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업여부에 따른 영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안정성 및 상호적 영향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6, 2016년, pp.249 - 270  

윤선영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신나나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early childhood. Specifically, we compared these relations for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The second through fourth wave data of the Panel Study of Ko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모가 되는 것은 어떤 부정적인 측면을 동반하는가? 부모가 되는 것은 새로운 가족 구성원을 육성하는 생산적인 활동으로, 부모로서의 행복을 느끼게 하고 심리적이며 사회적인 안정감을 주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부모로서의 책임감과 부담감을 갖게 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을 동반한다(Crnic & Booth, 1991). 특히 영유아기는 새로운 가족구성원의 탄생과 함께 가족 간의 역할과 경계가 새로이 만들어지는 시기이므로 양육에 대한 부담감과 이로 인한 양육스트레스가 어느 때보다 높은 시기이다.
부모가 되는 것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부모가 되는 것은 새로운 가족 구성원을 육성하는 생산적인 활동으로, 부모로서의 행복을 느끼게 하고 심리적이며 사회적인 안정감을 주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부모로서의 책임감과 부담감을 갖게 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을 동반한다(Crnic & Booth, 1991).
부모가 되는 것은 어떤 활동인가? 부모가 되는 것은 새로운 가족 구성원을 육성하는 생산적인 활동으로, 부모로서의 행복을 느끼게 하고 심리적이며 사회적인 안정감을 주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부모로서의 책임감과 부담감을 갖게 하여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을 동반한다(Crnic & Booth,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김기원, 도현심, 김상원, 이선희 (2010). 어머니의 취업여부, 취업 관련 특성, 배우자의 지지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1(5), 101-113. 

  2. 김기현, 강희경 (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3. 김숙령, 윤다희 (2014). 사회적 지원이 영아기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8, 41-62. 

  4. 김정미, 문승미, 김유정, 안선희 (2013).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어머니-교사관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4(5), 79-98. 

  5.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6. 김진호, 홍세희, 추병대 (2007). 경영학 연구에서의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문헌 연구와 비판. 경영학연구, 36(4), 897-923. 

  7. 류기자, 김영주, 송연숙 (2009). 보육시설 영아반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5(1), 1-23. 

  8. 문영경 (2012). 사회적 지원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6(30), 165-177. 

  9. 박애선 (2013). 자폐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41, 143-165. 

  10. 박정희, 장영애 (2004).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아동과 권리, 8(2), 327-353. 

  11. 백영숙(2007).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양육죄책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변호순, 최정균 (2010). 미국 저소득 미혼모 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문제행동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6, 133-162. 

  13. 손수민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비교와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31-357. 

  14. 송미혜, 송연숙, 김영주 (2007).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65-183. 

  15. 신나리, 안재진 (2013).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간의 인과적 종단관계 분석. 아동학회지, 35(5), 135-154. 

  16. 신정이, 박현순 (2010).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전문적 도움추구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낙인지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2(4), 231-256. 

  17. 양하영, 박혜원 (2011). 양육관련변인과 어머니-영아 상호작용행동 간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3), 99-111. 

  18. 우종필 (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19. 유우영, 최진아, 이숙 (199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 51-61. 

  20. 육아정책연구소 (2012). 한국아동패널 2009 (2차년도) 도구프로파일.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1. 윤지원, 황라일, 조헌하 (2009).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관련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5(4), 294-302. 

  22. 윤현수, 오경자 (2010). 사회적 지지가 빈곤계층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연령과 환경적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673-689. 

  23. 이숙자 (2005).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적극적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이윤주, 진미정 (2013). 영유아기 기혼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사회자본과 양육스트레스.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2), 229-239. 

  25. 이은해, 이미리 (1996).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사회적 관계망과 양육곤란도 지각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7(2), 61-78. 

  26. 이재림, 옥선화 (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5), 49-63. 

  27. 정미라, 차기주, 주연진, 김민정 (2015). 취업모의 직장 내 분위기의 융통성, 역할갈등,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433-454. 

  28. 정유진, 전귀연 (2014). 가족친화제도와 조직문화가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1), 3-28. 

  29. 조병은, 서동인, 신화용, 정현숙 (1998). 편모가족의 어머니와 자녀의 긍정적 변화에 미치는 자원의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6(1), 13-21. 

  30. 황영주 (1997).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사회적 지지가 자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PSI-SF).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32. Armstrong, M. I., Birnie-Lefcovitch, S. B., & Ungar, M. T. (2005). Pathways between social support, family well being, quality of parenting, and child resilience: What we know.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4(2), 269-281. 

  33. Barrera, M. (1988). Models of social support and life stress: Beyond the buffering hypothesis. In L. H. Cohen (Ed.), Life events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pp. 211-236). Beverly Hills, CA: Sage. 

  34. Belle, D. (1982). Social ties and social support. In D. Belle (Ed.). Lives in stress. Woman and depression (pp. 133-149). Beverly Hills, CA: Sage. 

  35.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36. Belsky, J., & Rovine, M. (1984). Social-network contact, family support, and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6(2), 455-462. 

  37. Bost, K. K., Cox, M. J., Burchinal, M. R., & Payne, C. (2002). Structural and supportive changes in couples' family and friendship networks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2), 517-531. 

  38. Brassard, J. (1982). Beyond family structur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personal social network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rnell University, Ithaca, USA. 

  39. Crnic, K. A., & Booth, C. L. (1991). Mothers'and fathers' perceptions of daily hassles of parenting across early childhoo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3(4), 1042-1050. 

  40. Crnic, K. A., Gaze, C., & Hoffman, C. (2005).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17-132. 

  41.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42. Cutrona, C. E., & Suhr, J. A. (1992). Controllability of stressful events and satisfaction with spouse support behaviors. Communication Research, 19(2), 154-174. 

  43. Deater-Deckard, K., & Scarr, S. (1996). Parenting stress among dual-earner mothers and fathers: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1), 45-59. 

  44. Duvall, E. R. M., & Miller, B. C. (1985). Marriage and family development. NY: Harper & Row. 

  45. Forgays, D. K., & Forgays, D. G. (1993).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ing to parenting stress among employed and nonemployed women.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7(2), 107-118. 

  46. Gottlieb, B. H. (1983). Social support strategies: Guidelines for mental health practice. Beverly Hills, CA: Sage. 

  47. Guralnick, M. J., Hammond, M. A., Neville, B., & Connor, R. T.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sources and functions of social support and dimensions of child­ and parent­related stres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2(12), 1138-1154. 

  48.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Y: Guilford Press. 

  49. Larner, M. (1990). Changes in network resources and relationships over time. In M. Cochran, M. Larner, D. Riley, L. Gunnarsson, & C. Henderson (Eds.), Expending families (pp. 181-205).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51. Levy-Shiff, R., Dimitrovsky, L., Shulman, S., & Har-Even, D. (1998). Cognitive appraisals, coping strategies, and support resources as correlates of parenting and infant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4(6), 1417-1427. 

  52. Mann, M. B., & Thornburg, K. R. (1987). Guilt of working women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day ca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27(3), 451-464. 

  53. Mulsow, M., Caldera, Y. M., Pursely, M., Reifman, A., & Huston, A. C. (2002). Multilevel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stress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4), 944-956. 

  54. Quittner, A. L., Glueckauf, R. L., & Jackson, D. N. (1990). Chronic parenting stress: Moderating versus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6), 1266-1278. 

  55. Raikes, H. A., & Thompson, R. A. (2005).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parenting stress among families in poverty.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6(3), 177-190. 

  56. Respler-Herman, M., Mowder, B. A., Yasik, A. E., & Shamah, R. (2012). Parenting beliefs, parental stress, and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1(2), 190-198. 

  57. Schulz, R., & Tompkins, C. (1990). Life events and changes in social relationships: Examples, mechanisms, and measurement.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9(1), 69-77. 

  58. Sherbourne, C. D., & Stewart, A. L. (1991). The MOS social support survey. Social Science & Medicine, 32(6), 705-714. 

  59. Shinn, M., Lehmann, S., & Wong, N. W. (1984).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Social Issues, 40(4), 55-76. 

  60. Stevenson, M. L., Henderson, T. L., & Baugh, E. (2007). Vital defenses social support appraisals of Black grandmothers parenting grandchildren. Journal of Family Issues, 28(2), 182-211. 

  61. Thomason, E., Volling, B. L., Flynn, H. A., McDonough, S. C., Marcus, S. M., Lopez, J. F., et al. (2014).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postpartum mothers: B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effect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37(3), 406-415. 

  62. Wellman, B. (1981). Applying network analysis to the study of support. In B. H. Gottlieb (Ed.),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pp. 171-120). Beverly Hills, CA: Sage. 

  63. Williford, A. P., Calkins, S. D., & Keane, S. P. (2007). Predicting change in parenting stress across early childhood: Child and maternal facto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5(2), 251-2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