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NS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요인이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vacy Factors on the Provision Inten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from the SNS Us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2, 2016년, pp.1 - 12  

민현홍 (숭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황기현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SNS의 확산으로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면서 남녀노소 누구든지 개인정보 유출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프라이버시 연구와는 달리 SNS 이용자의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프라이버시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요인과 기업에 대한 신뢰요인이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실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직접적으로 해킹 등 프라이버시 유출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위험을 인지하면서도 개인정보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 변수 중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프라이버시 정책, 프라이버시 염려, 개인정보 유출경험, 프라이버시 인식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에 대한 신뢰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프라이버시 정책, 프라이버시 인식, 프라이버시 염려, 개인정보 침해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과 기업에 대한 신뢰는 모두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으며, 이를 토대로 개인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with the popularity of smart phones and the proliferation of SNS, anyone is exposed to the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Unlike the prior studies of privacy,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privacy factors affecting the provision inten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from the SNS U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거나 해결하기 위해서 개인 또는 기업에게 몇 가지 실무적 시사점 및 전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에 관련된 투명성 및 기업에 대한 신뢰를 제고할 수 있도록 개인이 기업에 회원으로 가입하거나 정보를 제공할 때, 기업은 개인정보의 수집, 처리, 사용은 물론이고 기업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고객들에게 보다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도록 의무화하는 동시에 이들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정부는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와 개인정보 침해 경험, 프라이버시에 대한 사회적인 이슈, 기업의 프라이버시 정책 요인이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 요인과 기업에 대한 신뢰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프라이버시 위험 요인이 기업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 더 나아가 위험 요인과 신뢰 요인이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행해지는 활동에서의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지 서비스를 통해 2016년 4월 9일부터 2016년 8월 23일까지 직접 조사하여 총 492부를 회수하였다.
  •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와 개인정보 침해 경험, 프라이버시에 대한 사회적인 이슈, 기업의 프라이버시 정책 요인이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 요인과 기업에 대한 신뢰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프라이버시 위험 요인이 기업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 더 나아가 위험 요인과 신뢰 요인이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SNS사회와 위험정보사회 속에서 발생되는 기업의 개인정보 유출 문제에 초점을 두었다. 사용자가 SNS상에서 제공한 개인정보에 대해 우려하는 정도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이전에 개인정보와 관련하여 좋지 않은 경험을 뜻하는 개인정보 침해경험, 매스미디어에 노출되는 개인정보에 관한 이슈에 대한 인식 정도를 뜻하는 프라이버시 인식, 기업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의 고시를 뜻하는 프라이버시 정책 요인을 독립변수로 채택했고 사용자가 느끼는 잠재적인 손실 정도를 의미하는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제공한 기업에 대해 느끼는 신뢰의 정도를 의미하는 기업에 대한 신뢰 요인을 매개변수로 채택했다.
  • 이처럼 개인의 SNS 사용과 스마트기기의 보급화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문제가 나날이 증가되고 있어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으며 빅데이터 기술과 SNS가 접목된 5년도 채 되지 않은 이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고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해가 지날수록 늘어나는 위험정보 사회 속에서 SNS 사용자들이 프라이버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하여 함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 요인을 설정하여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 이전의 경험, 인식, 정책과 같은 요인들이 기업에 대해 어떤 신뢰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더 나아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조사에 따르면 2014년 기준 118신고센터의 상담 접수, SNS 불법정보 심의 현황 등이 해마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개인의 SNS 사용과 스마트기기의 보급화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문제가 나날이 증가되고 있어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으며 빅데이터 기술과 SNS가 접목된 5년도 채 되지 않은 이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고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해가 지날수록 늘어나는 위험정보 사회 속에서 SNS 사용자들이 프라이버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하여 함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 요인을 설정하여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 이전의 경험, 인식, 정책과 같은 요인들이 기업에 대해 어떤 신뢰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더 나아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H1-1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프라이버시 인식은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프라이버시 정책은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기업에 대한 신뢰 요인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3 프라이버시 인식은 기업에 대한 신뢰 요인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4 프라이버시 정책은 기업에 대한 신뢰 요인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은 기업에 대한 신뢰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기업에 대한 신뢰는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아울러 독립변수 요인이 기업에 대한 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가설 H2의 네 가지 독립변수 채택 경로를 자세히 알아본다. 첫째, 프라이버시 염려 요인이 신뢰 요인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프라이버시에 대한 염려와 이전에 겪은 좋지 않은 개인정보 침해경험, 사회적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한 개인의 인식, 기업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 네 가지 독립변수들이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가설 H1의 분석결과를 자세하게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녀노소 누구든지 개인정보 유출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이유는? 오늘날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SNS의 확산으로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면서 남녀노소 누구든지 개인정보 유출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프라이버시 연구와는 달리 SNS 이용자의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프라이버시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정보기술의 발전과 네트워크의 확산은 사이버공간에서 어떤 환경을 제공해주고 있는가? 정보기술의 발전과 네트워크의 확산은 사이버공간에서 정보와 지식, 개인의 경험, 생각 등을 자유롭게 공유하고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SNS(Social Network Servic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이용자들이 다양한 종류의 정보와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공유하고 상호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잘 알려져 있다.
소비자들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나 염려가 나날이 커지고 있는 이유는 어떤 사건들 때문인가? SNS 이용이 활성화 되고 이용자 수가 급증하는 이면에는 개인정보 유출과 프라이버시 침해라는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1]. 국내에서는 몇 해 전부터 더욱이 대규모 웹사이트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고객정보가 해킹 당하는 사건이나 최근에는 통신사를 비롯하여 은행 및 카드사와 같은 금융업계까지 대형 개인정보 유출 및 사생활 침해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2]. 이러한 사건들이 거듭 발생함으로 인해 대형 기업이나 금융기관에서 조차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나 정책이 미흡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된 소비자들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나 염려가 나날이 커지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un-Young Go, Keun-Ho Lee, "SNS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in M2M environment threats and countermeasur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1, pp. 29-34, 2014. 

  2. Gyoo-Soo Chae, "A Design of a circularly polarized small UHF RFID antenn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1, pp. 109-114, 2015. 

  3. Kim, J. K., and Kim., S. H., "The Effect of Relationships between Justice and Privacy Calculus on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 14, No. 1, pp. 45-67, 2014. 

  4. Yim, M. S.,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Website Retention and Privacy Unconcern After the Disclosure of Privacy Inform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 pp. 107-119, 2013. 

  5. Min, H. H., Park, S. B., Jung, J. S., and Han, K. S., "The Factors Affecting Provision Intention of Individual Information in the Big Data Era",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 16, No. 1, pp. 95-117, 2016. 

  6. Kim, B. C., "A Study on Utilization of Big Data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2, pp. 87-92, 2014. 

  7. Hwang, J. S., "Big Data, how to balance privacy and social valu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1, pp. 143-153, 2013. 

  8. Park, C. W., and Kim, J. W., "An Empirical Research on Information Privacy and Trust Model in the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4, pp. 219-225, 2015. 

  9. Cespedes, F. V., and Smith, H. J. "Database marketing: New rules for policy and practice." Sloan Management Review, 34(4), 7, 1993. 

  10. Fusilier, M. R., and Hoyer, W. D., "Variables affecting perceptions of invasion of privacy in a personnel selection situ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5, No5, 623, 1980. 

  11. Park, C. W., and Kim, J. W., "An Empirical Research on Information Privacy Concern in the IoT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2, pp. 65-72, 2016. 

  12. Bansal, G., Zahedi, F., and Gefen, D., "The Impact of Personal Dispositions on Information Sensitivity, Privacy Concern and Trust in Disclosing Health Information Online", Decision Support Systems, Vol. 49, No. 2, pp. 138-150, 2010. 

  13. Knijnenburg, B. P., Kobsa, A. and Jin H., "Dimensionality of Information Disclosure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Studies, Vol. 71, No. 12, pp. 1144-1162, 2013. 

  14. Schement, J. R. and Curtis, T., "Jendencies and Tensions of the Information Age",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in the United States, 1995. 

  15. Dinev, T. and Hart, P., "An Extended Privacy Calculus Model for E-Commerce Transaction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7, No. 1, pp. 61-80, 2006. 

  16. Smith, H. J., Dinev, T., and Xu, H., "Information Privacy Research : An Interdisciplinary Review", MIS Quarterly, Vol. 35, No. 4, pp. 989-1015, 2011. 

  17. Wu, K. W., Huang, S. Y., Yen, D. C., and Popova. I., "The Effect of Online Privacy Policy on Consumer Privacy Concern and Trus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8, pp. 889-897, 2012. 

  18. Milne, G. R., and Boza, M. E., "Trust and Concern in Consumers' Perceptions of Marketing Information Management Practice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 13, No. 1, pp. 5-24, 1999. 

  19. Duan, L. N., Jung, C. H., and Park, K. H.,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Affecting Perceived Valu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3, pp. 13-21, 2012. 

  20. Lee, D. M., and Jang, S. H., "Effect of Privacy Concerns on Protection Behaviors of Location-Based Services and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veness",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 14, No. 4, pp. 1-22, 2014. 

  21. Malhotra, N. K., Kim, S. S., and Agarwal, J., "Internet User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IUIPC): The Construct, the Scale, and a Causal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5, No. 4, pp. 336-355, 2004. 

  22. Featherman, M. S., and Pavlou, P. A., "Predicting E-Services Adoption: A Perceived Risk Facet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 59, No. 4, pp. 451-474, 2003. 

  23. Liao, C., Liu, C. C., and Chen, K., "Examining the Impact of Privacy, Trust and Risk Perceptions beyond Monetary Transactions: An Integrated Model",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10, pp. 702-715, 2011. 

  24. Schoenbachler, D. D. and Gordon, G. L., "Trust and Customer Willingness to Provide Information in Database-Driven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 16, No. 3, 2002, pp. 2-16. 

  25. Hoffman, D. L., Novak, T. P., and Peralta, M., "Building Consumer Trust Online,"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2, No. 4, 1999, pp. 80-85. 

  26. Xu, H., Dinev, T., Smith, J., & Hart, P.,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Linking Individual Perceptions with Institutional Privacy Assurance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 12, No. 12, pp. 798-824, 2011. 

  27. Xu, H., Dinev, T., Smith, H. J., Hart, P., "Examining The Formation of Individual's Privacy Concerns: Toward an Integrative View", Twenty Ni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Paris, pp. 1-16, 2008. 

  28. Pavlou, P. A., Liang, H. and Xue, Y., "Understanding and Mitigating Uncertainty in Online Exchange Relationships: A Principal-Agent Perspective", MIS Quarterly, Vol. 31, No. 1, pp. 105-136, 2007. 

  29. Dinev, T., Bellotto, M., Hart, P., Russo, V., Serra, I., and Colautti, C., "Privacy Calculus Model in E-Commerce -A Study of Italy and the United States",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15, pp. 389-402, 2006. 

  30. Park, C. S., "Metering Scheme for Client Privacy Prote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5, pp. 291-298,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