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균형능력 운동치료 시스템을 이용한 치료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a TETRAX on Balance and Mobility in Acute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7 no.3, 2010년, pp.11 - 19  

이남현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팀) ,  이진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팀) ,  이강노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with 'TETRAX' system, a balance training and assessment tool, on balance and mobility in acute hemiplegic patients. Nineteen matched subjects were assigned randomly in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An ex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기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에서 일반적인 물리치료 이외에 부가적으로 균형능력 운동치료 시스템을 이용한 치료가 시행되었을 때 균형능력과 이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STREAM), Berg Balance Scale(BBS), 5 m 보행속도(gait speed), 낙상위험도(fall down index)를 이용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 외부로부터의 시각적인 되먹임을 통한 자세 조절 치료는 균형능력의 개선을 위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Eser 등, 2008). 본 연구는 뇌졸중 후 환자에게 일반적인 재활치료 프로그램과 함께 힘 판을 이용한 시각적 되먹임 훈련의 균형능력 운동치료 시스템을 시행하여 균형과 이동능력 향상을 비교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4주간 일반적인 운동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한 대조군과 4주간의 일반적인 운동치료 프로그램에 균형능력 운동치료 시스템을 병행한 실험군 모두에서 STREAM, BBS 점수, 보행속도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STREAM, BBS 점수에서 더욱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 훈련에 시각적 되먹임을 위한 동적인 힘 판을 사용하는 것의 대표적인 가장 큰 이점은 무엇인가? 균형 훈련에 시각적 되먹임을 위한 동적인 힘 판을 사용하는 것의 큰 이점 중 하나는 과제 특이성(task specific) 측면과 뇌졸중 후 환자의 재활시기 동안 초기 보행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만약 만성기 환자라고 할지라도 힘 판을 이용하는 균형 훈련을 통한 접근은 더 나은 균형능력과 기능적인 활동을 되찾을 수 있다.
자세 안정성을 위한 자세 조절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에서 나타나는 자세 안정성의 저하는 일반적인 문제이며 이동능력의 빈번한 장애를 가진다(Liston과 Brouwer, 1996). 자세 안정성을 위한 자세 조절은 어떠한 자세를 유지하거나 행동을 하는 동안 균형의 상태를 달성, 유지, 회복시키는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Pollock 등, 2000). 균형은 모든 기능적인 행동을 위해 없어서는 안되며 앉기, 일어서기, 걷기 행동의 필수적인 요소이다(Yavuzer 등, 2006).
시각적 되먹임을 통한 자세 조절 치료 연구에 대한 결과 불일치가 일어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설명 가능한가? 위에서 언급된 결과들의 불일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첫째, 각각 다른 균형훈련 치료체계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균형 능력 운동치료 시스템의 측정 체계는 체중 이동을 기반으로 자세 조절을 향상시키는데 더 나은 되먹임을 줄 수 있다. France 등(1992)에 의하면 힘 판의 각도와 압력의 정량화는 더욱 선형적인 측정기술을 제공하고 검사와 되먹임 치료를 위해 더욱 유용하다고 말하고 있다. 둘째, 뇌졸중 후 발병 기간의 다양화와 자연회복의 가능성을 들 수 있다. 이전 연구들의 대부분은 발병기간이 아급성기 혹은 만성기이다(Alptekin 등, 2008; Barclay-Goddard 등, 2004; Eser 등, 2008; Geiger 등, 2001; Van Peppen 등, 2006; Walker 등, 2000; Winstein 등,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K-MMSE의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과학회지. 1997;15:300-307. 

  2. Alptekin N. Gok H. Geler- Kulcu D, et al Efficacy of treatment with a kinesthetic ability training device on balance and mobility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Clin Rehabil. 2008;22(10-11):922-930. 

  3. Barclay-Goddard RE. Stevenson Tj, Poluha W. et al. Force platform feedback for standing balance training after strok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4;18(4):CD004129. 

  4. Berg K, Wood-DauPhinee S. Williams JI.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 1995;27(1):27-36. 

  5. Bogle V, Thorbahn LD, Newton RA. Use of the Berg Balance Test to predict falls in elderly persons. Phys Ther. 1996;76(6):576-583. 

  6. Bohannon RW. Gait performaance of hemiparetic stroke patients: Selected variables. Arch Phys Med Rehabil. 1987;68(11):777-781. 

  7. Daley K, Mayo NE, Wood-Dauphinee S. Reliability of scores on the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 (STREAM) measure. Phys Ther. 1999;79(1):8-19. 

  8. Daley K, Mayo N, Wood-Dauphinee SL, et al. Verification of the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 (STREAM). Physiotherapy Canada. 1997;49:269-278. 

  9. Eser F, Yavuzer G, Karakus D, et al. The effect of balance training on motor recovery and ambula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 J Rehabil Med. 2008;44:19-25. 

  10.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975;12(3):189-198. 

  11. France P, Derscheid G, Irrgang J, et al. Preliminary clinical evaluation of the Breg KAT:Effects of training in normals. Isokinet Exerc Sci. 1992;2(3):133-139. 

  12. Fulk GD, Echternach JL. Test-retest reliability and minimal detectable change of gait velocity in individuals undergoing rehabilitation after stroke. JNPT. 2008;32(1);8-13. 

  13. Geiger RA, Allen JB, O'Keefe J, et al.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without biofeedback/forceplate training. Phys Ther. 2001;81(4):995-1005. 

  14. Haart de M, Geurts ACH, Dault MC, et al. Restoration of weight-shifting capacity in patients with postacute stroke: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5;86(4):755-762. 

  15. Hocherman S, Dickstein R, Pilar T. Platform training and postural stability in hemiplegia. Arch Phys Med Rehabil. 1984;65(10):588-592. 

  16. Hsieh CL, Sheu CF, Hsueh IP, et al Trunk control as an early predictor of comprehensive activities of daily livint function in stroke patients. Stroke. 2002;33(11):2626-2630. 

  17. Klavora P, Warren M. Rehabilitation of visuomotor skills in poststroke patients using the dynavision apparatus. Percep Mot Skills. 1998;86(1):23-30. 

  18. Kwakkel G. Impact of intensity of practice after stroke: Issues for consideration. Disabil Rehabil. 2006;28(13-14):823-830. 

  19. Laivow RE, Stubblebine AN, Sandground H, et al. EEG-neurobiofeedback treatment of patients with brain injury: Changes in EEG parameters versus rehabilitation. J. Neurother. 2001;5(4):45-71. 

  20. Laufer Y, Sivan D, Schwarzmann R, et al.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al recovery of patient with right and left hemiparesis in the early stages of rehabilitation.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003;17(4):207-213. 

  21. Liston RA, Brouwer BJ.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 obtained from stroke patients using the balance master. Arch Phys Med Rehabil. 1996;77(5);425-430. 

  22. Pollock A, Baer G, Pomeroy V, et al. Physiotherapy treatment approaches for the recovery of postural control and lower limb function following strok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3;(2):CD001920. 

  23. Pollock AS, Durward BR, Rowe PJ, et al. What is balance? Clin Rehabil. 2000;14(4):402-406. 

  24. Prasansuk S, Siriyananda C, Nakorn AN, et al. Balance disorders in the elderly and the benefit of balance exercise. J Med Assoc Thai. 2004;87(10):1225-1233. 

  25. Sackley CM, Lincoln NB.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visual feedback after stroke: Effects on stance symmetry and function. Disabil Rehavil. 1997;19(12):536-546. 

  26. Shumway-Cook A, Anson D, Haller S. Postural sway biofeedback: Its effect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88;69(6):395-400. 

  27. Srivastava A, Taly AB, Gupta A, et al. Post-stroke balance training: Role of force platform with visual feedback technique. J Neurol Sci. 2009;287(1-2):89-93. 

  28. Van Peppen RP, Kortsmit M, Lindeman E, et al. Effects of visual feedback therapy on postural control in bilateral standing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J Rehabil Med. 2006;38(1):3-9. 

  29. Walker C, Brouwer BJ. Culham EG.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 Ther. 2000;80(9):886-895. 

  30. Wang CH, Hsieh, CL, Dai MH,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of Movement (STREAM) Instrument. J Rehabil Med. 2002;34(1):20-24. 

  31. Wee JY, Bagg SD, Palepu A. The Berg Balance Scale as a predictor of length of stay and discharge destination in an acute stroke rehabilitation setting. Arch Phys Med Rehabil. 1999;80(4):448-452. 

  32. Winstein CJ, Gardner ER, McNeal DR, et al. Standing balance training: Effect on balance and locomotion in hemiparetic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1989;70(10):755-762. 

  33. Yavuzer G, Eser F, Karakus D, et al.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on gait late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06;20(11):960-9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