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관절치환 수술 후 발생하는 섬망에 따른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Influence of the Incidence of Delirium in Patients after Arthroplas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1, 2016년, pp.369 - 377  

김영희 (위덕대학교 간호학과) ,  권영채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관절치환수술을 받은 환자의 섬망의 발생예방과 조기중재를 탐색하기 위함이다. 전자의무기록자료중 60세 이상 환자 82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20.0을 이용하여 대상자 서술통계와 섬망발생율의 차이는 $x^2$-test와 t-test를 시행하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공관절치환수술 환자에게 섬망 발생률은 13.5%였고, 섬망 발생의 영향요인에서는 연령, 낙상력, 신체활동, 정서상태, 수술전 체질량지수가 주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섬망의 예방, 조기발견을 위해 조기중재가 필요한 방안 모색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artificial joint replacement surgery for early intervention and prevention of the occurrence of delirium surgery. Data of study were analysed using the sample through the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and after surgery to provide basic data. The subjects were elderly aged 60 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인환자의 인공관절치환수술 후 섬망 발생은 신체적 악화를 초래하여 사망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섬망발생 요인을 분석하여 섬망을 조기 예방하거나 중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인공관절치환수술을 받은 환자의 전자의무 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을 통해 섬망 발생과 그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인공관절치환술수술 후 발생하는 섬망의 발생률과 섬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섬망 발생의 예측을 통하여 섬망 발생 예방과 중재 관리를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은 환자의 섬망 발생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섬망의 예방과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 대학병원에서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은 60세 이상 867명 중 연구대상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만족하는 8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4%로 비교적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음을 감안할 때[1,23],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관절치환수술을 한 환자들의 수술 후 섬망 발생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수술 후 섬망의 예방, 조기발견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의 증상은 어떤환자에게서 흔하게 발생하는가? 섬망은 다양한 질병상태에서 단기간에 발생하는 의식 장애, 인지기능장애, 의식수준의 저하, 주의력의 이상, 정신운동성 활동의 증가나 감소, 수면과각성주기의 장애 그리고 지각의 실질적인 변화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는 급성 정신장애 증후군이다[1]. 섬망의 증상은 노인환 자와 수술환자에게서 흔하게 발생하며, 수술환자의 마취 경험, 질병의 중증도, 다양한 침습적 시술 및 저하된 신체 기능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유발되어 아세틸콜린과 도파 민의 신경전달물질 사이의 균형을 쉽게 깨어져, 일반환 자보다 섬망 발생률이 더 발생한다[2,3].
인공관절치환수술을 받은 환자의 자료분석방법은 무엇을 사용했는가? 전자의무기록자료중 60세 이상 환자 821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20.0을 이용하여 대상자 서술통계와 섬망발생율의 차이는 $x^2$-test와 t-test를 시행하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공관절치환수술 환자에게 섬망 발생률은 13.
섬망은 어떤 증후군인가? 섬망은 다양한 질병상태에서 단기간에 발생하는 의식 장애, 인지기능장애, 의식수준의 저하, 주의력의 이상, 정신운동성 활동의 증가나 감소, 수면과각성주기의 장애 그리고 지각의 실질적인 변화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는 급성 정신장애 증후군이다[1]. 섬망의 증상은 노인환 자와 수술환자에게서 흔하게 발생하며, 수술환자의 마취 경험, 질병의 중증도, 다양한 침습적 시술 및 저하된 신체 기능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유발되어 아세틸콜린과 도파 민의 신경전달물질 사이의 균형을 쉽게 깨어져, 일반환 자보다 섬망 발생률이 더 발생한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 H. Kim, D.H. Kho, J. Y. Shin, E. S. Kim, D. H. Kim, "Risk factors of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 with hip fractures", Journal of Korean Facture Society, Vol. 21, No 3, pp. 189-194, 2008. 

  2. A. J. Chaput, G. L. Bryson,"Postoperative delirium: Risk factors and management: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 Canadian Journal of Anaesthesia, Vol.59, No.3, pp. 304-320, 2012. 

  3. J. S. Lee, S. Y. Lee,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n anxiety in elderly people-convergent approac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8, pp. 401-408, 2015. 

  4. D. Noimark, "Predicting the onset of delirium in the postoperative patient", Age and Ageing, vol.38, No.4, pp. 968-373. 2009. 

  5. J. Witlox, L. S. Eurelimg, J. F. de Jonghe ,K. J. Kalisvaaart, P. eikelenboom, W. A. Van Gool,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nd the risk of postdischarge mortality, institionalization, and dementia: A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304, No.4, pp. 443-451. 2010. 

  6. Y. J. Tak.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risk behaviors and injuries between elderly and young population in Korea: application of convergence educational concep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5, pp. 289-296, 2015. 

  7. S. Koster, F. G. Oosterveld, A. G. Hensens, A. Wijma, J. van der Palen, "Delirium after cardiac surgery and predictive validity of a risk 7,8,9checklist," The Annals of Thoracic Surgery, Vol. 86, No. 6, pp. 1883-1887, 2008. 

  8. E. R. Marcantonio, L. Goldman, E. J. Orav, E. F. Cook, T. H. Lee, "The association of intraoperative factors with the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delirium",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Vol. 105, No. 5, pp. 380-384, 1998. 

  9. A. G. Benoit, B. I. Campbell, J. R. Tanner, J. D. Staley, H. R. Wallbridge, D. R. Biehl, "Risk factors and prevalence of perioperative cognitive dysfunction in abdominal aneurysm patients", Journal of Vascular Surgery, Vol. 42, No. 5, pp. 884-890, 2005. 

  10. A. M. Contin, J. Perez-Jara, A. Alonso-Contin, A. Enguix, F. Ramos,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elective orthopedic sur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20, No.6, pp. 595-597, 2005. 

  11. W. S. Song, J. C. Choi, Y. S. Lee, H. Y. Na, J. W. Choi, W. S. Kim, M. H. Shin, "The Risk Factors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 with Hip Facture", Jon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Vol. 20, No. 4, pp. 293-298, 2008. 

  12. J. K. Lee, Y. S. Park, "Delirium after spinal surgery in korean population", Spine, Vol. 35, No. 18, pp. 1729-1732, 2010. 

  13. E. J .Lee, M. Y. Shim, S. H. Song, M. Lee, H. M. Kim, B. S. Kang, et al, "Risk factors related to delirium development in patients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 3, No. 2, pp. 37-48, 2010. 

  14. E. w. Ely, A. Shintani, T. Speroff, S. M. Gordon, F. E. Harrell, "Delirium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Th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09, No.14, pp. 1753-1762, 2004. 

  15. E. K. Kim, K. S. Ha, "The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of th Elderi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2, pp. 811-820, 2013. 

  16. J. K. Park, "Convergence factors among their physical state, function and activities influencing on the cognition of elderly residents in a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153-162, 2015. 

  17. M. J. Kwon,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ognition,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171-176, 2015. 

  18. H. J. Suh, Y. S. Yoo,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19, No. 1, pp. 55-65, 2007. 

  19. J. Y. Choi, "Research on Nurses' Stress for Elderly care and Stress-Coping Strateg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8, pp. 275-286, 2012. 

  20. W. S. Cho, H. S. Ahn, M. Y. Kim, E. S. Seol, S. W. Lee, J. W. Choi, "Pain s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he Jou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41, No 1, pp. 129-133, 2006. 

  2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ress release information about arthroplasty(Nov.2011)", Retrieved May 14,2012, from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Web site: http://www.mw.go.kr/front/mw_sch/index.jsp 

  22. S. O. Hong, Y. T. Kim, Y. H. Chi, J. H. Park, S. H. Kang, "Development of severity severrity-adjusted length of stay in knee replac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215-225, 2015. 

  23. M. H. Chung, S. O. Yun, J. H. Park, S. O. Chu, S. Y. Oh, M. Y. Kom, "Predictors of Delirium in Patient after Orthopedic Surgery", Jounal of Kor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7, No 3, pp. 443-454, 2011. 

  24. M. Y. Yu, J. W. Park, M. S. Hyun, Y. J. Lee, "Factors related to delirium occurrence among the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m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4, No 1, pp. 151-160, 2008. 

  25. Y. W. Lee, H. B. Im, E. J. Jeong, H. S. Ma, "Influencing Factors of the Incidence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Atrhroplast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4, No.4, pp. 348-357, 2012. 

  26. E. A. Park, M. Y. Min, "Postoperative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Surgery: Incidence and Risk Factor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2, No.2, pp. 57-66, 2015. 

  27. A. M. Contin, J. Perez, A. Alonso, A. Enguix, F. Ramos,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elective orthopedic sur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20, No 6, pp. 595-597, 2005. 

  28. T. N. Robinson, C. D. Raebum, Z. v. Angles, L. A. Brenner, "M. Moss, Postoperative delirium in the elderly: Risk factor and outcomes", Annals of Surgery, Vol. 249, No 1, pp. 173-178, 2009. 

  29. S. K. Inouye, R. G. Westendorp, J. S. Saczynski, "Delirium in elderly people", Lancet, Vol. 383, No 9920, pp. 911-922, 2014. 

  30. R. Staus, "Delirium in the older adult orthpaedic patient: Predisposing, precipitation, and organic factors", Orthopaedic Nursing, Vol. 30, No 4, p.p. 231-238, 2011. 

  31. S. W. Jung, S. C. Park, J. S. Rim, "The risk factor of delirium after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Koran Journal of Urology, Vol. 47, No 9, pp. 953-957, 2006. 

  32. N. Kagansky, E. Rimon, S. Naor, E. Dvornikov, L. Cojocaru, S. Levy, "Low incidence of delirium in very old patients after surgey for hip fracture",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12, No 3, pp. 306-314, 2004. 

  33. M. M. Steve, C. Unlu, B. T. Jurriaan, A. Honig, B. A. Van Wagensveld, E. P. Steller, et al,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delirium in the elderly general surgical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Surgery, Vol. 208, No 1, pp. 26-32, 2014. 

  34. P. K. Syke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ostoperative delirium among older patients on an orthopedic surgical unit: A best practice implementation project",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Vol. 27, No 2, pp. 146-153, 2012. 

  35. B. D. Robertson, T. J. Robertson, "Postoperative delirium after hip fracture",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Vol. 88, No 9, pp. 2060-206, 2006. 

  36. E. R. Marcantonio, L. Goldman, E. J. Orav, E. F. Cook, T. H. Lee, "The association of intraoperative factors with the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delirium",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Vol. 105, No 5, pp. 380-384,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