26. Whang PA, Nash CP. Reclaiming compassion: Getting to the heart and soul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Peace Education. 2005;2(1):79-92. http://dx.doi.org/10.1080/1740020042000334118 

  27. Park HB. School violence prevention through improving teacher's empathy ability.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2012;28:45-62. 

  28. Moon SH, Yoon YM, Cho HH. The relationships of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cancer, empathy, and attitudes about child with cancer in upper prim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2011;12(2):97-112. 

  29. Binu M. A study to assess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school teachers regarding learning disabilities among children in selected schools at Bhilai C.G.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12;4(2):26-31. 

  30. Ha YR, Kim EY. Changes in teachers' understanding and teachers' action through participating in an empathetic teacher training program.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3;17(5):267-2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