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객자동차 터미널 이동편의시설 BF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Status of Barrier Free Certification & Improvement Strategies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7 no.4, 2016년, pp.225 - 237  

박신원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조영태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난 2007년 도입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인증제도의 확산과 정착을 위하여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로써 인증제도의 확산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여객자동차 터미널을 대상으로 편의시설 실태를 파악하고, 인증가능성을 평가하여 인증 확산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전국 여객자동차 터미널 349개소에 대하여 편의시설 설치 수준 현황조사를 시행하였다. 현황조사 결과 인증가능시설이 217개소, 인증불가시설이 58개소로 평가되었고, 인증가능성이 높은 29개 시설은 소규모 리모델링 공사를 통하여 인증을 획득할 수 있는 시설로 평가되었다. 실태조사 결과, 여객자동차 터미널의 BF수준은 40~55% 수준이며, 평가분야별로는 내부시설이 90% 이상으로 수준높은 반면, 매개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등은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객자동차 터미널의 편의시설 수준제고를 위해서 BF 인증 시범사업을 제안하였다. 인증가능성이 높고, 지자체 지원의지와 사업주의 편의시설 개선의지가 높은 시설을 대상으로 시범사업대상으로 선정하고 편의시설개선을 추진하여 BF인증을 추진하고 모니터링하는 방안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 of passenger terminals, public facilities which are used by unspecified individuals, with high spread effect of certification system of Barrier Free introduced in 2007, evaluate possibility of the certification and prepare an effective way for certifi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5년 국토교통부 수탁과제로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수행한 『여객자동차 터미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방안수립 연구』의 내용을 정리, 보완함.
  • 본 연구는 사회구성원을 위한 보편화된 생활환경의 조성방안을 모색하고자 인증제도 개선과 확산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여객시설인 여객자동차 터미널을 대상으로 현장 실태조사를 통해 편의시설 수준을 파악하고, 편의 시설 수준제고를 위한 수단으로 여객자동차 터미널 BF 인증 시범사업을 제안하였다.
  •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여 국민의 안전한 이동권 보장과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중장기적으로 중앙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사업자 및 시민의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시범사업을 통하여 정책을 고도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사업자 및 시민주도의 상향식(bottom-up) 정책추진을 통해 전국적으로 편의시설 수준제고를 확산하고자 한다.
  • 시범사업을 통해 여객자동차 터미널에 대한 이동편의성을 증진하고 국민의 안전한 이동권을 확보하여 교통복지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여 국민의 안전한 이동권 보장과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중장기적으로 중앙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사업자 및 시민의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 여객자동차 터미널의 편의시설 수준제고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BF 인증 시범사업을 제안하였다. 인증가능성이 높고 [‘상(上)’ 그룹], 지자체 지원의지와 사업주의 편의시설개선의지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사업대상지로 선정하고 시설개선(리모델링)과 모니터링을 통해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증의 종류는 어떠하고, 각각 어떻게 시행되는가? 인증은 예비인증과 본인증으로 구분되는데, 예비인증은 인증대상의 사업계획 또는 설계도면을 통하여 본인증 전에 실시하고, 본인증은 공사 준공 또는 건축물 사용승인 이후에 시행한다.
인증제도의 인증심사기준은? 인증제도의 인증심사기준은 인증대상별로 지역, 도로, 공원, 건축물, 여객시설 및 교통수단으로 구분되며, 여객시설에는 여객자동차 터미널, 도시철도시설, 철도시설, 환승시설, 공항 및 공항시설, 항만시설 등이 해당된다5).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는 무엇에 기초하는가? 인증제도는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의 기본권인 이동권과 편의성을 보장하는 생활환경의 조성을 위하여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이하 ‘교통약자법’) 및 ‘장애인 ․ 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이하 ‘장애인등편의법’)’에 기초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태성(2016), 여객자동차터미널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박신원, 고치원(2008),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Barrier Free) 인증제도의 도입과 활용", 토지와 기술, 75(24): 19-56. 

  3. 변용찬 등(2009),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2008), 장애인 차별금지법제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자료집. 

  5. 신연식(2000), 교통약자를 고려한 교통수단제공 및 시설정비지침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6. 신연식(2002), 교통약자의 보행교통환경에 대한 평가와 정비방안, 교통개발연구원. 

  7. 이삼열 등(2009), "시범사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1-40. 

  8. 이영아, 진영환(2000),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도시시설 확충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9. 한국교통연구원, 건국대학교(2006), 장애인 및 고령자를 위한 보도 및 교통수단.시설의 편의시설 설치기준 연구, 건설교통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10. 한국토지공사(2007), 장애물 없는 도시(Barrier Free City) 구축 및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사. 

  11. 한국토지공사(2008),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지표 및 심사기준, 한국토지공사. 

  12. 한국토지주택공사(2014), 여객자동차 터미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방안 수립 연구, 국토교통부. 

  13. 和平好弘 (이신해, 도군섭 역) (2005),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교통의 Barrier Free,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4. Tica, P. L. and J. A Shaw(1974), Barrier Free Design Accessibility for the Handicapped, The New York State Education Department, University of the State of New York. 

  15. U.N. (1956), "The aging of Population and its Economic and Social Implications", Population Studies, 26. 

  16. (社)土木??土木計??硏究委員?.福祉の交通.地域計?硏究小委員?.(財)災害科?硏究所交通まちつくり?硏究? 編著 (2008), 理解から實踐へ日本の交通バリアフリ?, (株)?芸出版社. 

  17. (財)?土技術硏究センタ-編集.發行.?土交通省道路局地方道環境課監修 (2001), バリアフリ步行空間ネットワ-ク 形成の手引き, 大成出版社. 

  18. 한국토지주택공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센터 홈페이지, http://bfcc.lh.or.kr. 

  19.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홈페이지, http://bf.koddi.or.kr. 

  20. 통계청, http://www.nso.go.kr. 

  21.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