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상환자의 수술 중 저체온 발생 빈도와 체온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cidence of Hypothermia and Factors Associated with Body Temperature Changes during Surgery in Burned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8 no.4, 2016년, pp.231 - 238  

배혜영 (한강성심병원) ,  김현정 (한림대학교 간호학부.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body temperature an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changes during surgery in burned patient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of 439 adult burned patients who had a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화상수술 환자의 체온유지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화상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시 체온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국내와 국외에서 수술이 이루어지는 의료 환경 뿐만 아니라 환자의 신체적 요인도 다를 것으로 여겨지므로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화상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중 체온변화를 확인하고, 체온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화상환자의 수술 중 저체온을 예방할 수 있는 간호중재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화상환자 439명을 대상으로 수술 중 체온변화와 이에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 화상환자의 저체온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화상환자는 정상범위에 있던 체온이 수술 중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 본 연구는 화상환자의 수술 중 체온 변화를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화상환자의 수술 중 체온변화와 이에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고 간호중재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화상환자의 수술 중 체온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적 연구로서, 이를 바탕으로 화상환자의 수술 시 체온저하를 줄일 수 있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무에 적용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화상환자는 가온요법을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술 중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온이 저하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수술 전 정상체온을 유지했던 환자들의 절반 정도에서 수술 후 저체온이 발생하였다.
  • 그러므로 이를 포함하여 화상환자의 수술 중 체온을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의 대단위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저체온 발생에 취약한 화상환자의 수술 중 체온변화를 확인하고 이들의 가온요법 지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온요법 종류에 따른 체온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시간흐름에 따른 체온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에서 가장 효과적인 가온요법은 수술실 온도설정, 가온가습요법, 물 순환담요를 병합한 그룹으로 보이나 이는 환자의 중증도와 예상수술시간에 따라 적용한 가온요법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일 지도 모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환자에게 저체온은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수술환자에게 있어서 저체온은 근 이완제의 작용시간을 지연, 강화시키며, 산 염기의 불균형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면역반응을 저하 시켜 수술 부위의 감염을 일으키고 출혈량을 증가시켜 수혈요구를 증대시킨다[6]. 또한 저체온은 수술후회 복을 지연 시켜 회복실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며, 결과적으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7].
인체의 특성은? 인체는 주위 환경 온도가 변화해도 심부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항온 동물의 특성을 갖고 있다[1]. 그러나 수술 환자는 수술 및 마취중 온도가 낮은 수술실에 노출되고 마취제에 의한 체온 조절의 억제가 동반되면서 저체온이 흔하게 발생된다[2].
수술 후 회복을 위해 수술 중 저체온 예방이 중요한 이유는? 수술환자에게 있어서 저체온은 근 이완제의 작용시간을 지연, 강화시키며, 산 염기의 불균형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면역반응을 저하 시켜 수술 부위의 감염을 일으키고 출혈량을 증가시켜 수혈요구를 증대시킨다[6]. 또한 저체온은 수술후회 복을 지연 시켜 회복실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며, 결과적으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7]. 그러므로 저체온 예방이 매우 중요하며 적극적인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ller RD, Eriksson LI, Fleisher LA, Wiener-Kronish JP, Young WL. Miller's anesthesia. 8th ed. Philadelphia: Elsevier; 2015. p.1622-1646. 

  2. Kim JS. Anesthesia and body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04;47(5):609-616. 

  3. Kwon MH, Byeon YS. Factors influencing body temperature in elderly surgic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Fundamental Nursing. 2013;20(2):108-117. 

  4. Cho EJ, Lee KS, Hong SJ. Comparison of core temperature changes during prolonged laparoscopic and open surger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07;52(2):150-155. 

  5. Poveda VB, Galvao C, Santos CB. Factors associated to the development of hypothermia in the intraoperative period. Revista Latino-Americana De Enfermagem. 2009;17(2):228-233. 

  6. Reynolds L, Beckmann J, Kurz A. Perioperative complications of hypothermia.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Anaesthesiology. 2008;22(4):645-657. 

  7. Kwak IS, Kim KM, Chang JD. Case reports: hypothermia during total hip arthroplasty with combined spinal-epidural anesthesia. Journal of The Korean Hip Society. 2009;21(2):189-192. 

  8. Kwak IS, Choi DY, Lee TH, Bae JY, Lim TW, Kim KM. The effect of heated breathing circuit on body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nesthetic gas in major burns.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13;64(1):6-11. doi: 10.4097/kjae.2013.64.1.6 

  9. Woodson L, Sherwood E, Arland A, Talon M, Kinsky M, Morvant E. Anesthesia for burned patients. Philadelphia: Elsevier; 2007. p.196-223. 

  10. Kang DH, Kang HS, Kho SH, Kwak SH, Kwak YR, Khu KH, et al.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3rd ed. Seoul: Ryo Moon Gak; 2014. p.67-80. 

  11. Pearce B, Christensen R, Voepel-Lewis T. Perioperative hypothermia in the pediatric population: prevalence, risk factors and outcomes. Journal of Anesthesia & Clinical Research. 2010;1(1):102. doi: 10.4172/2155-6148.1000102 

  12. Parodi D, Tobar C, Valderrama J, Sauthier E, Besomi J, Lopez J, et al. Hip arthroscopy and hypothermia. Arthroscopy. 2012;28(7):924-928. doi: 10.1016/j.arthro.2011.12.012 

  13. Jin F, Chung F. Minimizing perioperative adverse events in the elderly.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2001;87(4):608-624. 

  14. Kumar S, Wong PF, Melling AC, Leaper DJ. Effects of perioperative hypothermia and warming in surgical practice. International Wound Journal. 2005;2(3):193-204. doi: 10.1111/j.1742-4801.2005.00102.x 

  15. Kongsayreepong S, Chaibundit C, Chadpaibool J, Komoltri C, Suraseranivongse S, Suwannanonda P, et al. Predictor of core hypothermia and the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Anesthesia & Analgesia. 2003;96(3):826-833. 

  16. Corallo JP, King B, Pizano LR, Namias N, Schulman CI. Core warming of a burn patient during excision to prevent hypothermia. Burns. 2008;34(3):418-420. doi: 10.1016/j.burns.2007.08.012 

  17. Weaver MD, Rittenberger JC, Patterson PD, McEntire SJ, Corcos AC, Ziembicki JA, et al. Risk factors for hypothermia in EMS-treated burn patients. Prehospital Emergency Care. 2014;18(3):335-341. doi: 10.3109/10903127.2013.864354 

  18. Matsuzaki Y, Matsukawa T, Ohiki K, Yamamoto Y, Nakamura M, Oshibuchi T. Warming by resistive heating maintains peri-operative normothermia as well as forced air heating. British Journal of Anesthesia. 2003;90(5):689-691. 

  19. Jeon JI. Analysis of Researches on the Warming Therapy for Surgical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0;22(3):260-270. 

  20. Kang HJ, Lee SM, Kim GS. Effect of covering the head and face on intra-operative core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03;44(5):667-671. 

  21. Bae IL, Hur MH. The effects of intra-operative heated humidification on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and shivering of patients undergoing general anesthesi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1;17(2):192-203. 

  22. Berry D, Wick C, Magons P. A clinical evaluation of the cost and time effectiveness of the ASPAN Hypothermia Guideline.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008;23(1):24-35. doi: 10.1016/j.jopan.2007.09.010 

  23. Han HJ, Jeong SR, Lee JH, Choe GR, Cha N, J. The effect of warming intravenous fluids on body temperature change under a general anesthesia, shivering, and recovery. Journal of Anesthesia & Clinical Research. 2010;16(1):71-82. 

  24. Insler SR, Sessler DI. Perioperative thermoregulation and temperature monitoring. Anesthesiology Clinics. 2006;24(4):823-8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