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상으로 입원한 여성 근로자의 화상유형 및 발생원인, 치료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Burn Types, Causes, and Treatment in Hospitalized Female Patients with Industrial Injuri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5 no.2, 2016년, pp.85 - 95  

김지나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강희선 (중앙대학교 적십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urn characteristics of female patients hospitalized in a burn center.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descriptive study. The subjects were 222 female patients aged over 19 years old having burn injuries from work sites between January 1, 2012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화상위험에">화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화상으로 입원한 산업재해 여성 근로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화상 발생의 예방대책 수립 및 화상 예방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산업재해 화상으로 입원한 여성 근로자의 3년간 전자 의무기록을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개 화상전문병원에 급성화상으로 입원한 여성근로자의 화상유형별 발생원인 및 화상 관련 특성을 파악하여 화상 발생의 예방대책 수립 및 화상 예방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일개 화상전문병원에 입원한 여성 산업재해 화상환자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화상으로 입원한 여성 근로자의 화상 관련 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화상 환자 발생 수는 해마다 어떻게 늘어나고 있는가? 우리나라 화상 환자 발생 수는 2011년 52만 6천명에서2014년 54만 5천명으로 해마다 늘어나고 있으며, 2014년 인구 천 명당 10.8명으로 화상 환자가 발생하였고 입원치료를 받은 자는 1만 9천여 명으로 전체 화상의 3.5%였다(Korea Burn Association [KBA], 2014). 호주와 뉴질랜드 연합 화상협회에서 17개 화상센터를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에 의하면 입원 화상 환자 수는 2014년 2,656명으로 2009년 2,103명에 비해 증가하는 추세이었다(Australia & New Zealand Burn Association, 2014).
화상이 여성 산업재해 발생의 주요한 원인중 하나로 보여지는 이유는? 미국 또한 경제활동 계층인 20~50세에 화상발생이 가장 높았고(ABA, 2014),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여성의 산업재해 발생 또한 증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5). 2013년 산업현장에서 안전사고로 인한 피해를 입은 여성 재해근로자 수는 2011년 17,808명(19.1%)에서 2013년 18,438명(20.1%)으로 증가하였으며,2013년 여성 근로자의 업무상 사고 유형을 보면 넘어짐으로 인한 재해가 40.8%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화상과 관련해서는 작업 도중 기계에 끼어서 발생하는 접촉화상, 이상 온도 접촉, 화학 물질 누출 접촉, 폭발파열 및 감전 등으로 인한 재해가 22.4%로 보고되었다(Korea Occupational Safety Health Agency [KOSHA], 2014). 이렇듯 화상은 여성 산업재해 발생의 주요한 원인이다.
호주와 뉴질랜드 연합 화상협회에서 17개 화상센터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화상 환자 수는 어떤 추세인가? 5%였다(Korea Burn Association [KBA], 2014). 호주와 뉴질랜드 연합 화상협회에서 17개 화상센터를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에 의하면 입원 화상 환자 수는 2014년 2,656명으로 2009년 2,103명에 비해 증가하는 추세이었다(Australia & New Zealand Burn Association, 2014). 타이완의 경우 100만 명을 대상으로 한 국가 코호트 자료에 의하면 2010년 총 7,630건의 화상 환자가 발생하였고, 이 중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merican Burn Association. (2014). National burn repository: report of data from 2004-2013. Version 10.0. Retrieved November 5, 2015, from http://www.ameriburn.org/2014NBRAnnualReport.pdf 

  2. Australia, & New Zealand Burn Association. (2014). Burns Registry of Australia and New Zealand annual report 1st July 2013 - 30th June 2014. Retrieved April 1, 2016, from http://anzba.org.au/the-bi-nbr/annual-reports/ 

  3. Chen, S. H., Chen, Y. J., Chen, T. J., & Ma, H. (2014). Epidemiology of burns in Taiwan: A nationwide report including inpatients and outpatients. Burns, 40(7), 1397-1405. 

  4. Choi, S. B. (2004). Industrial Safety Great Dictionary. Seoul: Gold. 

  5. Harats, M., Peleg, K., Givon, A., Kornhaber, R., Goder, M., Jaeger, M., et al. (2015). Burns in Israel, comparative study: Demographic, etiologic and clinical trends 1997-2003 vs. 2004-2010. Burns, S0305-4179(15)00167-9. 

  6. Health and Safety Executive. (2006). Slip assessment tool. Retrieved December 15, 2015, from http://www.hse.gov.uk/shatteredlives/index.htm 

  7. Jung, Y. H., Kim, S. K., Ahn, H. S., & Lee, M. Y. (2012). Scalding burns affected by instant ramen in children.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15(2), 87-91. 

  8. Kim, D. C., Lee, R., Kim, J. H., Lee, H. Y., Jung, D. J., Kim, T. Y., et al. (2015). Epidemiology of burns in Korea from 2010 to 2014.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18(1), 1-6. 

  9. Kim, S. K., Son, Y. H., Park, J. M., Jang, Y. H., & Lee, M. Y. (2011). Epidemiology in preschooler burn injuries in a single burn unit hospital for 3 Years.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14(2), 97-100. 

  10. Korea Burn Association. (2014). Burn patients statistics (2009-2013).Retrieved November 15, 2015, from http://www.koreaburn.or.kr/gbs/read.php?index_no291&keymemo&keyword화상환자통계자료&boardid18 

  11.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6).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Enforcement Date 1. January, 2016.]. Retrieved May 16, 2016, from http://www.law.go.kr/LSW/joStmdInfoP.do?lsiSeq154037&joNo0041&joBrNo00 

  12. Korea Occupational Safety Health Agency Chemicals Information. (2015). Chemical substance information. Retrieved November 15, 2015, from http://msds.kosha.or.kr/kcic/gboard/list.do?bbsIdBBSMSTR_000000000008 

  13. Korea Occupational Safety Health Agency. (2014).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in 2013. Retrived November 15, 2015, from http://www.kosha.or.kr/www/boardView.do?menuId554&contentId358515&boardTypeA2 

  14. Korean Surgical Society. (2011). Textbook of Surgery. Paju: Koonja Publishing Company. 

  15. Kwon, D. H., Ko, J. H., Hur, G. Y., Seo, D. K., Lee, J. W., Choi, J. K., et al. (2012). Contacts burns caused by electric pad.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15(2), 9-14. 

  16. Lee, S. K. (2013). Food service and lodging business safety for the field worker. Retrieved November 15, 2015, from http://www.kosha.or.kr/trList.do?medSeq33322&code-Seq1150160&medForm101&menuId-1150160101 

  17. Lim, J. C., Yoon, C. J., Moon, D. J., & Kim, K. S. (2004). Clinical analysis of scalding burns caused by water purifier or water dispenser.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7(2), 104-107. 

  1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3, August 6). Cafeteria safety and health check list and manual. Retrieved November 15, 2015, from http://www.moel.go.kr/local/yeosu/view.jsp?cate3&sec4&modeview&bbs_cd205&seq1375774480822 

  19. Moon, C. W., Ha, J. Y., Kim, H. C., Chang, Y. S., & Lee, D. R. (2005). A clinical investigation of electric arc burns - differences between arc and contact burns.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8(2), 142-164. 

  20. Mun, J. H., Lee, G. J., Jeon, J. H., Choi, J. S., Lee, J. Y., Jang, K. U., et al. (2010). Group education program on quality of life of burn rehabilitation patients.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13(2), 129-135. 

  21. Park, E. J. (2012). A study on the worker's compensation of women workers (2012-라-9). Seoul: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22. Park, S. H. (2015). Gender differences in burn injury among older adults admitted in a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23. Ryu, A. Y., Hur, G. Y., & Lee, D. R. (2009). A clinical observation of chemical burn.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12(2), 131-134. 

  24. Sierra-Zuniga, M. F., Castro-Delgado, O. E., Caicedo-Caicedo, J. C., Merchan-Galvis, A. M., & Delgado-Noguera, M. (2013). Epidemiological profile of minor and moderate burn victims at the university hospital San Jose, Popayan, Colombia, 2000-2010. Burns, 39(5), 1012-1017. 

  25. Sohn, S. Y. (2009). A study on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y job characteristics in Korean adult wome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1), 33-43. 

  26. Song, D. S., Kim, H. C., & Woo, G. W. (2009). A retrospective epidemiologic analysis of burn patients at Hanil hospital.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12(1), 21-37. 

  27. Song, S. E., Kim, H. C., Chang, Y. S., & Lee, D. L. (2007). Epidemiologic analysis of electric burns.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10(1), 1-12. 

  28. Statistics Korea. (2015). Generalization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etween the sexes. Retrieved November 15, 2015,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DA7012&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 

  29. Taghavi, M., Rasouli, M. R., Boddouhi, N., Zarei, M. R., Khaji, A., & Abdollahi, M. (2010). Epidemiology of outpatient burns in Tehran: an analysis of 4813 cases. Burns, 36(1), 109-113. 

  30. Wang, S. J., Kim, J. Y., Kwak, Y. H., & Kim, H. C. (2005). Burn incidence in Korea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8(2), 119-126. 

  31. Woo, G. W., Cho, Y. K., Song, D. S., Yu, K. T., Kim, H. C., & Moon, J. H. (2009). A retrospective epidemiologic analysis of elderly burn patients at Hanil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12(2), 105-109. 

  32. Yoon, C. J., Kim, S. G., & Moon, D. J. (2005). Contact burns caused by motorcycle exhaust pipes. Journal of Korean Burn Society, 8(2), 206-209. 

  33. Zayakova, Y., Vajarov, I., Stanev, A., Nenkova, N., & Hristov, H. (2014). Epidemiological analysis of burn patients in East Bulgaria. Burns, 40(4), 683-6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