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수면 영향요인: Spielman의 수면장애모델을 근간으로
Factors Influencing Sleep Patterns during Clinical Practice Weeks among Nursing Students : Based on Spielman's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8 no.4, 2016년, pp.203 - 212  

김미예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  최희정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leep patterns of nursing students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physiologic measurement,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leep patterns in based on Spielman's model. Methods: Participants were 119 nursing students who were in the cli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상실습 기간 중인 간호대학생의 수면양상을 설문지와 생리적 측정을 통해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의 수면장애에 대한 예측력을 높이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 주로 사용해온 설문지뿐만 아니라 객관적 측정방법인 액티그래프를 사용하여 주관적, 객관적 측면 모두에서 수면양상을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지각된 수면양상은 주로 총 수면시간과 상관이 있으나 그 정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수면 양상을 조사하고, 수면영향요인을 분석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연구이다. 본 연구는 유발(predisposing)요인, 촉발(precipitating)요인, 지속(perpetuating)요인의 3가지 요소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수면 장애를 유발한다고 설명하는 Spielman’s 3P 모델을 기반으로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Spielman의 수면장애모델을 근간으로 임상실습 기간 중 간호대학생의 수면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포괄적이며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Spielman [11]이 제시한 수면장애모델을 연구의 개념 틀로 사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류해보고자 한다. 유발요인으로써 일주기수면유형, 촉발요인으로써 스트레스, 좌식생활, 교대실습, 지속요인으로써 주간졸림증, 식습관의 변수를 측정하여 실제적인 영향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포괄적이며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Spielman [11]이 제시한 수면장애모델을 연구의 개념 틀로 사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류해보고자 한다. 유발요인으로써 일주기수면유형, 촉발요인으로써 스트레스, 좌식생활, 교대실습, 지속요인으로써 주간졸림증, 식습관의 변수를 측정하여 실제적인 영향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 그러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5-7, 13]에서 수면양상의 측정은 모두 설문지를 통한 자가보고형의 주관적 측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자가보고와 함께 객관적 측정을 병행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객관화된 측정방법인 액티그래프를 이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수면 양상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은 어떤 기능을 하는가? 수면은 인간의 기본욕구로서 휴식과 안정을 제공하며, 신체적·정신적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만일 적절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신체적·정신적 기능의 변화로 인해 건강에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1].
적절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어떤 문제가 있는가? 수면은 인간의 기본욕구로서 휴식과 안정을 제공하며, 신체적·정신적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만일 적절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신체적·정신적 기능의 변화로 인해 건강에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1]. 하지만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은 OECD 회원국 중 가장 적은 7.
간호학과 대학생이 수면장애가 초래될 수 있는 이유는? 이 중요한 시기에 간호학과 대학생은 타 학과학생과 달리 임상실습이 학점의 상당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다양한 상황의 임상실습을 경험하게 된다[4]. 실제로 임상실습 중인 간호대학생은 간호사와 동일한 업무 시간대에 실습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본인의 일주기수면유형이나 수업이 진행되는 기간에 활동하던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의 익숙해진 일상과는 상관없이 아침 이른 시간부터 낮까지, 혹은 낮부터 밤까지의 변화된 시간에 임상실습을 해야 하는 상황을 겪게 된다. 이로 인해 수면주기의 변화가 요구되며 그 변화가 자신의 일주기수면유형과 다른 경우 임상실습 기간 중 수면장애가 초래될 수 있다[5]. 이외에도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과 스트레스로 의도치 않게 적절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여 집중력이 약화되어 결국 성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Fuller J, Schaller-Ayers J. Health Assessment: A Nursing Approach. 3rd ed. Philadelphia : Lippincott-Williams and Wilkins; 2000. p. 52-54. 

  2. Planning and Social Statistics. Life Time Survey 2014 [Internet]. Seoul: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5 [cited 2015 Jun 29].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4/index.board?bmoderead&aSeq346875. 

  3. Yang C, Wu C, Hsieh M, Liu M, Lu F. Coping with sleep disturbances among young adults: a survey of first-year college students in Taiwan. Behavioral Medicine (Washington, D C). 2003;29(3):133-138. http://dx.doi.org/10.1080/08964280309596066 

  4. Taillard J, Philip P, Coste O, Sagaspe P, Bioulac B. The circadian and homeostatic modulation of sleep pressure during wakefulness differs between morning and evening chronotypes. Journal of Sleep Research. 2003;12(4):275-282. http://dx.doi.org/10.1046/j.0962-1105.2003.00369.x 

  5. Kim HS, Eom MR, Kim EK. Sleep patterns and circadian types of nursing students during shift schedu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 40(1):43-51. http://dx.doi.org/10.4040/jkan.2010.40.1.43 

  6. Kim GH, Yoon HS.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 nursing students and n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3;22(4):320-329. http://dx.doi.org/10.12934/jkpmhn.2013.22.4.320 

  7. Chae YR, Choi DH, Yu SJ. Predictors of poor sleep qualit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4;16(2):98-104. http://dx.doi.org/10.7586/jkbns.2014.16.2.98 

  8. Benavente SB, Silva RM, Higashi AB, Guido Lde A, Costa AL. Influence of stress factor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sleep quality of nursing students. Revista da Escola de Enfermagem da USP. 2014;48(3):514-520. http://dx.doi.org/10.1590/S0080-623420140000300018 

  9. Augner C. Associations of subjective sleep quality with depression score, anxiety, physical symptoms and sleep onset latency in students. Central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1;19(2):115-117. 

  10. Huang CF, Yang LY, Wu LM, Liu Y, Chen HM. Determinants of daytime sleepiness in first-year nursing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Nurse Education Today. 2014;34(6):1048-1053. http://dx.doi.org/10.1016/j.nedt.2013.11.005 

  11. Spielman AJ, Glovinsky P. The varied nature of insomnia. In: Hauri PJ, editor. Case Studies in Insomnia. 1st ed. New York, NY: Plenum Press; 1991. p. 1-15. 

  12. Belleville G, Morin CM. Insomnia. Scholarpedia. 2008;3(4):3314. http://dx.doi.org/10.4249/scholarpedia.3314 

  13. Furlani R, Ceolim MF. Sleep patterns of first-year nursing students. Revista Brasileira de Enfermagem. 2005;58(3):320-324. http://dx.doi.org/10.1590/S0034-71672005000300013 

  14. Tonetti L, Erbacci A, Fabbri M, Martoni M, Natale V. Effects of transitions into and out of daylight saving time on the quality of the sleep/wake cycle: An actigraphic study in healthy university students. Chronobiology International: The Journal of Biological and Medical Rhythm Research. 2013;30(10):1218-1222. http://dx.doi.org/10.3109/07420528.2013.812651 

  15. Kim, IJ, Choi HJ, Kim BJ.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version of modified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KMLSEQ).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4;17(1):10-17. http://dx.doi.org/10.7587/kjrehn.2014.10 

  16. Kim JK. Circadian rhythm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Korean Jourmal of Health Psychology. 1998;3(1):129-140. 

  17. Yusoff MS, Abdul Rahim AF. The medical student stressor questionnaire (MSSQ) Manual. 1st ed. Malaysia: KKMED Publications; 2010. p. 1-25. 

  18. Rosenberg DE, Norman GJ, Wagner N, Patrick K, Calfas KJ, Sallis J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edentary Behavior Questionnaire (SBQ) for adults.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 Health. 2010;7(6):697-705. 

  19. Cho YW, Lee JH, Son HK, Lee SH, Shin C, Johns M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and Breathing. 2011;15:377-384. http://dx.doi.org/10.1007/s11325-010-0343-6 

  20. Yi, HR, Shin MK, Won JS. Sleep pattern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4):425-433. http://dx.doi.org/10.7739/jkafn.2012.19.4.425 

  21. Hong SH, Yeon JY, Bae YJ. Relationship among night eating and nutrient intakes status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013;23(3):297-310. 

  22. Food Management. Caffeine intake survey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cited 2012 Oct 11].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seq18764&mid675 

  2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Guidelines for proper alcohol consumption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cited 2013].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alcohol_safety/sub04/sub2.jsp?id4-2. 

  24. Lund HG, Reider BD, Whiting AB, Prichard JR. Sleep patterns and predictors of disturbed sleep in a large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2010;46(2):124-132. http://dx.doi.org/10.1016/j.jadohealth.2009.06.016. 

  25. Van Den Berg, JF, Van Rooij FJ, Vos H, Tulen JH, Hofman A, Miedema HM, et al. Disagreement between subjective and actigraphic measures of sleep duration in a population-based study of elderly persons. Journal of Sleep Research. 2008;17(3):295-302. doi: 10.1111/j.1365-2869.2008.00638.x. Epub 2008 Feb 27. 

  26. McCall WV, Turpin E, Reboussin D, Edinger JD, Haponik EF. Subjective estimates of sleep differ from polysomnographic measurements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Sleep. 1995;18:646-650. 

  27. Rosa RR, Bonnet MH. Reported chronic insomnia is independent of poor sleep as measured by electroencephalography. Psychosomatic Medicine. 2000;62(4):474-482. 

  28. Roehrs T, Roth T. Sleep, sleepiness, and alcohol use. Alcohol Research & Health. 2001;25(2):101-109. 

  29. Lee BI, Kim KM, Kim BM, Kim BM, Kim JE, Lee IH, et al. Caffeine contained beverage intake and sleep quality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4;27(1):31-38. 

  30. Kim JS, Lee SL, Om AS. Dietary behavior and food frequency of females in their twenties working shifts at coffee shops in seoul. Culinary Research. 2013;19(1):215-22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