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시험 대상자가 지각한 임상연구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서비스 만족도
The Communication Styles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of Clinical Research Nurses Perceived by Clinical Subjec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2 no.4, 2016년, pp.559 - 566  

서미선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박영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styles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of clinical research nurses perceived by clinical subjec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after receiving consents from 200 clinical trial subjects. The data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임상연구 간호사의 의사소통 관련 연구는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아직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시험 대상자가 지각한 임상연구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확인하여 임상연구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임상시험 대상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를 높여 임상시험의 질적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시험에 관련된 전문 인력 중 임상연구 간호사가 중요한 이유는? 이러한 임상시험에 관련된 전문 인력 중 임상연구 간호사(Clinical Research Nurse, CRN)는 임상시험 과정에서 대상자와 가장 많은 시간을 상호작용 하고 있어 그 역할과 자격이 중요하다(Jeong, Kang, & Kim, 2007). 이들은 연구 진행, 대상자들의 관리 및 조정, 연구 데이터 수집, 임상 간호 제공 및 대상자 보호 등의 역할이 있는데 병원 뿐 아니라 지역 사회에서 활동하는 대상자와 지속적으로 의사소통하며 순응도 및 안전성에 대해 모니터링 한다(Hastings, Fisher, & McCabe, 2012).
임상시험이란? 최근 임상시험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지원으로 2005년 185건에 불과하던 식약처 임상시험 승인 건수는 2014년 기준 652건으로 약 3배 이상 증가하며 꾸준히 성장세를 이루고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5). 임상시험이란 의약품 등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증명하기 위해 사람을 대상으로 해당 약물의 약동 약력 약리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고 이상반응을 조사하는 것이다(MFDS, 2008).
임상연구 간호사의 효과적의사소통 능력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근거는? 이러한 임상시험에 관련된 전문 인력 중 임상연구 간호사(Clinical Research Nurse, CRN)는 임상시험 과정에서 대상자와 가장 많은 시간을 상호작용 하고 있어 그 역할과 자격이 중요하다(Jeong, Kang, & Kim, 2007). 이들은 연구 진행, 대상자들의 관리 및 조정, 연구 데이터 수집, 임상 간호 제공 및 대상자 보호 등의 역할이 있는데 병원 뿐 아니라 지역 사회에서 활동하는 대상자와 지속적으로 의사소통하며 순응도 및 안전성에 대해 모니터링 한다(Hastings, Fisher, & McCabe, 2012). 이처럼 임상시험 대상자에게 임상시험 지식과 간호 기술을 통합한 돌봄을 제공하는데 임상연구 간호사의 효과적의사소통 능력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o, S. J. (2010). The role of clinical research nurses at regional clinical trials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3), 348-359. 

  2. Gholami, H. R., Sarhangi, F., Nouri, J. M., & Javadi, M. (2015). Nurses' communication skills in military hospitals.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Sciences, 2(1), 40-45. 

  3. Hastings, C. E., Fisher, C. A., & McCabe, M. A. (2012). Clinical research nursing: A critical resource in the national research enterprise. Nursing Outlook, 60(3), 149-156. 

  4. Jeong, I. S., Kang, H. S., & Kim, W. O. (2007). Clinical research nurses: Roles and qualifications in South Korea. Drug Information Journal, 41(2), 251-256. 

  5. Jeong, S. Y. (2013). Satisfaction of patients by nurse's communication style. Medical Communication, 8(1), 35-44. 

  6. Jung, H. J., Park, J. E., Kim, A. R., Liu, Y., Lee, M. H., Kim, J. E., et al. (2013). A survey 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subjects in acupuncture & moxibustion clinical trial.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30(3), 109-115. 

  7. Kim, H. Y. (2013). Experience of patients with cancer participating in a clinical trial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drug. Asian Oncology Nursing, 6(2), 121-132. 

  8. Kim, D. H. (2006). Medical communication: Three function approach. Medical Communication, 1(1), 1-6. 

  9. Kim, S. H. (2013). Nurses' communication, trust in nurses, and satisfaction of nursing service perceived by in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 Kim, S. W., Kim, G. H., & Jang, Y. H.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service quality trust, value and satisfaction in medical service. Korean Strategic Marketing Association, 17(1), 115-140. 

  11. Kim, S. W. (2007).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ealthcare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customer loyalty. Korean Consumption Culture Association, 10(2), 109-130. 

  12. Lee, H. K., Yang, Y. H., Koo, M. O., & Eun, Y. (2009). Nursing research. Seoul: Hyunmoonsa.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Number of approved clinical tests for drugs by year. Retrieved September 9, 2016, from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Web site: http://www.mfds.go.kr/stat/index.jsp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Korea good clinical practice. Retrieved September 9, 2016, from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Web site: http://www.mfds.go.kr/stat/index.jsp 

  15. Park, H. M., & Lee, H. S. (2011). A study of communication styl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hospital nurs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8(2), 105-112. 

  16. Pehrson, C., Banerjee, S. C., Manna, R., Johnson S., M., Hammonds, S., Coyle, N., et al. (2016). Responding empathically to patients: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module for oncology nurs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99(4), 610-616. 

  17. Shin, H. H. (2011). The impact of doctors' communication styles on patient's self-disclosur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4(1), 179-198. 

  18. Seo, P. S. (2002). The impact of doctors' communication styles on patient satisfaction. Korean Society of Hospital Management, 7(4), 57-101. 

  19. Severinsson, E. I., & Lutzen, K. I. (1999). Time- and task-oriented communication in the psychosocial care of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8, 143-152. 

  20. Yun, E. H., Kim, J. S., & Jeong, I. S. (2014). Understanding of informed consent and decisional regret among participants in cardiology clinical trials.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17(3), 237-2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