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 결정요인에 대한 다층분석연구
Multilevel Analysis Study on Determinants of Career Commitment among Social Work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 2016년, pp.190 - 203  

전희정 (광주여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이동영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에서 체계적 경력과정이 개인과 조직 모두의 성공적 성과달성의 핵심적 요소라 인식함을 전제로,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차원적 수준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통계적 정확성에 기반 한 자료를 토대로 경력관리의 방향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46개 기관에 787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개인 및 조직특성 자료를 수집하고, 다층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조직효과를 감안한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경력몰입의 총 분산 중 기관특성에 의한 설명이 15.8%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이의 영향요인으로 개인수준에서는 프로티언 경력태도, 성장욕구, 인적 네트워크, 자기효능감이, 조직수준에서는 자격보상제도가 각각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에 조직효과를 감안한 개인요인들의 활성화로 성공적 경력몰입을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으로 조직 내 슈퍼비전의 체계화, 근로자지원프로그램의 적용, 전문적 경력개발의 인센티브제공, 학습조직으로의 전환 등 개인-기관 통합적 실천전략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the premise that a systematic career process wa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successful task performance both for individuals and the organization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this study set out to empirically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at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분석모형에서는 조직의 무선효과를 고려한 상황에서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조직요인을 분석하였다. 각 사회복지기관마다 조직의무선효과에 의해 경력몰입의 평균치가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여, 특정한 개인요인 및 조직요인이 경력몰입에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분석에 사용된 모형은 다음 <식 3>과 같다.
  •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본 연구는 성공적 직업과정의 여러 평가지표 중 경력몰입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고자 한다. 즉 전문적 휴먼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사에게 성공적 직업과정은 서비스의 질, 더 나아가 클라이언트의 서비스만족을 결정하는 핵심가치인 만큼 서비스 성패의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평가와 관리는 필수불가결한 부분인 것이다.
  • 본 분석모형에서는 조직의 무선효과를 고려한 상황에서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조직요인을 분석하였다. 각 사회복지기관마다 조직의무선효과에 의해 경력몰입의 평균치가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여, 특정한 개인요인 및 조직요인이 경력몰입에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보고자 한다.
  • 이 중에서 γ00, β1j ∼ β12j, γ01 ∼ γ03은 조건무선절편모형에서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에 대한 고정효과 부분(fixed part)이 되며, Uoj, Rij가 무선효과 부분(random part)이 된다. 본 분석에서는 조직의 무선효과를 고려한 상태에서 개인 및 조직수준의 변수들이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에 미치는 고정효과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표 4]와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성공적 전문성 발휘의 핵심적 과정이자 결과인 경력몰입(career commitment)1의 결정요인을 다차원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실증분석함으로써 체계적 경력관리 구현을 통한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권위인정을 공고히 하고, 전문가로서의 개인적 실천성과를 최대화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 본 장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에 대한 분석결과의 주요내용을 종합하여 요약하고, 이로부터 제언해 볼 수 있는 실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 본 절에서는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개인요인(개인수준의 요인)과 조직요인(조직수준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되, 분석모형에 포함할 주요변수들을 중심으로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 둘째,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의 전체분산 중 조직효과에 의해 설명되는 분산은 어느 정도인가? 이는 방법론상으로는 다층모형적용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임과 동시에 내용상으로는 경력연구에 있어서 조직특성변수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조직요인은 무엇인가? 이는 앞서 확인된 조직효과가 왜 나타나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설명변수는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성공적 경력관리의 일환으로서의 경력몰입촉진을 위한 실천전략수립의 단초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 즉 결정요인의 체계수준을 개인차원에 한정하지 않고, 개인이 속한 조직 차원까지 확대하여 함께 살펴봄으로써 이론적으로 사회체계이론과 사회교환이론의 환경적 맥락을 모형에 투입하여 실제적 현실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셋째, 이러한 이론적 구상의 모형최적화와 분석효율화를 위해 본 연구는 다층분석(multilevel analysis) 혹은 위계적 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의 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다층분석은 앞서 설명한 다차원적 수준의 주요요인을 모두 포함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단순 회귀분분석이 갖는 한계점으로서의 포함관계특성(nested problem)으로 인한 오류를 해결할 수 있어 분석의 체계성과 결과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어 강점을 갖는다 하겠다.
  • 이상에서 살펴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수준은 어떠한가? 이는 본 연구의 주된 관심대상과 특성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통해 타분야 직종과 비교되는 경력특성을 확인해보고자 함이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의 전체분산 중 조직효과에 의해 설명되는 분산은 어느 정도인가? 이는 방법론상으로는 다층모형적용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임과 동시에 내용상으로는 경력연구에 있어서 조직특성변수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 둘째,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의 전체분산 중 조직효과에 의해 설명되는 분산은 어느 정도인가? 이는 방법론상으로는 다층모형적용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임과 동시에 내용상으로는 경력연구에 있어서 조직특성변수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조직요인은 무엇인가? 이는 앞서 확인된 조직효과가 왜 나타나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설명변수는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성공적 경력관리의 일환으로서의 경력몰입촉진을 위한 실천전략수립의 단초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경력몰입은 동일한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이 기관으로부터 공통된 조직효과(shared effects)를 받으며, 이러한 조직효과에 의해 사회복지기관에 따라 경력몰입 수준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갖는다. 이를 검증하기 무조건무선 절편모형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들의 경력몰입에 대한 사회복지사 개인효과와 조직효과의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 사회복지사 개인의 오차는 평균 0, 표준편차 σ2인 정상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 여기서 Uoj는 소속 사회복지사에게만 미치는 각 사회복지기관의 고유효과, 즉 무선효과(random effect)이며 평균이 0이고 분산이 τ0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 즉 개인수준 모형에서는 개별 사회복지사의 경력몰입이 복지사가 근무하고 있는 기관의 평균적인 경력몰입 수준과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특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며, 사회복지사 개인의 오차는 평균 0, 분산 σ2인 정상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티언 경력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우선 개인요인관련,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환경변화에 따라 자유롭게 변화가 가능한 능력을 갖춘 경력을 의미한다. 프로티언 경력은 조직이 아닌 개인에 의해 관리되는 하나의 과정으로 교육, 훈련, 여러 직장에서의 근무경력, 직업 변경 등 경력과 관련된 개인의 종합적 경험들로 구성된다[9]. 프로티언 경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개인의 성공에 있어 성공의 지침과 척도를 제공하는 내적 가치인 가치지향성과 경력관리에 있어 실행과 학습요구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자기주도성을 가지고 있다.
경력몰입이란? 경력몰입은 자신의 경력목표에 애착을 가지고 일련의 경력과정에 동일시하며 능동적 지향성을 갖고 매진하는 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력몰입의 측정은 Blau(1985)의 연구에서 활동된 척도를 기초로 하였는데, 예컨대 “나는 현재의 직업만큼의 월급을 주는 다른 직업이 있으면 그 직업을 택할 것이다” 등을 포함하여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직 차원에서의 경력관리가 경력개발과 동일한 의미인 이유는? 다음으로 조직요인관련 내용을 살펴보면, 조직의 경력관리는 구성원들의 경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격려하며 그 과정에서 조직의 목표와 개인의 경력개발목표를 함께 달성해 나가는 데 필요한 노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조직지원의 대표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직 차원에서의 경력관리는 경력개발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기도 한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이기은, 경력몰입의 결정요인과 경력몰입이 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전문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2. 임범식, 탁진국, "경력몰입의 선행변인: 고용형태와 직무형태에 따른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15권, 제2호, pp.67-82, 2002. 

  3. S. M. Colarelli and R. C. Bishop, "Career commitment: Functions, correlates, and management," Group Organization Management, Vol.15, No.2, pp.158-176, 1990. 

  4. U. E. Gattiker and L. Larwood, "Predictors of managers' career mobility, success, and satisfaction," Human Relations, Vol.41, No.8, pp. pp.569-591, 1988. 

  5. G. L. Blau,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58, No.4, pp.277-288, 1985. 

  6. M. B. Arthur and D. M. Rousseau, The boundaryless career,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7. D. T. Hall, "Protean careers of the 21st century,"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10, No.4, pp.8-16, 1996. 

  8. M. E. Gist, C. Schwoerer, and B. Rosen, "Effects of alternative training methods o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in computer software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4, No.6, pp.884-891, 1989. 

  9. 이수광, 최우성, "호텔 종사원의 경력특성이 경력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35권, 제2호, pp.557-577, 2006, 

  10. 강철희, 정상원, "사회복지사 경력성공 인식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9권, 제3호, pp.63-93, 2007. 

  11. 김정원, "프로티언 경력태도, 무경계 경력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분석," 대한경영학회지, 제23권, 제4호, pp.1899-1915, 2000. 

  12. J. W. Lounsbury, S. H. Park, E. Sundstrom, J. M. Williamson, and A. E. Pemberton, "Personality, care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est of a directional model,"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12, No.4, pp.395-406, 2004. 

  13. D. T. Hall and J. E. Moss, "The new protean career contract: Helping organizations and employee adapt," Organizational Dynamics, Vol.40, pp.22-37, 1998. 

  14. E. A. Locke, K. McClear, and D. Knight, "Self-esteem and work,"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Organizational Psychology, Vol.11, pp.1-32, 1996. 

  15. S. E. Seibert, J. M. Crant, and M. L. Kraimer,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4, No.3, pp.416-427, 1999. 

  16. 서균석, 박동진, 김태형, 김부희, "개인과 조직의 경력관리가 경력만족, 경력전망 및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32권, 제6호, pp.1715-1739, 2003. 

  17. T. A. Judge and R. D. Bretz, "Political influence behavior and career success," Journal of Management, Vol.20, No.1, pp.43-65, 1994. 

  18. T. A. Judge, E. A. Locke, and C. C. Durham, "The dispositional causes of job satisfaction: A core evaluations approach,"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19, pp.151-188, 1997. 

  19. C. Cherniss, "Career commitment in human service professionals: A biographical study," Human Relations, Vol.44, No.2, pp.419-437, 1991. 

  20. P. J. Hass, "A comparison of training priorities of local government employee and their supervisor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Vol.20, No.2, pp.225-247, 1991. 

  21. 이동하, 탁진국, "주도성과 핵심자기평가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력계획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1권, 제1호, pp.83-103, 2008. 

  22. 이동영, 이정주,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조직효과분석: 한국장애인고용패널자료를 활용한 위계적 선형모형의 적용," 사회보장연구, 제23권, 제1호, pp.177-203, 2003. 

  23. 장은주, 박경규, "성별에 따른 개인특성 및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경력성공과의 관계," 경영학연구, 제34권, 제1호, pp.141-166, 2005. 

  24. R. W. Lent and G. Hackett, "Career self-efficacy: Empirical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30, No.3, pp.347-382, 1987. 

  25. M. J. Ginzberg and J. J. Baroudi, "Predictors for manager's career mobility, success and satisfaction," Human Relations, Vol.41, No.8, pp.569-591, 1988. 

  26. S. Aryee and K. Tan, "Antecedents and outcomes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0, No.3, pp.288-305, 1992. 

  27. S. J. Wayne, R. C. Liden, M. L. Kraimer, and I. K. Graf, "The role of human capital, motivation and supervisor sponsorship in predicting career succes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0, pp.577-595, 1999. 

  28. 강흥구,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2호, pp.355-375,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