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게 만들 디지털 콘텐츠 디자인
Digital Content Design Making Children Like Reading Book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1, 2016년, pp.20 - 28  

왕린 (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하나 (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최근 현대사회의 다양한 스마트기기들이 보편화됨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유아용 콘텐츠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유아용 콘텐츠들은 한꺼번에 다양한 요소들을 접할 수 있다는 점과 편리함 때문에 많은 부모들과 선생님들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유아용 콘텐츠들의 과도한 이용은 아이들의 상상력 저하, 언어발달 저하 등에 문제로 우려의 목소리를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세대의 아이들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콘텐츠를 통해 최종적으로 아날로그 책을 통한 독서를 좋아하도록 디자인하고자 한다. 우선 현재 스마트기기의 유아용 콘텐츠들로 사용되는 멀티미디어들의 특징을 그림책비디오,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동화, 앱북 4종류로 나누어 알아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 방안들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는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게 만들 디지털 콘텐츠를 디자인 하는데 있어 가이드라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with various smart devices being used, more attention is paid to digital content development for kids. Many parents and teachers are using digital contents both at home and the classroom. However, there are many concerns on the delayed language ability development and lack of social skil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지적 능력을">지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올바른 인생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인생관과 세계관을 정립할 수 있으며, 인격을 수양하는 것이 가능하다[8]. 따라서 본 연구는 아이들이 독서를 하는데 있어 스마트기기 이용의 장점과 아날로그 독서의 장점을 모두 가져갈 수 있도록 스마트기기 이용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기기의 이용을 통해 아이들이 아날로그 책에 흥미를 느껴 아날로그 독서까지 이어서 할 수 있게끔 디지털 콘텐츠를 디자인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후)정립해야 하는">정립해야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계서비스로 해당 콘텐츠의 구매처 및 연관 콘텐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더 확대된 범위의 서비스를 제안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현재 멀티미디어별 특징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미래의 유아콘텐츠가 가져야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후에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그림책 비디오,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 동화, 앱북을 정의하고 미래의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아동의 디지털 콘텐츠 활용을 통해 독서진흥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멀티미디어의 특징을 각 그림책비디오,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 동화, 앱북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점차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활동 발달을 통해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멀티미디어들을 통해 각각의 멀티미디어들이 가지는 특징에 대해 제시한다. 멀티미디어 종류로는 그림책 비디오,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 동화, 앱북을 선정하였다.
  • 후)앞서">앞 서 이론적 배경에서는 멀티미디어별 동화 독서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디지털 콘텐츠 후)동화시청에서">동화 시청에서 아날로그 책 읽기까지 고무하는 방법으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있다. 애니메이션의 과도한 시청과 몰입을 방지하기 위해 콘텐츠 시청에만 그치지 않고, 더 확장된 정보와 활용기회를 제공하여 아동의 효율적인 독서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 후)멀티미디어 별">멀티미디어별 동화 독서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디지털 콘텐츠 활용방안에서는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어떠한 디지털 콘텐츠 요소들이 필요한지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을 활용하여 어떠한 방향으로 디지털 콘텐츠들이 디자인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후)앱 북의">앱북의 특성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첫째, 종이 인쇄가 아닌 디지털 인쇄라는 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능력을 조사한 결과 어떻게 나타났는가? 0%로 대다수 접한 적이 있다고 조사됐다. 그리고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능력에 대해 조사한 결과 혼자 이용하기 어려워하는 유아는 32.0%, 보호자를 동반해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29.0%, 얼마든지 이용 가능하다와 실행방법을 개선해야 하지만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17.0%의 순으로 나타났다[2]. 이처럼 최근에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부모 및 교사와 함께 유아들이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림책 비디오는 무엇인가? 그림책 비디오란 그림책을 기반으로 다양한 영상기술을 사용하여 움직임과 성우의 대사와 해설, 음악과 음향효과를 첨가하여 제작된 영상매체이다. 아이들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과 그림책 비디오를 시청하게 하는 것은 시각적 이미지(visual image)를 보여주며 이야기를 들려준다(story telling)는 점에서 비슷하다[10].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의 문제점 중 책으로 읽는 독서에 비해 상상력이 자극되지 않는 사례엔 무엇이 있는가?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의 문제점으로는 먼저 책으로 읽는 독서에 비해 상상력이 자극되지 않는다. KBS 다큐프라임 <책 읽는 대한민국, 읽기혁명>에서는 책으로 읽은 아이들과 영상으로 본 아이들에게 각자의 느낌을 그림으로 그리게 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책으로 읽은 아이들은 자신이 느낀 생각을 개성 있게 표현한 반면, 영상으로 본 아이들은 영상의 한 장면만을 옮길 뿐이었다. 즉, 스마트 기기는 아이들에게 상상력이 아닌 정보제공을 할 뿐이다. 둘째, 책을 멀리하고 스마트 기기만 이용한 아이일수록 언어능력이 떨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디지털 콘텐츠 산업 조사 연구 사업 연구보고서, 한국콘츠진흥원, 2016년 1월 

  2. 이주연,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앱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 유아의 행동패턴에 따른 부모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 http://www.ibabynews.com/news/newsview.aspx?newscode201509160858556320004304&categorycode0017#z. 

  4. 채석용, 나를 성장시키는 독서법, 소울메이트, 2011. 

  5. 김경수, 이소은, "개방적, 폐쇄적 소프트웨어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 및 수,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지, Vol.8, No.1, pp.24-49, 2003. 

  6. 조경희, 플래시 애니메이션 동화학습이 ADHD 아동의 학습흥미도 및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7. M. W. No, "The definition and function of reading," New Korean life, Vol.22, No.4, p.11, 2012. 

  8. 이복순, 강영하, 남윤석,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 능력과 장애아동에 대한 또래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 저널 : 이론과실천, Vol.11, No.2, pp.210-211, 2010. 

  9. 보건복지부, 2013 어린이 평가 인증 안내 (40인 이상 안산 어린이집), p.87, 2013. 

  10. 현은자, 김세희, 그림책의 이해1, 사계절, 2005. 

  11. 허정은, 팝업북과 앱북으로 만든 어린이그림책,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2. 이가영, 그림책비디오를 활용한 쓰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쓰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3. P. H. Duncan, "I Iiked the book better: Comparing film and text to build critical comprehension," The Reading Teacher, Vol.46, No.8, pp.720-725, 1993. 

  14. B. E. Cullinan and L. Galda, Literature and child, Forth Worth :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s, 1994. 

  15. M. Wipple, "Let's go to the movies: Rethinking the role of film in the elementary Classroom," Language Arts, Vol.76, No.2, 1998. 

  16. 박성철, 정채봉 동화 오세암과 애니메이션 비교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7. J. U. Kim, "A study on efficient animation education research,"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Vol.10, No.2, pp.4-14, 2005. 

  18. 송인욱, 유아기 발달을 위한 유아용 애니메이션의 적합성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19. 양순애, 인터넷 동화와 그림동화가 유아의 주의 집중도 및 이야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0. 신혜영, 전자책 콘텐츠로서의 멀티동화 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세종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1. 김민하, 유아용 앱북 제작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의 적용 효과성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2. 임혜리, 서혜옥, "유아 TV프로그램 캐릭터디자인에 대한 연구 : 정서적 발달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지, Vol.50, pp.156-168, 2015. 

  23. http://frozen.disney.com http://www.disneystore.com - Frozen 5 Minute Stories 

  24. http://www.dwci.co.kr/kids2/info_view.aspseq22601 

  25. 박선미, 어린이 독서활동 증진을 위한 영상매체 활용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6. 윤현민, 이수형, 이신애,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선호요인 및 학부모.교사 인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지, Vol.13, No.2, pp.113-143, 2014. 

  27. http://blog.naver.com/gugg0129/220293012436 

  28. 김정아, "유아 그림책의 그림 표현 기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 분석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Vol.14, pp.106-107, 2013. 

  29. 김민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민요 교육 방법연구: 상여소리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지, Vol.8, pp.5-35,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