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관리자의 수퍼리더십,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Nurses' Perception of Super-leadership,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2, 2016년, pp.148 - 157  

김인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간호학연구소) ,  원선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강선주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신선미 (중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level of super-leadership and self-leadership, identify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nd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linical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217 nurses working in four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상에서 수퍼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경영학이나 교육학 분야에서 기업 또는 학교조직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조직의 관리자의 수퍼리더십에 관한 연구와 조직 구성원들이 인지하는 수퍼리더십에 대한 연구한 것이 대부분으로 간호학 분야에서 수퍼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관리자의 수퍼리더십과 셀프리더십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의 3가지 전략은 어떤것들인가? 셀프리더십은 개인이 스스로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법에 대한 행동적,인지적 부분 모두를 포괄하는 보다 넓은 개념으로[2] 행위 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 패턴 전략으로 구성된다[5]. 첫째, 행위 중심적 전략은 관리자와 구성원들이 어렵고 내키지 않는 그러나 반드시 해야 하는 과업을 수행함에 있어 스스로를 리드 하도록 돕는 것으로 자기목표설정, 리허설, 자기관찰, 자기보상, 자기처벌, 단서관리 등이 있다. 둘째, 자연적 보상전략은 달성하고자 하는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 지각이나 경험에서 비롯되며 과업의 자기재설계와 작업환경여건의 재설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건설적 사고패턴전략은 자기 자신의 사고에 대한 의도적인 통제를 통해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자신을 이끌어가는 과정이며 자신과의 대화, 정신적 이미지, 신념과 가정에 대한 관리 등이 있다[6].
관리자가 셀프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단계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이처럼 수퍼리더십이 조직 전체를 관리하기 위한 리더십이기 위해서 각 관리자는 조직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을 강화시키는 절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관리자가 셀프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단계는 스스로 셀프리더가 되는 1단계, 셀프리더십의 모델이 되는 2단계, 스스로 목표를 정하도록 유도하는 3단계, 긍정적 사고유형을 창조하는 4단계, 보상과 건설적인 질책을 통한 셀프리더십을 개발하는 5단계, 팀워크를 통한 셀프리더십을 조장하는 6단계, 셀프리더십의 문화를 촉진시키는 7단계로 이루어진다[2]. 조직의 구성원들은 스스로 실행목표를 설정하고 자기 평가에 따라 적극적으로 아니면 소극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리더가 만족스러운 리더십 효과를 얻기 위해서 구성원들이 스스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파악해서 그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나가야 한다.
수퍼리더십의 본질적 목표는 무엇인가? 수퍼리더십은 조직의 구성원들이 셀프리더십 전략을 사용하여 책임감을 가지고 창의성을 발휘하는 것을 격려하고 이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2]. 수퍼리더십의 본질적 목표는 조직 내의 리더나 구성원 모두가 주인 정신을 가지고 자신의 업무에 최선을 다하는 셀프리더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8]. 이처럼 수퍼리더십이 조직 전체를 관리하기 위한 리더십이기 위해서 각 관리자는 조직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을 강화시키는 절차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Prussia GE, Anderson JS, & Manz CC.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98;19:523-538. http://dx.doi.org/10.2307/3100241 

  2. Manz CC, Sims HP Jr. Superleadership: Leading others to lead themselv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9. p. 55-70. 

  3. Manz CC, Sims HP Jr. Self-Management as a substitute for leadership.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80;5(3):361-367. 

  4. Pearce CL, Perry ML, Sims HP Jr. Shared leadership: Relationship management to improve nonprofit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Connors TD, editor. The Nonprofit handbook: Management. 3rd ed. New York: J. Wiley & Sons; 2001. p. 624-641. 

  5. Manz CC, Sims HP. The new superleadership: leading others to lead themselves. Kim NH, translator. Seoul: Kyungmoonsa; 2002. p. 127-205. 

  6. Manz CC. Developing self-leaders through superleadership. Supervisory Management. 1991;36(9):3. 

  7. Manz CC, Sims HP Jr.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1996;19:18-35. http://dx.doi.org/10.1016/0090-2616(91)90051-A 

  8. Maxwell JC. Developing the leaders around you workbook: how to help others reach their full potential. Nashville: T. Nelson; 2003. p 180. 

  9. Yang DM. The effect of superior's superleadership on subordinate's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s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5. 

  10. Wan KT, Dam HG, Soo CM. The structure relationship among super-leadership, self-leadership, creativity and innovative behavior: Focused on deluxe hotel employees in Jeju province.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012;24(4):119-138. 

  11. Kang KS, Park YJ. Principals' super-leadership, teachers' selfleadership,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8;26(3):181-209. 

  12. Lee KC. The effects of principals' super-leadership on teachers' cognitive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009;18(4):291-301. 

  13. Lee SD. The effect of superior's super-leadership on subordinate's self-leadership and individual learning: a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master's thesis]. Seoul: Kwangwoon University; 2007. 

  14. Kim KS, Kim KS, Noe HJ, Kim IS, Yang DM. The effects of superleadership on followers'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A test of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Korea Journal of Management. 2011;19(3):31-65. 

  15. Houghton JD, Neck CP.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02;17(8):672-691. http://dx.doi.org/10.1108/02683940210450484 

  16. Park KN, Park MK.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1):63-71. 

  17. Han YH, Park YR.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on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 462-469.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4.462 

  18. Young Hak K. How superior's super leadership affect employee's self leadership and job attitude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9. 

  19. Manz CC. Self-leadership; Toward and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86;11:585-600. http://dx.doi.org/10.5465/AMR.1986.4306232 

  20. Mowday RT, Steers RM, Porter LW.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79;14:223-247. http://dx.doi.org/10.1016/0001-8791(79)90072-1 

  21. Kim O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autonom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Soonchunhyang University. 1997;21(1):31-64. 

  22. Kim JY, Kim KS, Lee DM. The relationship among self leadership,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sychological capital of airline personnel. Journal of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2012;10(1):111-129. 

  23. Im YS, Lee MS, Ha SB. An empirical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self-leadership for the developing of subordinate's leadership.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10;12(3):141-167. 

  24. Lee YM.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ts related factor among medium hospitals of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11):4764-4769. 

  25. Kim HK, Jee HS, Ryu EK.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urnout by personalities of nurses in hospitals - Using Korean Enneagram Personality Type Indicators: KEPTI.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5;11(1):109-121. 

  26. Jeon HW. The effect of super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n hotel enterprise. Journal of Hotel & Resort. 2013;12(3):227-253. 

  27. Choi MC, Seo MK. The influences of transac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Mediated by psychological empowerment. Korean Review of Organizational Studies. 2012;9(1):77-111. 

  28. Shim JY. The effect of flight attendants' self-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Journal of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2014;12(4):125-143. 

  29. Lee KO, Shin JA, Han BH.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Korean Business Review. 2010;3(1): 73-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