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교수방법 선호도와 Kolb의 학습유형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and Kolb's Learning Styles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0, 2016년, pp.339 - 348  

우정희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박주영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교수방법 선호도와 학습유형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5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D시에 소재하는 일개대학의 간호대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시행하였다. 학습유형은 적응자가 60명(34.5%)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렴자 59명(33.9%), 융합자 28명(16.1%), 분산자 27명(15.5%) 이었다. 교수방법 선호도를 살펴보면, 토론교수법이 7.2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직접교수법은 7.26점, 동료 교수법이 7.22점으로 높았다. 독립학습 교수법은 6.54점, 프로젝트 교수법은 6.25점, 공학중심 교수법은 5.77점, 교수게임 교수법은 5.45점으로 평균정도였으며 시뮬레이션 교수법은 4.23점으로 가장 낮았다. 교수방법 선호도에 따른 학습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유형은 Flipped learning을 경험한 경우는 적응자가 35명(46.1%), 그렇지 않은 경우는 수렴자가 46명(46.9%)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유형의 분석은 교수자의 수업운영 전략을 계획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Kolb's learning style and preference for instructional method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74 students at a university in D cit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October 19 to October 21 2015. Learning style ratio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방법 선호도와 Kolb 학습유형을 파악하고 교수방법 선호도에 따른Kolb 학습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교수방법 선호도에 따른 학습유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일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방법 선호도와 Kolb 학습유형을 파악하고 교수방법 선호도에 따른 Kolb 학습유형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효과적인 학습법을 촉진시키는 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현재 일개 간호대학에서 수업을 듣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방법 선호도와 Kolb 학습유형을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유형과 교수방법 선호도에 따른 Kolb 학습유형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주목적은 학습자의 학습유형에 초점을 두어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유형과 교수방법 선호도에 따른 학습유형을 확인하였으며 그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일 대학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방법 선호도와 Kolb 학습유형을 파악하고 교수방법 선호도에 따른 Kolb 학습유형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효과적인 학습법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르침이란? 가르침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필요로 하는 지식이나 기술 등을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으로 정의되며 최근 교육의 의미를 지식이나 기술이 완성되는 하나의 활동으로만 볼 것인지, 자신의 삶 또는 나아가 조화로운 공동체를 이루는데 기여할 수 있는 일종의 관계 확장의 관점을 기르는 것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한 실정이다[1]. 이와 같은 교육의 정의를 볼 때 현재 대학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교수학습개발센터를 통해 각 대학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ž개발하여 대학교육의 내실화와 고등교육의 질 관리에 우선시 하고 있다.
학습유형의 역할은? 학습유형이란 새로운 개념과 원리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지식을 이용하는 개인의 독특한 방식으로[5] 이는 학습자가 학교와 학습주제에 대하여 긍정적인 생각을 하면서도 기억을 오랫동안 하도록 도와주며,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학습성과에 빨리 도달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6]. 경험주의 학습이론을 체계화시킨 Kolb[7]는 구체적인 경험, 사려깊은 관찰, 추상적인 개념화, 적극적인 실험의 4가지 학습방법에 대한 개인의 차이를 기초로 적극적-사려깊은 행위의 차원을 횡축으로, 구체적-추상적인 감정의 차원을 종축으로 하여 수렴자, 분산자, 융합자, 적응자의 4가지 학습유형을 제시하였다.
교수방법 선호도에 따른 학습유형을 비교하는 것이 교수자에게 많은 함의를 갖는 이유는? 학습자는 선호하는 교수방법 하에서 더 높은 학업성취를 이루게 되며[2] 학습자가 교수방법을 경험 할 경우 자신의 학습유형과 적합하지 않은 불편한 학습경험이 되거나 학습에 대한 수행과 도전으로 나아갈 수 없다[6]. 따라서 교수방법 선호도에 따른 학습유형을 비교하는 것은 교수자에게 많은 함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ikipedia Home page, https://en.wikipedia.org/wiki/Education, July 1, 2016. 

  2. S. D. Lee, "The comparison of student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according to Kolb's learning styles",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6, No. 4, pp. 125-144, 2005. 

  3. Abidin, A. Rezaee, H. Abdullah, and K. Singh, "Learning styles and overall academic achievement in a specific educational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 1, pp. 143-152, 2011. 

  4.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Home page, http://www.kabone.or.kr/, July 14, 2016. 

  5. M. D. Pungente, K. M. Wasan, C. Moffett, "Using learning styles to evaluate first-year pharmacy student's preferences toward different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Vol. 66, pp. 119-124, 2002. 

  6. S. Graf, T. C. Liu, Kinshuk, NS. Chen., SJ. Yang, "Learning styles and cognitive traits: their relationship and its benefits in web-based educational system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5, No. 6, pp. 1280-128, 2009. 

  7. D. A. Kolb,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4. 

  8. L. M. Al-Saud,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first-year dental students at king saud university in riyadh, saudi arabia: Influence of gender and gpa", Journal of Dental Education, Vol. 77, No. 10, pp. 1371-1378, 2013. 

  9. M. N. Jun. "Deep approach to learning according to the Kolb-McCarthy's learning styl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18, No. 4, pp. 279-292, 2004. 

  10. G. H. Lee, S. J.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of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cusing on freshmen enrolled in a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of the medium-sized university",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ol. 27, No. 4, pp. 473-486, 2013. DOI: http://dx.doi.org/10.7468/jksmee.2013.27.4.473 

  11. I. K. Kim, J. A. Seong, "Learning style,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621-4631,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621 

  12. I. S. Lee, C. S. Park, "Factors influencing confidence in performance compet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by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22, No. 3, pp. 297-307, 2015.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5.22.3.297 

  13. H. S. Park, G. Y. Cho, D. H. Kim1, S. H. Kim, M. S. Kim, "The mediating effect of drug calculation 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est in medication and drug calculation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 15, No. 4, pp. 155-163, 2013. DOI: http://dx.doi.org/10.7586/jkbns.2013.15.4.155 

  14. S. Yang, E. Ha, O. Lee, I. Sim, Y. Park, H. Nam, J. Kim, "Academic achievement, self-directed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learning styles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9, No. 3, pp. 334-342, 2012.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2.19.3.334 

  15. G. J. An,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learning method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3, No. 1, pp. 13-22, 2007. 

  16. K. S. Sun, "Learning style and preference for instructional method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llege Education, Vol. 13, No. 1, pp. 1-12, 2012. 

  17. J. S. Renzulli, M. G, Rizza, and L. H. Smith, Learning styles inventory-Version III: A measure of student preferences for instructional techniques. Creative Learning Press, INC., 2002. 

  18. European Science Foundation, The professionalization of academics as teachers in higher education. Standing Committee for the Social Sciences, 2009. 

  19. J. Y. Ha, "Learning style, learn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3, pp. 155-164, 2011. 

  20. S. Y. Hong,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by nursing students' learning style."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0. 

  21. S. H. Kim, H. R. Roh, "The assessment of medical students' learning styles using the Kolb learning style inventory",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 19, No. 3, pp. 197-205, 2007. 

  22. J. Y. Kim, E. Y. Choi,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learning styles in problem based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6, No. 2, pp. 200-206, 2006. 

  23. J. W. Lee, "Examining the effect of adult learners' learning styles on the preference of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focusing on office workers in mid-sized firms." Master's thesis, Hanyang Cyber University, 2014. 

  24. J. D. Kim, "Project method and metacognition formative process in elementary school."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1999. 

  25. M. S. Kim, S. Y. Yun, "Factors influencing flow state of cooperative learning among nursing students: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 397-403, 2015.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10.397 

  26. M. S. Kim, S. Y. Yun,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convergenc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9, pp. 11-19, 2015.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9.11 

  27. S. L. Stradley, B. D. Buckley, T. W. Kaminsky, M. Horodyski, D. Fleming, and C. M. Janelle, "A nationwide learning-style assessment of undergraduate athletic training students in CAAHEP-accredit athletic training programs",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Vol. 37, No. 4, pp. 114-146,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