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초등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 및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
Association of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to Attitudes about Child with Asthma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3, 2017년, pp.485 - 492  

문소현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조헌하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일부 지역 교육대학생의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 만성질환인 천식 아동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교육대학생 3, 4학년 329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대학생의 건강지각점수는 4점 만점에 2.85점, 건강증진행위는 4점 만점에 2.49점, 천식 아동에 대한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3.67점이었다. 연구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와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건강증진행위 하위영역 중 대인관계, 건강지각, 학년이 확인되었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를 12.2%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다 적극적인 자기 건강관리가 요구되는 예비교사인 교육대학생에게 있어 스스로 자신의 건강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출발되어 건강증진을 위한 행위 실천이 만성질환아동인 천식에 대한 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천식 및 만성질환 아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 함양을 위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eservice teacher's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s children with asthma, as well 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The participants were 329 third and fourth grade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교육현장에 투입되기 전인 교육대학교 학생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확인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실제적인 만성 질환 아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하는지 확인함으로 교육학 전공 대학생들을 위한 천식 아동 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 정도를 파악하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예비교사인 교육대학교 학생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확인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실제적인 만성 아동 질환에 대한 태도에 영향하는지 확인함으로 교육학 전공 대학생들을 위한 천식 아동 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행위,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한 대학교 중 임의로 선정한 1개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355명이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자 26부를 제외한 총 3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자가 G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학과장과 전공과목 교수에게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동의를 구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 설문의 취지와 익명성 및 비밀보장에 대하여 설명한 설명문을 제시한 후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고 원하지 않을 경우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음을 알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질환 아동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모델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만성질환 아동의 성공적인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학교생활에서 만성질환아동의 사회적 지지 환경인 교사의 인식 및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3], 교사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알아야 하는 필요한 지식과 자신의 건강행위 정도를 인식함으로 아동의 건강지도에 전문적으로 임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교사들은 아동 건강교육에서 역할모델로서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는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4-5].
건강지각이란 무엇인가? 또한 일반인보다 교사들의 건강한 생활양식 증진을 위해서는 효과 적인 건강교육 전략을 수립할 때 그리고 건강행위 성향의 지표로서 교사들의 건강지각을 규명해야 한다고 지적 하고 있다[8]. 건강지각이란 인간이 안녕을 느끼며 생활할 수 있는 건강상태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를 의미하며 [9],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부여 요인의 하나로 제시되고 있고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다[10].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Kim[11]의 연구에서 교사가 보건교육의 내용과 수준을 결정하므로 보육교사의 건강 의식이 아동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조사되었다.
교사의 건강 지각정도가 학생들에게 중요한 근거는 무엇인가?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Kim[11]의 연구에서 교사가 보건교육의 내용과 수준을 결정하므로 보육교사의 건강 의식이 아동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조사되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건강에 대한 인식에 따라 건강지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집단이 건강행위가 더 높게 나타난 결과[12]를 고려할 때 교사가 건강 지각정도가 높고 유익한 건강행위를 통하여 학생들의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만성질환을 관리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 J. Seo, W. Y. Lee, "Pilot and Feasibility Study of a Manag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thm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 22, no. 1, pp. 1-16, 2009. 

  2. NHI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hild and Adolescent with Allergy [internet], 2016 [cited 2016 June 7],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bbs7/ boards/B0039/19459 (accessed Oct., 10, 2016) 

  3. H. H. Cho,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Soci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Cancer", Unpublished Doctoral Thesis, Korea University, 2006. 

  4. B. R. Bewley, M. R. Johnson, M. H. Banks, "Teachers' Smoking",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vol. 33, no. 3, pp. 219-22, 1979. DOI: https://doi.org/10.1136/jech.33.3.219 

  5. M. Barrueco, M. A. Hernandez-Mezquita, C. Jimenez-Ruiz, M. Torrecilla, M. T. Vega, E. Garrido, "Attitudes of Teachers about Tobacco Prevention at School", Allergologia et Immunopathologia, vol. 28, no. 4, pp. 219-24, 2000. 

  6. D. Stokols, "Translating Social Ecological Theory into Guidelines for Community Health Promotion",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 10, no. 4, pp. 282-98, 1996. DOI: https://doi.org/10.4278/0890-1171-10.4.282 

  7. A, Bandura, "Health Promo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gnitive Theory", Psychology & Health, vol. 13, no. 4, pp. 623-649, 1996. DOI: https://doi.org/10.1080/08870449808407422 

  8. F. Gilbert, J. B. Richard, P. Lapie-Legouis, "Health Behaviors: Is There any Distintion for Teachers? a Cross-sectional Nationwide Sudy", Plos One, vol. 10, no. 3, pp. 1-13, 2015. DOI: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20040 

  9. J. E. Ware. 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Instruments for Measuring Nursing Practice and other Care Variable. DHEW Publication, Marryland, 1979. 

  10. K. R. Shin, J. S. Kim, "A study on Health Concern, Self rated Health,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derly Women in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vol. 34, no. 5, pp. 869-880, 2004. 

  11. H. Y. Kim, "Case Study of Pre-daycare Teachers' Knowledge on Health and its Pract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uty, 2003. 

  12. J. H. Roh, J. H. Lee, "A Stud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actic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vol. 12, no. 1, pp. 29-48, 2008. 

  13. W. K. Kim, H. R. Lee, S. Y. Yoon, "An Assessment of Asthmatic Knowledge of School Teachers",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 8, no. 2, pp. 179-189, 1998. 

  14. W. Y. Lee, S. H. Cho, S. J. Hong, J. H. Yu, Y. S. Chang, "Development of Community based Strategy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sthma and Atopic Eczema, Health Promotion Fund Research Report. Gwa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hung-Ang University of College of Medicine, 2008. Report No: 07-36. 

  15. S. H. Moon, H. H. Cho, "Knowledge about Asthma, Empathy, and Attitudes to Child with Asthma for Students in a University of Educatio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 22, no. 1, pp 11-20, 2016. DOI: https://doi.org/10.4094/chnr.2016.22.1.11 

  16. T. H. Lee, "Analysis of Impact Variabl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uty, 1989. 

  17.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The [Ienternet]. [cited 2012 March 9], Availabe From: http://app1.unmc.edu/nursing/conweb/view_profile.cfm?lev1facstf& lev3facswalker&Pubstat(none) (accessed Oct., 10, 2014) 

  18. S. N. Yun, J. H. Kim,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8, no. 2, pp. 130-140, 1999. 

  19. U. Brook, A. Galili, "Knowledge and Attitudes of High School Teachers towards Pupils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 43, no. 1, pp 37-42, 2001. DOI: https://doi.org/10.1016/S0738-3991(00)00148-8 

  20. S. J. Kim, E. Y. Jung, "A Relevance on Health Percepti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8 pp. 5394-5403,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8.5394 

  21. I. S. Park, R. Kim, M. H. Park,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3, no. 2, pp. 203-211, 2007. 

  22. N. H. Yang, S. Y. Moon, "The Impact of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ocial Problem Ability on Colleg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1, pp33-42, 2013.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1.33 

  23. H. K. Kim,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Pender's Mode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2, no. 2, pp. 132-141, 2006. 

  24. C. N. Kim, Y. S. Park, "A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each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8, no. 1, pp. 92-102, 1999. 

  25. L. P. Hsieh, H. H. Chiou, "Comparison of Epilepsy and Asthma Perception among Preschool Teachers in Taiwan", Epilepsia, vol. 42, no. 5, pp. 647-650, 2001. DOI: http://doi.org/10.1016/J.1528-1157.2001.39200.X 

  26. J, Y, Kim, J. Y. Hwang,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and their Educations", Th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vol. 10, no. 1, pp. 121-140, 2015. 

  27. S. H. Ho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1, pp. 78-86, 2013.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1.78 

  28. C. H. Lee, T. S. Kho, "Childcare Teacher's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ol. 8, no. 1, pp. 41-51,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