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및 교육요구도
A Study on the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Education Demand of First Aid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 2016년, pp.234 - 243  

황지영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오은순 (공주대학교 유아교육과) ,  조근자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육시설에서 발생한 응급상황에서의 최초반응자로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응급처치 수행자신감과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응급처치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일부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이며 2015년 3월 5일부터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된 자료는 149부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PC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응급처치 수행자신감은 대체로 낮았으며(평균 2.70점), 응급처치 시행의사가 있는 경우 수행자신감이 유의하게 높았다(p=.002). 응급처치 교육요구도는 대체로 높았으며(평균 4.04점), 특히 응급상황 경험이 있는 경우(4.21점, p=.006), 재직 중 응급처치 교육을 이수한 경우(4.14점, p=.001)에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응급처치 교육 시 빈도가 높은 응급상황을 고려하여 수행자신감이 낮은 응급처치 항목과 교육요구도가 높은 응급처치 항목을 고려한 정기적인 맞춤형 응급처치 교육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education demand of first aid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The data from a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from March 5 to 31, 2015. The responses from 149 te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응급처치 수행자신감과 응급처치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호발하는 응급상황 및 이들에 대한 응급처치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각 특성에 따른 응급처치 수행자신감 및 교육요구도의 차이와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처치 교육자는 어떻게 교육을 하는 것이 필요한가? 84점으로 나타났으며[12], 이마저도 한정된 상황 시나리오에 의한 것이어서 보육교사들의 응급처치 수행능력을 정확히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응급처치 교육자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이 근무하는 환경에서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수행자신감이 부족한 응급처치와 교육 요구도가 높은 응급처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교육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육 시설 프로그램은 점차 어떻게 바뀌어 갔는가? 이에 따라 맞벌이 가정의 영유아들을 돌볼 수 있는 보육시설의 종일반 운영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결과적으로 영유아들이 일상생활을 가정이 아닌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에서 생활하는 시간의 증가를 가져오고 있다[1,2]. 과거에는 3~4시간 정도의 교육을 담당하던 보육 시설 프로그램이 종일반으로 바뀌고, 0세부터 취학 전까지 다양한 연령을 보육 및 교육하는 기관으로 바뀌면서 안전문제의 1차적 책임자가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교사로 자연스럽게 바뀌었다[3]. 또한 영유아보육법 제23조 2에 따르면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안전을 대비한 보수교육을 받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4].
영유아의 사고 발생 예방의 실태는 어떠한 것으로 나타나는가? 이와 같이 보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들은 응급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영유아의 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대책과 감독이 필요하다[5,8,9]. 그러나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사가 영유아의 안전사고를 전면적으로 통제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며[10], 실제 안전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올바르게 대처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있는 것도 중요하다[11]. 국내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한 응급처치교육 실태를 살펴보면, 어린이집 및 유치원 교사 교육과정 중 자격연수, 일반연수, 직무연수의 과정에서 건강생활영역을 교육받으면서 안전 및 응급처치에 대한 내용을 1~2시간 가량 다루고 있는 것이 전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 M. Lee, M. S. Jo. Early child care teachers' treatment method on emergency situation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7, No.4, pp. 55-80, Dec, 2010. 

  2. H. K. Nam. Safety diagnosis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he prevention of injuries at child care cent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1. 

  3. H. S. Hong. A study on the teacher's safety cognition about the infant develop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02. 

  4.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Infant care act, 2015,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74468#0000, (accessed Nov, 2015) 

  5. S. H. Yoon.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safety knowledge, perception, and practice. Soo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2000. 

  6. Statistics Korea. A report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2014,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83, (accessed Nov, 2015) 

  7. Korea consumer agency. A survey of child safety in home, 2010, Available from: http://www.kca.go.kr/brd/m_46/view.do?seq682&itm_seq_13, (accessed Nov, 2015) 

  8. S. H. Kim. Education of child safety. p.87-126, Changjisa, 2000. 

  9. I. O. Kim, J. E. Lee, H. J. Park. child safety care. p.112-117, Yangsewon, 2005. 

  10. K. S. Bang. Child injury and attitude, knowledge, and practice on safety of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19, No.1, pp. 30-40, Jan, 2006. 

  11. M. S. Kim, M. H. Park, H. S. Lee. The kindergarten teachers' actual condition of first-aid educ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3, No.1, pp. 91-114, 2006. 

  12. J. S. Lee. Teacher's abilities; Emergency and administering first aid in daycare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Seoul, 2012. 

  13. S. J. Kim. Y. Y. Kim, S. H. Kim, H. J. Park, K. A. Kang. The degree of safety education requirement for younger children in child daycare center teachers. Vol.19, No.2, pp. 137-150, May, 2013. 

  14. S. Y. Lee. Research report of childcare facilities with teachers and infants actual safety conditions - childcare facilities of Public, Social and Private in Kang Buk, Seoul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Seoul, 2010. 

  15. U. J. Choi, K. J. Cho. The study of needs and demands for first aid education of school health educator.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ol.12, No.1, pp. 27-41, April, 2008. 

  16. Korea Consumer Agency. Child Care Facilities Survey, 2012, Available from: http://www.kca.go.kr/brd/m_46/view.do?seq767&itm_seq_13, (accessed Nov, 2015) 

  17. H. S. Kim, K. A. Kang, S. J. Kim, S. Y. Moon, E. Y. Yang, M. S. Lee, N. O. Jung, S. N. Park, S. E. Choi. Child health nursing: Care of the child and family. p.15-20, Seoul: Koonja Publishing company, 2012. 

  18. J. K. Jeong. The recognition, practices, and knowledge of child care teachers for infant saf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10. 

  19. K. S. Oh, M. K. Shim, E. K. Choi.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practice of teachers concerning health and safety of children in child-day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ol.14, No.2, pp. 155-162, May, 2008. 

  20. Y. H. Chang, M. R. Chung, S. Y. Bae.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7, No.1, pp 23-44. Jan, 1997. 

  21. S. Y. Jang. A Study on the status and improvement of toddler child care targets of accidents and safety trai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2011. 

  22. J. S. Ku.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Safety-Education for Young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009. 

  23. M. S. Jo. A study on the child-care teachers' treatment method in emergent situation at child care fac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8. 

  24. E. K. Le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nd practice about saf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5. 

  25. S. H. Kim. A study on safety knowledge, perception of safety training and relevant needs among preschool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5. 

  26. G. S. Kang.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 model for preparation of young children's acci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asn, 2000. 

  27. H. Y. Won. An evaluation on the safety of the child care-center's facilities based on the consciousness safety of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Jinju, 2003. 

  28. I. J. Kim. A study on the state of safety accidents in daycare centers and care givers' needs for first-aid education: the case of private daycare centers in the region of yeoung-dong. The Gangwo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 No.1, pp. 65-84. 

  29. J. S. Kim, K. J. Han. Health problems and health services in child day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ol.12, No.1, pp. 25-33, Jan, 2006. 

  30. H. S. Kim, J. S. La, H. J. Lee, E. K. Choi. Health management status of day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ol.14, No.3, pp. 295-304, Oct, 2008. 

  31. Y. O. Shim.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method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safety education in daycare centers: focused on daycare centers in the Daegu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2005. 

  32. Y. H. lee. A study on recognition of preschool teacher's safety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ju University,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