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신마취하 개복술 환자의 수술중 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Intraoperative Body Temperature in Surgical Patients with Laparo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7 no.3, 2015년, pp.236 - 244  

이서현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  윤혜상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intraoperative core body temperature (CBT) of surgical patients under general anesthesia.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through a prospective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he sample consisted of 138 patients who had undergone e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셋째, 수술 중 저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구자에 따라 체지방률[8], 체중[3,19], 또는 체질량지수[18]로 결론을 내리고 있어 수술 중 저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계측요소가 일치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수술 중 저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서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및 체중 대 체표면적 비율 등의 신체계측요소 및 활력증후에 수술실 실내온도와 복강 내 세척 생리식염수를 추가하여 수술 중 저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수술 중 저체온 간호중재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체온은 무엇인가? 전신마취는 인체의 정상적인 체온조절기능을 억제하여 전신마취하의 수술환자에게 저체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1]. 저체온은 심부체온이 36°C 미만으로 저하되는 것으로[2,3] 전신마취하에 수술을 받는 환자의 60-70%에서 발생된다고 한다[2-5]. 전신마취 유도 후 첫 1시간 동안 1.
수술 및 마취관련 간호실무에서 체온 관련 간호중재는 수술 및 마취 관련 합병증의 예방인데 그것이 중요한 이유는? 저체온은 순환 혈중 카테콜라민을 증가시켜 말초혈관 수축, 빈맥 및 고혈압 등으로 심혈관계에 부담을 줄 수 있고[9], 혈액응고반응을 지연시켜 출혈 가능성을 높이며 면역기능의 저하로 창상회복을 지연시켜 수술부위감염의 위험성을 높이기도 한다[5,10,11]. 또한 수술 중 저체온은 수술 및 마취종료 후 저체온으로 이어지면서 마취로부터의 회복 과정 중 전율을 초래하고, 수술종료 후 잔여 마취제 및 근이완제의 배출지연으로 수술 후 회복을 지연시키기도 한다[2,4,12,13]. 특히 수술 및 마취종료 후의 전율은 인체의 산소 소모량을 5-6배까지증가시켜[6,14]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 관련 질환자에게 저산소증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수술 및 마취관련 간호실무에서 체온 관련 간호중재는 수술 및 마취 관련 합병증의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전신마취의 위험성은? 전신마취는 인체의 정상적인 체온조절기능을 억제하여 전신마취하의 수술환자에게 저체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1]. 저체온은 심부체온이 36°C 미만으로 저하되는 것으로[2,3] 전신마취하에 수술을 받는 환자의 60-70%에서 발생된다고 한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nhardt R. The effect of anesthesia on body temperature control. Frontiers in Bioscience. 2010;S2:1145-1154. 

  2. Kiekkas P, Poulopoulou M, Papahatzi A, Souleles P. Effects of hypothermia and shivering on standard PACU monitoring of patients. AANA Journal. 2005; 73(1):47-53. 

  3. Kongsayreepong S, Chaibundit C, Chadpaibool J, Komoltri C, Suraseranivongse S, Suwannanonda P, et al. Predictor of core hypothermia and the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Anesthesia and Analgesia. 2003;96(3):826-833. http://dx.doi.org/10.1213/01.ANE.0000048822.27698.28 

  4. Abelha FJ, Castro MA, Neves AM, Landeiro NM, Santos CC. Hypothermia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BMC Anesthesiology.2005;5:7. http://dx.doi.org/ 10.1186/1471-2253-5-7 

  5. Kurz A, Sesslser DI, Lenhardt R. Perioperative normothermia to reduce the incidence of surgical-wound infection and shorten hospitalizatio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6;334(19):1209-1215. 

  6. Kurz A, Sessler DI, Christensen R, Dechert M. Heat balance and distribution during the core-temperature plateau in anesthetized humans. Anesthesiology. 1995;83(3):491-499. 

  7. Matsukawa T, Sessler DI, Sessler AM, Schroeder M, Ozaki M, Kurz A, et al. Heat flow and distribution during induction of general anesthesia. Anesthesiology. 1995;82(3):662-673. 

  8. Yamakage M, Kamada Y, Honma Y, Tsujiguchi N, Namiki A. Predictive variables of hypothermia in the early phase of general anesthesia. Anesthesia and Analgesia. 2000;90(2):456-459. http://dx.doi.org/10.1213/00000539-200002000-00040 

  9. Kasai T, Hirose M, Yaegashi K, Matusukaroa T, Takamata A, Tonaka Y. Preoperative risk factors of intraoperative hypothermia in major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Anesthesia and Analgesia. 2002;95(5):1381-1383. http://dx.doi.org/10.1097/00000539-200211000-00051 

  10. Sarti A, Recanati D, Furlan S. Thermal regulation and intraoperative hypothermia. Minerva Anestesiologica. 2005;71(6):379-383. 

  11. Winkler M, Akca O, Birkenberg B, Hetz H, Scheck T, Arkilic CF, et al. Aggressive warming reduces blood loss during hip arthroplasty. Anesthesia and Anal gesia. 2000;91(4):978-984. 

  12. Connor EL, Wren KR. Detrimental effects of hypothermia: A systems analysis.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000;15(3):151-155. http://dx.doi.org/10.1053/jpan.2000.7508 

  13. Lenhardt R, Marker E, Goll V, Tschernich H, Kurz A, Sessler DI, et al. Mild intraoperative hypothermia prolongs postanesthetic recovery. Anesthesiology. 1997;87(6): 1318-1323. 

  14. Eberhart LHJ, Doderlein F, Eisenhardt G, Kranke P, Sessler DI, Torossian A, et al.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shivering. Anesthesia and Analgesia. 2005;101(6):1849-1857. 

  15. Frank SM, Beattie C, Christopherson R, Norris EJ, Rock P, Parker S, et al. Epidural versus general anesthesia, ambient operating room temperature and patients age as predictors of inadvertent hypothermia. Anesthesiology. 1992;77(2):252-257. 

  16. Ozaki M, Sessler DI, Suzuki H, Ozaki K, Tsunoda C, Atarashi K. Nitrous oxide decreases the threshold for vasoconstriction less than sevoflurane or isoflurane. Anesthesia and Analgesia. 1995;80(6):1212-1216. 

  17. Ayres U. Older people and hypothermia: The role of the anaesthetic nurse.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04;13(7):396-403. 

  18. de Brito Poveda V, Galvao CM, dos Santos CB. Factors associated to the development of hypothermia in the intraoperative period. Revista Latino-Americana de Enfermagem. 2009;17(2):228-233. 

  19. Kim EJ, Yoon H. Preoperative factors affecting the intraoperative core body temperature in abdominal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Clinical Nurse Specialist. 2014;28(5): 268-276. http://dx.doi.org/10.1097/NUR.0000000000000069 

  20. Macario A, Dexter F. What are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for a patient's developing intraoperative hypothermia? Anesthesia and Analgesia. 2002;94(1):215-220. http://dx.doi.org/10.1213/00000539-200201000-00042 

  21. Ozaki M, Sessler DI, Matsukawa T, Ozaki K, Atarashi K, Negishi C, et al. The threshold for thermoregulatory vasoconstriction during nitrous oxide/sevoflurane anesthesia is reduced in the elderly. Anesthesia and Analgesia. 1997;84(5):1029-1033. 

  22. Flores-Maldonado A, Guzman-Llanez Y, Castaneda-Zarate S, Pech-Colli J, Alvarez-Nemegyei J, Cervera-Saenz M, et al. Risk factors for mild intraoperative hypothermia. Archives of Medical Research. 1997;28(4):587-590. 

  23. Mills SJ, Holland DJ, Hardy AE. Operative field contamination by the sweating surgeon.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Surgery. 2000;70(12):837-839. 

  24.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The management of inadvertent perioperative hypothermia in adults [Internet]. Manchester: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08 [Cited 2014 Oct 5]. Avaliable from: http://www.nice.org.uk/guidance/cg65/resources/guidance-inadvertent-perioperative-hypothermia-pdf. 

  25. Moore SS, Green CR, Wang FL, Pandit SK, Hurd WW. The role of irrigation in the development of hypothermia during laparoscopic surger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97;176(3):598-602. 

  26. Park, H, Yoon, H.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intravenous fluid warming and skin surface warming on peri-operative body temperature and acid base balance of elderly patients with abdominal surge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 37(7):1061-1072. 

  27. Kurz A, Plattner O, Sessler DI, Huemer G, Redl G, Lackner F. The threshold for thermoregulatory vasoconstriction during nitrous oxide/isoflurane anesthesia is lower in elderly than in young patients. Anesthesiology. 1993;79(3):465-469. 

  28. El-Gamal N, El-Kassabany N, Frank SM, Amar R, Khabar HA, El-Rahmany HK, et al. Age-related thermoregulatory differences in a warm operating room environment (approximately $26^{\circ}C$ ). Anesthesia and Analgesia. 2000;90(3):694-698. http://dx.doi.org/10.1097/00000539-200003000-00034 

  29. De Mattia AL Barbosa MH, De Matia Rocha A, Farisas HL, Santos CA, Santos DM. Hypothermia in patients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Revista da Escola de Enfermagem da USP. 2012;46(1):60-66. 

  30. Tappen RM, Andre SP. Inadvertent hypothermia in elderly surgical patients. AORN Journal. 1996;63(3):639-6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