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환식 유산소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 기능 및 보행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ircuit Aerobic Exercise on Gait Endurance and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after Chronic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1 no.4, 2016년, pp.33 - 39  

박종준 (보니파시오병원 물리치료실) ,  최윤희 (대전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차용준 (대전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 circuit aerobic exercise program positively affects pulmonary function and gait endur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four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allocated equally and randomly to an experimental group (n=12) or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순환식 유산소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보행능력 향상을 근거로 하여 뇌졸중 환자의 호흡 기능 및 보행 지구력 향상을 위해 어디에서나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순환식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순환식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호흡 기능 및 보행 지구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주 목적이 있으며, 단일 유산소 운동방법인 트레드밀 위에서의 보행 훈련과 비교를 통해 순환식 유산소 운동프로그램의 효율성을 가늠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 기능 검사시 이용한 폐 기능 지표는 무엇인가? INC, JAPAN)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폐 기능 지표 중 가장 일반적으로 측정되고 비교되는 지수인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1초간 노력성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최대 수의적 환기량(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MVV)을 데이터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Ries, 1994; Roth, 1994). 모든 폐 기능의 측정은 코집게로 코를 막고고무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게 한 상태로, 입으로만호흡을 시키되 피험자의 입과 코로 공기가 새지 않음을 확인한 다음 실시하였으며, 검사자는 시종일관 피험자의 옆에서 최대의 노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호흡 기능 장애의 특징은? 뇌졸중 환자는 뇌 손상으로 인한 다양한 장애를 가지게 되는데, 그 중 호흡 기능 장애는 생명과 가장 밀접한관련이 있으며 다양한 기능 장애와도 상관성이 높은 장애 중 하나이다(Cho와 Lee, 2015; Jo 등, 2014). 뇌졸중 환자의 호흡 기능 저하는 마비측 근육의 미사용과 제한된 움직임에 의해 주로 발생되며, 근육의 전기적 활성및 흉벽 움직임의 감소로 기인한다(Kelly 등, 2003; Kim과 Jung, 2013; Kolb와 Gibb, 2007).
뇌졸중 환자의 호흡 기능 저하는 어떻게 발생되나? 뇌졸중 환자는 뇌 손상으로 인한 다양한 장애를 가지게 되는데, 그 중 호흡 기능 장애는 생명과 가장 밀접한관련이 있으며 다양한 기능 장애와도 상관성이 높은 장애 중 하나이다(Cho와 Lee, 2015; Jo 등, 2014). 뇌졸중 환자의 호흡 기능 저하는 마비측 근육의 미사용과 제한된 움직임에 의해 주로 발생되며, 근육의 전기적 활성및 흉벽 움직임의 감소로 기인한다(Kelly 등, 2003; Kim과 Jung, 2013; Kolb와 Gibb, 2007). 특히, 집중적인 재활이 필요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호흡 기능 저하에의한 잦은 피로감 호소는 재활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적용 시 큰 애로 사항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뇌졸중 환자의 이동 및 보행을 위한 독립성 감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Estenne 등, 1993; Kelly 등, 2003; Lord 등, 2004; Pang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 YH, Lee SB. Impact of respiratory muscle exercise on pulmonary function and quality of sleep among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5;10(4):123-31. 

  2. Choi HH. Modified speed-dependent treadmill training plus body weight support enhances cardiorespiratory function in ambulatory chronic hemiparet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Exercise. 2007;15(4):223-43. 

  3. Danks KA, Pohlig R, Reisman DS. Combining fast walking training and a step activity monitoring program to improve daily walking activity after stroke: a preliminary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16;97(9):185-93. 

  4.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409-17. 

  5. Enright PL, Sherrill DL. Reference equations for the six-minute walk in healthy adults.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8;158(1):1384-7. 

  6. Estenne M, Gevenois PA, Kinnear W, et al. Lung volume restri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muscle weakness: the role of microatelectasis. Thorax. 1993;48(7):698-701. 

  7. Jo MR, Kim NS, Jung JH. The effects of respiratory muscle training on respiratory function, 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cough capacity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4;9(4):399-406. 

  8. Jung EJ. Effects of oriented circuit exercise on balance and cognition in mild dementia. Master's Degree. Daegu University. 2013. 

  9. Kelly JO, Kilbreath SL, Davis GM, et al.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walking ability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2):1780-5. 

  10. Kim NS, Jung JH. The effects of breathing retraining on asymmetry of diaphragm thickness in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3;8(2):263-9. 

  11. Koegelenberg CF, Swart F, Irusen EM, et al. Guideline for office spirometry in adults, 2012. S Afr Med J. 2013;103(1):52-62. 

  12. Kolb B, Gibb R. Brain plasticity and recovery from early cortical injury. Dev Psychobiol. 2007;49(2):107-18. 

  13. Lord SE, McPherson K, McNaughton HK, et al.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how important and obtainable is it and what measures appear predictive?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34-9. 

  14. Marsden DL, Dunn A, Callister R, et al. A home- and community-based physical activity program can improve the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walking capacity of stroke survivors. J Stroke Cerebrovasc Dis. 2016;25(10):2386-98. 

  15. Mossberg KA. Reliability of a timed walk test in persons with acquired brain injury. Am J Phys Med Rehabil. 2003;82(5):385-90. 

  16. Pang MY, Eng JJ, Dawson AS. Relationship between ambulatory capacity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in chronic stroke: influence of stroke-specific impairments. Chest. 2005;127(2):495-501. 

  17. Park HK, Kim KJ, Sung HS, et al. Studies on the indirect measuring method of the maximum voluntary ventilation. Korean J Physiol Pharmacol. 1977;11(2):45-50. 

  18. Park TY, Cha YJ.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using a fixed upper and lower limb ergometer on the body composition of adult hemiplegic pati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014;18(3):323-34. 

  19. Pohl M, Mehrholz J, Ritschel C, et al. Speed-dependent treadmill training in ambulatory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2002;33(2):553-8. 

  20. Prasomsri J, Jalayondeja C, Bovonsunthonchai S, et al. Walking and stair climbing abilities in individuals after chronic stroke with and without mental health problem. J Med Assoc Thai. 2014;97(7):10-5. 

  21. Ries AL. The importance of exercise in pulmonary rehabilitation. Clin Chest Med. 1994;15(2):327-37. 

  22. Rosety I, Pery MT, Diaz AJ, et al. Circuit resistance training increased antioxidant status in adults with chronic spinal cord injury. Med Sci Sports Exerc. 2016;48(1):382. 

  23. Roth EJ, Noll SF. Stroke rehabilitation. 2. Comorbidities and complications. Arch Phys Med Rehabil. 1994;75(5):42-6. 

  24. Roth EJ. Heart disease in patients with stroke. Part II: impact and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4;75(1):94-101. 

  25. Salbach NM, Mayo NE, Wood-Dauphinee S, et al. A task-orientated intervention enhances walking distance and speed in the first year post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04;18(5):509-19. 

  26. Sandberg K, Kleist M, Falk L, et al. Effects of twice-weekly intense aerobic exercise in early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16;97(8):1244-53. 

  27. Strommen AM, Christensen T, Jensen K. Intensive treadmill training in the acute phase after ischemic stroke. Int J Rehabil Res. 2016;39(2):145-52. 

  28. Sutbeyaz ST, Koseoglu F, Inan L, et al. Respiratory muscle training improves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exercise tolerance in subjects with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0;24(3):240-50. 

  29. Tanuma A, Fujiwara T, Yamaguchi T, et al. After-effects of pedaling exercise on spinal excitability and spinal reciprocal inhibi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Int J Neurosci. 2016; in press. 

  30. Wang TY. Effects of high intensity circuit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cardiopulmonary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markers in middle aged male. Med Sci Sports Exerc. 2016;48(1):988-9. 

  31. Yang YR, Tsai MP, Chuang TY, et al.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improves community ambula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ait Posture. 2008;28(2):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