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일추출물 처리에 따른 치아수복물의 색조 및 표면변화
Color and surface change of teeth restoration result of treatment of fruit extrac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11, 2016년, pp.449 - 457  

최은정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안경광학과) ,  김미진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김민지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박민지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심소연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오수진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이아민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  양석준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안경광학과) ,  강경희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일즙이 복합레진의 표면부식과 착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일상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과일 중 산도가 높고 색깔이 있는 포도, 레몬, 오렌지, 자몽, 키위 5종을 선정하고 레진시편을 제작하여 과일즙에 침지하였다. 레진시편은 $37^{\circ}C$에서 과일즙에 3일, 7일 간격으로 침지하였다. 대조군은 과일즙에 침지하지 않은 레진으로 하였다. 시간에 따른 표면의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착색정도의 변화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레진의 표면변화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은 표면 입자간의 홈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직사각형모양의 막대상의 구조가 생겨났으며 작게 돌출된 돌기상의 입자가 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분광광도계로 레진의 착색정도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 간의 차이는 포도즙에 침지한 경우 명도가 가장 어두운 것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 this study, we select five colorful and high-acid fruits: grape, lemon, orange, grapefruit and kiwi, and we made a composite resin specimen and dipped into fruit juice in order to figure out influence that affects on surface corrosion and coloring. We dipped resin specimen into fruit juice by th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각각의 레진시편은 LED광원(D2000 LED Light curing, 3M, TAIWAN)으로 표면을 20초간 2번 중합하였다. 각 과일이 구강 내에 접촉시간이 1주일 10분이고 레진을 8년간 사용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약 69시간이며 24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착색 시 약 3일이 소요되어 기간을 3일, 그리고 좀 더 확연한 변화를 보기 위해 7일로 기간을 설정하였다.
  • , Japan)로 착색정도를 관찰할 레진시편은 지름 15mm, 높이 1mm의 크기로 제작하였다. 각각의 레진시편은 LED광원(D2000 LED Light curing, 3M, TAIWAN)으로 표면을 20초간 2번 중합하였다. 각 과일이 구강 내에 접촉시간이 1주일 10분이고 레진을 8년간 사용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약 69시간이며 24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착색 시 약 3일이 소요되어 기간을 3일, 그리고 좀 더 확연한 변화를 보기 위해 7일로 기간을 설정하였다.
  • 표면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레진 시편을 과일즙에 3일, 7일 간격으로 침지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자연건조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과일즙은 침지직전에 갈아서 분주하였으며 대조군은 과일즙에 침지하지 않은 레진으로 하였다.
  • 국내에 유통되는 포도, 레몬, 오렌지, 자몽, 키위를 믹서에 분쇄한 후에 멸균된 4×4 거즈에 걸러서 과일즙을 준비하고 pH를 측정하였다.
  • 대부분의 과일은 pH가 낮고 당을 함유하고 있어 레진의 기질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만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과일 중 산도가 높고 색깔이 있는 포도, 레몬, 오렌지, 자몽, 키위 5종을 선정하고 레진시편을 제작하여 과일즙에 침지한 후 표면변화와 착색정도를 관찰하였다. 다섯 가지 과일즙들은 치아부식을 유발할 수있는 2.
  • 레진시편을 과일즙에 침지하기 전인 대조군과 침지한 후인 실험군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10,000배율, 20,000배율로 관찰하였다[Fig. 1].
  • 착색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과일즙에 침지하지 않은 레진인 대조군과 과일즙에 3일 차, 7일차 침지한 레진인 실험군을 잘 분류하여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광광도계는 영점조정을 한 후, 시편의 각 면마다 3번씩 CIEL*a*b* 값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각 시편은 윗면과 아랫면을 각각 측정하였다. 색 좌표는 L*, a*, b*로 표시하였으며 L*은 명도, a*는 적색의 정도 b*는 황색의 정도를 나타낸다[6,7].
  • 현재 시판중인 탄산음료나 에너지음료 등이 레진과 치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이 보고되고 있지만 과일즙이 레진에 표면부식과 착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일즙이 레진의 표면부식과 착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일상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과일 중 산도가 높고 색깔이 있는 포도, 레몬, 오렌지, 자몽, 키위 5종을 선정하고 레진시편을 제작하여 37℃에서 과일즙에 3일, 7일 간격으로 침지하였다. 시간에 따른 표면의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착색정도의 변화는 분광광도계를 통해 CIEL*a*b*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 착색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과일즙에 침지하지 않은 레진인 대조군과 과일즙에 3일 차, 7일차 침지한 레진인 실험군을 잘 분류하여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광광도계는 영점조정을 한 후, 시편의 각 면마다 3번씩 CIEL*a*b* 값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각 시편은 윗면과 아랫면을 각각 측정하였다.
  • 표면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레진 시편을 과일즙에 3일, 7일 간격으로 침지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자연건조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과일즙은 침지직전에 갈아서 분주하였으며 대조군은 과일즙에 침지하지 않은 레진으로 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실험에 사용할 레진은 치아 색과 가장 유사한 레진 A2 shade (DenFil 2100, Vericom, Korea)로 선정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표면변화를 관찰할 레진시편은 지름 5mm의 높이 2 mm로 제작하였으며 분광광도계(UV-2450, ShimadzuCo.
  • 실험에 사용할 레진은 치아 색과 가장 유사한 레진 A2 shade (DenFil 2100, Vericom, Korea)로 선정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표면변화를 관찰할 레진시편은 지름 5mm의 높이 2 mm로 제작하였으며 분광광도계(UV-2450, ShimadzuCo., Japan)로 착색정도를 관찰할 레진시편은 지름 15mm, 높이 1mm의 크기로 제작하였다. 각각의 레진시편은 LED광원(D2000 LED Light curing, 3M, TAIWAN)으로 표면을 20초간 2번 중합하였다.

데이터처리

  • 0 (한글판)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을 포함한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를 이용하였고 3일과 7일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신뢰도는 95%를 기준으로 유의수준 p<0.
  • 신뢰도는 95%를 기준으로 유의수준 p<0.05이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고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일즙이 레진의 표면부식과 착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일상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과일 중 산도가 높고 색깔이 있는 포도, 레몬, 오렌지, 자몽, 키위 5종을 선정하고 레진시편을 제작하여 37℃에서 과일즙에 3일, 7일 간격으로 침지하였다. 시간에 따른 표면의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착색정도의 변화는 분광광도계를 통해 CIEL*a*b*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음식을 섭취하는 소화 기관의 일차 관문으로서의 저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치아는 저작뿐만 아니라, 발음, 심미 등 많은 기능을 한다. 치아상실은 음식물의 저작 및 영양 상태에 영향을 주어 전신 건강 및 삶의 질에 악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정신적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있다[1].
과일이 레진의 기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은 무엇인가?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과일이나 야채 등 청정 식품에 대한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생과일 음료나 야채 음료 등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과일은 pH가 낮고 당을 함유하고 있어 레진의 기질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을 만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과일 중 산도가 높고 색깔이 있는 포도, 레몬, 오렌지, 자몽, 키위 5종을 선정하고 레진시편을 제작하여 과일즙에 침지한 후 표면변화와 착색정도를 관찰하였다.
임상에서 가장 보편적인 수복물로 레진이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따라 치아의 형태와 기능을 회복함을 동시에 외관상으로도 구강 내에서 주변 치아와 색의 조화가 이루어지는 수복법이 선호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레진은 치아색을 띄고 있어 심미성이 우수하고 금과 아말감에 비해 치아의 삭제량이 적고, 물리적 성질이 자연치아와 비슷하며 가격도 저렴하다[2]. 이러한 장점들을 고려해 임상에서 가장 보편적인 수복물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E.H, "Functional and evolutionary study on tooth morphology." Master's thesis, Seoul Nationl University. 2009. 

  2. Lee YI, Cho IH, LEE JS, "The effect of various foods on the color stability of artificial teeth." J Korean Acad Prosthodon, Vol. 47, pp. 82-90, 2009. 

  3. Johansson AK, Sorvari R, Birkhed D. et al, "Dental erosion in deciduous teeth-an in ivo and in vitro study." J Dent, Vol. 29, pp. 333-340, 2001. 

  4. Oh HN, "The Effect of Energy Drink on Enamel Erioson." J Dent Hyg Sci, Vol. 15, pp. 419-423, 2015. 

  5. Imfeld T, "Dental erosion. Definition, classification and links." Eur J Oral Sci, Vol. 48, pp. 529-539, 1998. 

  6. Hwang SJ, "Color Change of Food Staining and Bleaching on Composite Resin." J Dent Hyg Sci Vol. 12, pp. 477-485, 2012. 

  7. Lenhard M, "Assessing tooth color change after repeated bleaching in vitro with a 10 percent carbamide peroxide gel." J Am Dent Assoc, Vol. 127, pp. 1618-1624, 1996. 

  8. Jeong YJ, Lim JH, Cho IH, Lim HS, "Color stability of ceromers in three food colorants." J Korean Acad Prosthodon, Vol. 41, pp. 136-147, 2003. 

  9. Oysaed H, Ruyter IE, "Water sorption and filler characteristics of composites for use in posterior teeth." J Dent Res, Vol. 65, pp. 1315, 1986. 

  10. Han L, Okamoto A, Fukushima M, Okiji T, "Evaluation of flowable resin composite surfaces eroded by acidic and alcoholic drinks." Dent Mater J, Vol. 27, pp. 455-465, 2008. 

  11. Park JH, "A comparison study on the effects of commercial drinks on bovine enamel." J Dent Hyg Sci, Vol. 9, pp. 557-561, 2009. 

  12. Shim JS, Song AH, "A pH measurement study on commercial alcoholic drinks." J Dent Hyg Sci. Vol. 12, pp. 696-701, 2012. 

  13. Lee HJ, Hong SJ, Choi CH, "Erosive effect of hangover-curing beverages on enamel surface."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 37, pp. 119-125, 2013. 

  14. Johansson AK, Lingstrom P, Imfeld T, Birkhed D, "Influence of drinking method on tooth-surface pH in relation to dental erosion." Eur J Oral Sci, Vol. 112, pp. 484-489, 2004. 

  15. Choi DY, Shin SC, "A study on pH of several beverages in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 20, pp. 399-410, 1996. 

  16. Hyun-Ok Lee, "Effects of sparkling water on the surface of composite resin." Ma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6. 

  17. Erdemir U, Yildiz E, Eren MM, Ozel S, "Surface hardness of different restorative materials after long-term immersion in sports and energy drinks." Dent Mater J, Vol. 31, pp. 729-736, 2012. 

  18. Erdemir U, Yildiz E, Eren MM, Ozel S, "Surface hardness evaluation of different composite resin materials: influence of sports and energy drinks immersion after a short-term period." J Appl Oral Sci, Vol. 21, pp. 124-131, 2013. 

  19. Fatima N, Abidi SY, Qazi FU, Jat SA, "Effect of different tetra pack juices on microhardness of direct tooth colored-restorative materials." Saudi Dent J, Vol. 25, pp. 29-32, 2013. 

  20. Hengtrakool C, Kukiattrakoon B, Kedjarune-Leggat U, "Effect of naturally acidic agents on microhardness and surface micromorphology of restorative materials." Eur J Dent, Vol. 5, pp. 89-100, 2011. 

  21. Domingos PA, Garcia PP, Oliveira AL, Palma-Dibb RGl, "Composite resin color stability: influence of light source and immersion media." J Appl Oral Sci, Vol. 19, pp. 204-211, 2011. 

  22. Lee YI, Cho IH, Lee JK, "The effect of various foods on the color stability of artificial teeth." J Korean Acad Prosthodont, Vol. 47, pp. 82-90, 2009. 

  23. Hwang SH, "surface micro-hardness and color changes caused by commercial alcoholic drinks on composite resin material."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0. 

  24. Park JW, "Understanding of the color in composite resin." J Kor Acad Cons Dent, Vol. 36, pp. 71-279, 2011. 

  25. Jung JE, "The Color Stability of Resin Composite after Exposure to pH Solutions and Immerse into Staining Beverages." doctor's thesis, Pusan Nationl University.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