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dietary compliance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design and was conducted with a survey of 141 patients in liver cirrhosis who were treated at D-university hospital in Busan.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0.0 Program for windows. Results: The mean score was 3.47 in dietary compliance. Dietary complia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perceived-benefit medical staff support, age, drink or not bu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barrier.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efficacy and perceived-benefits explained 30.1% (F=7.69, p<.001) of the variance of dietary compliance. Conclusion: Dietary compliance was suggested to consider self-efficacy and perceived-benefits when developing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간경변증 | 간경변증이란 무엇인가? |
간질환의 하나인 간경변증은 정상 간 조직이 섬유질로 구성된 흉터자국으로 대체된 상태로서, 바이러스성 간염, 알콜성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그리고 비알콜성 지방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만성질환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특히 만성질환인 간질환은 영양과잉과 음주로 인해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Lee, Jung, & Lim, 2009). 간질환의 하나인 간경변증은 정상 간 조직이 섬유질로 구성된 흉터자국으로 대체된 상태로서, 바이러스성 간염, 알콜성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그리고 비알콜성 지방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Chung, 2002). 간경병증의 치료목표는 원인질환의 치료를 통해 더 이상의 간 손상을 막고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간 기능을 의미있게 호전시키는 것으로(Bae & Suh, 2001; Lee, 2012), 항바이러스제나 항섬유화제와 같은 치료적 약제의 투여를 통해 질병의 원인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금주를 포함한 식이요법, 운동, 질병의 증상 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적극적인 자가간호수행을 통해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Lee, 2012). |
영양결핍 | 간경병증 환자가 영양결핍을 경험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간경변증은 이미 간의 섬유화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간 내 혈류의 흐름이 나쁘고, 이는 영양의 소화 흡수감소 및 영양의 가공과 저장능력의 감소로 이어진다
, 2001). 간경변증은 이미 간의 섬유화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간 내 혈류의 흐름이 나쁘고, 이는 영양의 소화 흡수감소 및 영양의 가공과 저장능력의 감소로 이어진다(Griffith& Schenker, 2006). 이러한 영양학적 기능의 감소로 인해 간경병증 환자는 영양결핍을 경험하게 되는데, 간경변증 환자의 영양결핍은 질병상태의 심각성과 관련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Byun et al. |
간경병증 | 간경병증의 치료목표는 무엇인가? |
간경병증의 치료목표는 원인질환의 치료를 통해 더 이상의 간 손상을 막고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간 기능을 의미있게 호전시키는 것
간질환의 하나인 간경변증은 정상 간 조직이 섬유질로 구성된 흉터자국으로 대체된 상태로서, 바이러스성 간염, 알콜성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그리고 비알콜성 지방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Chung, 2002). 간경병증의 치료목표는 원인질환의 치료를 통해 더 이상의 간 손상을 막고 적극적인 관리를 통해 간 기능을 의미있게 호전시키는 것으로(Bae & Suh, 2001; Lee, 2012), 항바이러스제나 항섬유화제와 같은 치료적 약제의 투여를 통해 질병의 원인을 치료할 뿐만 아니라 금주를 포함한 식이요법, 운동, 질병의 증상 관리 등 일상생활에서 적극적인 자가간호수행을 통해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Lee, 2012).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