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물 유해 반응에 대한 간호사의 모니터링 실천에 관한 연구
Nurses' Monitoring Practice for Adverse Drug Reaction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1, 2016년, pp.91 - 98  

김현진 (한양대학교병원 지역의약품안전센터) ,  이선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knowledge of adverse drug reactions (ADR), attitudes, and monitoring practices and to establish an effective ADR reporting system and provide baseline data for its activ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병원의 약물관리 시스템에서 환자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발적 약물유해반응 모니터링 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실천에 대한 약물유해반응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관련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병원현장에서 간호사의 자발적인 약물유해반응 모니터링 활성화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1년부터 지역의약품안전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약물유해반응에 대한 모니터링 실천 정도와 관련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투약수행 역량, 약물교육만족도와 약물유해반응 태도가 모니터링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자발적 유해약물반응 보고의 활성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병동 간호사의 약물유해반응에 관한 모니터링 실천과 관련된 변수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의약품안전센터가 운영 중인 일개 병원에 근무하는 병동 간호사의 약물유해반응에 대한 지식, 태도 및 모니터링 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약과정이란 무엇인가? 흔히 발생되는 약물의 부작용은 시판 전 임상시험에서 걸러질 수 있으나 드물게 발생하는 부작용의 경우에는 시판 후 많은 환자에서 처방되고 나서 확인 할 수 있는 만큼 의료인의 자발적인 약물 부작용 보고는 신약이 시판된 후 약물감시체계의 핵심으로 매우 중요하다[8]. 투약과정은 의사의 처방, 약사의 조제 및 간호사의 투약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으로[9] 약물 유해반응 보고와 관련된 병원 내 보건의료 인력도 의사, 약사, 간호사가 주가 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간호사는 환자에게 나타난 약물유해반응을 바로 곁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므로 병원 내 약물유해반응 모니터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9], 간호사들의 약물유해반응 모니터링을 촉진하는 것은 환자 안전뿐 아니라 국민의 건강보호를 위해서도 매우 필요한 부분으로 판단된다[10].
약물유해반응은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가? 약물유해반응(Adverse Drug Reactions, ADR)은 약물치료로부터 발생하는 위험하거나 불쾌한 반응으로 미래의 투약 위험이나 예방의 근거, 약물변경 또는 생산철회 등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1]. 또한 환자의 사망률과 유병율의 주요한 원인으로 환자와 가족들에게 정신적 ‧ 육체적 ‧ 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며[2,3], 나아가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4]. 우리나라의 약물 유해반응 사례 보고건수는 2002년 148건이었던 것이 2009년 약 26,827건으로 급속하게 증가하여 2011년에는 66,395건으로 파악되고 있다.
약물유해반응이란 무엇인가? 약물유해반응(Adverse Drug Reactions, ADR)은 약물치료로부터 발생하는 위험하거나 불쾌한 반응으로 미래의 투약 위험이나 예방의 근거, 약물변경 또는 생산철회 등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1]. 또한 환자의 사망률과 유병율의 주요한 원인으로 환자와 가족들에게 정신적 ‧ 육체적 ‧ 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며[2,3], 나아가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Edwards IR, Aronson JK. Adverse drug reactions: Definitions, diagnosis, and manage-ment. Lancet. 2000;356(9237):1255-1259. http://dx.doi.org/10.1016/S0140-6736(00)02799-9 

  2. Davies EC, Green CF, Taylor S, Williamson PR, Mottram DR, Pirmohamed M. Adverse drug reactions in hospital in-patients: a prospective analysis of 3695patient-episodes. PLoS One 2009;4(2):e4439.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04439 

  3. Emst FR, Grizzle AJ. Drug-related morbidity and mortality: Updating the cost-of-illness model. Journal of the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2001;41(2):192-199. 

  4. Kyung EJ, Rew JH, Oh MN, Kim EY. A survey on attitude and awareness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regarding pharmacovigilance system and experience for adverse drug reaction (ADR) from a single university hospital. Korea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2013;23(4):256-268.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10494 

  5. Choi DW, Choi MS, Ko AR. Current status of pharmaceutical safety management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2;55(9):827-834. http://dx.doi.org/10.5124/jkma.2012.55.9.827 

  6.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harmacovigilance research network.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for pharmacovigilance research network regional pharmacovigilance centers. Seoul: Pharmacovigilance Research Network; 2011. 

  7.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Introduction of RPVC [Internet]. [cited 2015 February 25]. Available from: https://www.drugsafe.or.kr/iwt/ds/en/community/EgovIntr oductionPvCenter.do 

  8. Park BJ, Drug utilization review. Journal of Pharmacoepidemiology and Risk Management. 2008;1:13-19. 

  9. Kim MY. Nurses' monitoring of adverse drug reactions: Focusing on awareness of, attitude toward and knowledge about adverse drug reaction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10. De Angelis A, Colaceci S, Giussti A, Vellone E, Alvaro R. Factors that condition the spontaneous reporting of adverse drug reactions among nurses: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5; May 14. http://dx.doi.org/10.1111/jonm.12310. 

  11. Sacilotto K, Bagheri H, Lapeyre-Mestre M, Montastruc JL, Montastruc P. Adverse drug effect notifications by nurses and comparison with cases reported by physicians. Therapie. 1995;50(5):455-458. 

  12. Valente S, Murray L, Fisher D. Nurses improve medication safety with medication allergy and adverse drug report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7;22:322-327. http://dx.doi.org/10.1097/01.NCQ.0000290413.04522.0b 

  13. Ulfvarson J, Mejyr S, Bergman U. Nurses are increasingly involved in pharmacovigilance in Sweden. Pharmacoepidemiol Drug Safety. 2007;16:532-537. http://dx.doi.org/10.1002/pds.1336 

  14. Ko MS. The status of drug side effects and ADR monitoring practice activation. Journal of Korea Contents. 2012;10(2):12-16. 

  15. Lepakhin VK. Safety of medicines: A guide to detecting and reporting adverse drug reactions: Why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take ac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16. Kim HK. Adverse drug reaction monitoring and report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Hospital Pharmacists. 2004;21(4):357-370. 

  17. Lee YE. Medication activity frequency, perceived competency and educational needs among nurse and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 2012. 

  18. Jung SY, Kim YH, Kang IS, Son HM. The perception of nurses and physicians regarding medication errors and reporting. Global Health & Nursing. 2013;3(2):54-63. 

  19. Mendes D, Alves C, Batel Marques F. Nurses' spontaneous reporting of adverse drug reactions: expert review of routine repor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4;22(3):322-330. http://dx.doi.org/10.1111/jonm.12003. 

  20. Gabe ME, Davies GA, Murphy F, Davies M, Johnstone L, Jordan SUE. Adverse drug reactions: treatment burdens and nurseled medication monitoring.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1;19(3):377-392.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1.01204.x 

  21. Santosh KC, Tragulpiankit P, Edwards IR, Gorsanan S. Knowledge about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ing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in Nepal. Internal Journal of Risk Safety Medicine. 2013;25(1):1-16. http://dx.doi.org/10.3233/JRS-120578. 

  22. Figueiras A, Herdeiro MT, Polonia J, Gestal-Otero JJ. A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mprove physician reporting of adverse drug reactions: A cluster-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6;296(9):1086-1093. http://dx.doi.org/10.1001/jama.296.9.1086 

  23. Cosentino M, Leoni O, Oria C, Michielotto D, Massimo E, Lecchini S, et al. Hospital -based survey of doctors' attitudes to adverse drug reactions and perception of drug-related riskfor adverse reaction occurrence. Pharmacoepidemiology and Drug Safety 1999;8 Suppl 1:S27-35. http://dx.doi.org/10.1002/(sici)1099-1557(199904)8:1+ 3.0.co;2-q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