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Effect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in Female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2, 2016년, pp.335 - 344  

이선영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이정숙 (중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대생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5년 11월부터 12월까지 여대생 249명으로부터 자기기입식 설문을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일반적 특성과 관련한 우울의 차이는 학년(F=7.03, p<.001), 건강상태(F=15.19, p<.001), 전공만족(F=18.02, p<.001), 동아리(t=1.98, p=.049)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대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beta}=.45$, p<.001), 자아존중감(${\beta}=-.34$, p<.001), 사회적 지지(${\beta}=-.14$, p=.004), 전공만족(${\beta}=-.11$, p=.018) 순이었다. 우울을 낮추기 위해 스트레스에 대처하도록 하고 자아존중감이나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여대생들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in female student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49 females students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5. The study instruments comprised stress, social support, self-este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대생들은 미래에 가정에서 중요한 건강관리자의 역할을 맡게 될 것이므로 이들의 건강문제는 더욱 중요시되어야 하며[16] 여대생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연구는 의미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들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우울을 예방하고 조기에 개입하며 그들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과 불안이 악화되면 어떠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대학생의 스트레스는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어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성장해가면서 스트레스 요인이 확대되고 이로 인해 정신건강이 더 악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정신건강을 대표하는 우울과 불안이 악화 되면, 긍정적 사고 대신 부정적 사고가 형성되어 대학생활 적응에 문제가 발생되고, 이것은 취업 및 사회생활에 까지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6,7]. 정신건강을 유지 하기 위해 유발요인이 되는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고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는 것은 변화된 환경에 적응 시켜 사회의 건강한 일원이 되도록 하므로 매우 중요하다[8].
사회적 지지란 무엇인가?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타인에게서 얻을 수 있는 도움으로 긍정적 자원을 의미한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를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며[13], 사회적 지지가 높은 대학생들은 지지 자원을 많이 가지고 있어 학교생활에서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할수 있고, 스스로와 환경에 대한 통제가 가능하여 더 많은 행복감을 느끼며 건강하게 대학생활을 할 수 있다[7].
대학생들은 무엇에 의하여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그 스트레스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대학생들은 성장 발달단계에서 성인 초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고등학교 때까지 부모의 보호 아래에서 수동적인 생활을 하다가 대학생이 되면서 자율성이 증가하고 정서적으로 독립해야 하는 과업을 맞게 된다. 확대된 대인관계, 학업, 장래에 대한 걱정 등 달라진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필연적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고, 이것은 우울이나 불안 등 정신건강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2,3,4]. 대학 시기에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단순히 학업이나 진로에 대한 하나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라기보다 정서적․심리적․사회적인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융복합적으로 연결되어 부정적 영향을 준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National health statistics 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p. 30-106, 2015. 

  2. Suk-Hwa, Kang,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e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Ph.D. dissertation, p.4-97, Cheongju University, 2012. 

  3. S. K. Cho, Y. S. Choi, "Effects of Stress and Coping Style on Depression and Anxiety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 22, No. 1, pp. 53-74, 2014. 

  4. D. Said, K. Kypri, J. Bowman. "Risk factors for mental disorder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Australia: findings from a web-based cross-sectional survey." Social Psychiatry Psychiatric Epidemiol, Vol. 48, pp. 935-944, 2012. 

  5. Y. H. Kim, M. S. Yang, H. R. Park, " A Study on a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1, pp. 291-301, 2015.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11.291 

  6. Y. U. Lee, N. J. Kim, "An Structural Analysis of the Effect of Life Stress and Eating Disorders on the Mental Health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6, No. 4, pp. 81-101, 2014. 

  7. S. J. Han, S. H. Lee,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Convergence Leisure Sports Activit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8, pp. 515-523, 2015.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08.515 

  8. H. Y. Jung, J. O. Kwon, "A Study on the Stress, Self-Esteem, and Mental-Health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7, No. 4, pp. 191-204, 2013. 

  9. P. A. Bovier, E. Chamot, T. V. Pernegerl, "Perceived stress, internal resources, and social support as determinants of mental health among young adults." Quality of Life Research, Vol. 13, pp. 161-170, 2004. 

  10. J. Ciarrochi, F. P. Deane, S. Anderson, "Emotional intelligence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 32, pp. 197-209, 2002. 

  11. S. J. Gong, E. H. Lee, "Mediation effect of coping between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11, No. 1, pp. 21-40, 2006. 

  12. K. S. Lee, C. K. Koh, J. H. Kim, H. M. Son, M. R. Song, S. J. Yu, K. S. Cho,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Vol. 20 No. 2, pp. 112-121, 2013. 

  13. M. H. So,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tress and Mental Health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ol. 16, No. 1, pp. 15-25, 2015. 

  14. K. H. Park, "Development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stimate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8, No. 6, pp. 779-788, 2008. 

  15. S. Y. Bae, S. H. Kim, "Analysis of Convergent Influence of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nd Job Seeking Stress on Depression among College Women of Health Affiliated Educa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3, pp. 269-278, 2016.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6.14.03.269 

  16. D. J. Jung, "Influence of Weight control behavior, Body image, Self-esteem,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ental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University Female Students by BMI(Body Mass Index." Exercise science, Vol. 15, No. 4, pp. 365-376, 2006. 

  17. S. Y. Park, "Gwangju city seogu health news", Gwangju city seogu health Center, Vol. 11, No. 84, 1999. 

  18. Sung-Ho Yoon, "The effect of exercise participation on the happiness index, stress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p.34-48,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4. 

  19. H. Cohen, Hoberman. M, "Positive event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 13, pp. 99-125, 1983. 

  20.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s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347, 1965. 

  21. B. S. Park, H. Cho, B. J. Park, "Relationship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steem and Job-seeking Str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2 pp. 1109-1117,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2.1109 

  22. K. H. Lee, Y. K. Ko, K. H. Kang, H. K. Lee, J. K. Kang, Y. R. Hur, "Mental Health and Coping Strategies among Medical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 24, No. 1, pp. 55-63, 2012. 

  23. W. W. K. Zung,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 Gen Psychiatry, Vol. 12, No. 1, pp. 63-70, 1965. 

  24. M. K. Kang, I. K. Kim. "Drinking Motivation, Daily Stress, and Problem Drinking Behavior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8 pp. 5053-5061,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8.5053 

  25. D. S. Ko, S. Y. Ryn, D. I. Jung, M. J. Kim, Y. N. Kim, J, Park, "Differences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tress in Exercise behavior change stage of Some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5, pp. 395-404. 2013. 

  26. Y. G. Bak, I. S. Kang, "University students' of campus life stress,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6, No. 4, pp. 177-189, 2012. 

  27. E. K. Lee, O. H. Kim, "Comparison among nursing professional value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by gende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5, No. 4, pp. 2135-2148, 2013. 

  28. K. M. Yang, "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 pp. 113-123, 2016. DOI: http://dx.doi.org/10.15207/JKCS.2016.7.1.113 

  29. H. O. Jeon,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Adult Attachment and Self-assertiveness, on Depress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7, pp. 312-323, 2014.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7.312 

  30. S. H. Kim, S. Y. Bae, "Analysis of Convergent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mong Some College Women of Health Affiliated Educa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 367-376, 2015.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10.367 

  31. H. Y. Jung, "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Ego Resiliency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7, pp. 259-268, 2016.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07.259 

  32. Z. Ahmed, S. H. Juliu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among women college students." Indian Journal of Health and Wellbeing, Vol. 6, No. 12, pp. 1232-1234, 2015. 

  33. H. J. Park, M. Y. Kim, D. Y. Jung, "The Effect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Mental Health of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5, No. 4, pp. 513-521, 2008. 

  34. J. W. Lee, K. H. Kang, "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of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syste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4, pp. 69-74, 2014. 

  35. D. Sarokhani, A. Delpisheh, Y. Veisani, M. T. Sarokhani, R. E. Manesh, K. Sayehmiri,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tudy." Depression Research and Treatment, Vol. 2013, pp. 1-7, 2013. DOI: http://dx.doi.org/10.1155/2013/373857 

  36. E. J. Yoo, S. K. Kim, S .H. Joung, "A study on stress of college life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among students from beauty-related colleg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9, pp. 279-28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