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개천골요법이 장기요양시설노인의 뇌기능지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ranio-Sacral Therapy on Brain Function Quotient of Elderly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 2016년, pp.474 - 484  

이정은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심신통합치유학과 뇌과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CST 효과에 대한 많은 과학적 근거들이 활발히 제시되고 있으며, CST를 실제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ST가 장기요양시설노인의 뇌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2015년 1월 3일~2015년 2월 28일까지 장기요양시설노인 12명(실험군 6명, 대조군 6명)을 대상으로 Upledger가 개발한 10단계(10-Step Protocol) CST를 1회 50분, 주 1회, 8주간, 총 8회 적용하였다. 뇌기능 측정은 2 Channel neuro-feedback system 이동식 뇌파 측정기를 이용하여, CST 시술 시작 전과 마지막 시술 후에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한국정신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뇌기능 분석 프로그램인 BQ test로 뇌기능지수를 분석하였다. 집단 간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s(Version 18.0)프로그램의 Mann-Whitney U-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뇌기능지수 중 주의지수(좌)(우), 주의지수의 하위지수인 긴장도(좌)(우), 항스트레스지수(좌)(우), 정서지수, 브레인지수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고, 주의지수의 하위 지수인 주의비율에서만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CST가 시설노인의 뇌기능지수를 증가시켜 뇌기능을 향상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ST를 노인요양시설에서 건강과 뇌기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improvement of brain function by CST on the elderly with the 2nd or 3rd grade of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A quasi-experimental design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was used. A total of 12 elders (6 in the experi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CST가 장기요양시설노인의 뇌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 중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수기요법인 CST를 적용하여 뇌기능을 의미 있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한 연구이다. 그 결과 뇌기능지수 중 주의지수(좌)(우), 긴장도(좌)(우), 항스트레스지수(좌)(우), 정서지수, 브레인지수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 앞의 선행연구들을 볼 때, 고령화 사회에서 평균수명의 증가로 노인인구 수는 현저하게 많아지고 그와 비례하여 장기요양보험급여 대상자도 증가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장기요양시설노인을 대상으로 정신적 능력이나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 등의 뇌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한 연구는 아주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CST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뇌기능을 상승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는 연구[20]와 실버타운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CST를 시술하여 자율신경 심전도에 효과가 나타나고, 뇌파에도 영향을 주었다는 선행연구[21]를 바탕으로 한국정신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뇌기능 분석 프로그램인 BQ test를 이용하여, 장기요양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에게 CST를 통한 중재요법이 노인의 뇌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요양보험 판정등급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가족의 부양기능 약화로 인한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2008년 7월 1일부터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서비스를 지원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2]되었으며,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복지시설이 다양해지고 있고,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시설이 노인요양시설과 주간보호센터이다.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은 장기요양보험 판정등급에 따라 3개 등급으로 구분되는데 1등급은 와상 상태로 중증치매인 경우, 2등급은 일상생활에서 상당 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거나 치매로 기억, 판단력이 흐려져 주위 사람들에게 문제 행동을 가끔 보이는 상태, 3등급은 일상생활에서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이다[2]. 
노인성 질환의 특징은 무엇인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인구비율 증가와 함께 각종 노인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질환은 지속적인 보 호와 관리를 요하는 질병으로 독립적인 생활을 불가능하게 하고 부양자에게 끊임없는 신체적 피로 및 정신적 긴장을 주게 되는 부양스트레스를 높이게 한다[1].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가족의 부양기능 약화로 인한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2008년 7월 1일부터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서비스를 지원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2]되었으며,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복지시설이 다양해지고 있고,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시설이 노인요양시설과 주간보호센터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란 어떤 제도를 일컫는가? 이들 질환은 지속적인 보 호와 관리를 요하는 질병으로 독립적인 생활을 불가능하게 하고 부양자에게 끊임없는 신체적 피로 및 정신적 긴장을 주게 되는 부양스트레스를 높이게 한다[1].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가족의 부양기능 약화로 인한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2008년 7월 1일부터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들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서비스를 지원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2]되었으며,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복지시설이 다양해지고 있고,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시설이 노인요양시설과 주간보호센터이다.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은 장기요양보험 판정등급에 따라 3개 등급으로 구분되는데 1등급은 와상 상태로 중증치매인 경우, 2등급은 일상생활에서 상당 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거나 치매로 기억, 판단력이 흐려져 주위 사람들에게 문제 행동을 가끔 보이는 상태, 3등급은 일상생활에서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Lee YW, Park KH, Seong YS. A study on changes of primary Caregivers' fatigu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by using dementia day care service. J Korean Academy of Adult Nurs. 20(3), 443-451, 2008.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08, June). Judgement rating for long-term care insurance. http://www.longtermcare.or.kr/portal/ny/jsp/p/d/01/nypdfaqlst_R.jsp?actVIEW(accessed July 22, 2015) 

  3. Upledger JE. Craniosacral therapy I: Study guide. UI Publishing, Florida, 2002. 

  4. Upledger JE, Kaplan BS, Bourne RA, Zonderman RB. The effects of Upledger craniosacral therapy on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ology in Vietnam combat veterans. Subtle Energy & Energy Medicine 11(2), 123-143, 1993. 

  5. Upledger JE. Craniosacral therapy and scientific research part I. Palm Beach Gardens, Florida, 2003. 

  6. Guillermo A. Mataran-Penarrocha, Adelaida Maria Castro-Sanchez, Gloria Carballo Garcia, Carmen Moreno-Lorenzo, Tesifon Parron Carreno and Maria Dolores Onieva Zafra. Influence of craniosacral therapy on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 eCAM 2009(3), 1-9, 2009. 

  7. Harrison RE, Page JS. Multipractitioner Upledger craniosacral therapy: descriptive outcome study 2007-2008. J Alternative Complement Med. 17(1), 13-17, 2011. DOI: http://dx.doi.org/10.1089/acm.2009.0644 

  8. Helen E, Hans-Christian Ostgaard, Anna G, Pia M, Ann-Charlotte Linner, Monika FO. Effects of craniosacral therapy as adjunct to standard treatment for pelvic girdle pain in pregnant women: a multicenter,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92(7), 775-782, 2013. DOI: http://dx.doi.org/10.1111/aogs.12096 

  9. Haller H, Cramer H, Werner M, Dobos G. Treating the sequelae of postoperative meningioma and traumatic brain injury: A case of implementation of craniosacral therapy in integrative inpatient care. J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 21(2), 110-112, 2015. DOI: http://dx.doi.org/10.1089/acm.2013.0283 

  10. Choi SS, Park HS. The effects of craniosacral therapy on chronic headache. J Korean Rehabilitation Nurs. 7(1), 68-77, 2004. 

  11. Jung MR. The effect of craniosacral therapy on relieving the stress of high school gir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7-30, 2006. 

  12. Lee JE, Chae MS, Hyun KS, Park PW. Effects of neurofeedback and cranio-sacral therapy on fatigue and the stress resistance in korean middle aged women.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7(2), 21-31, 2008. 

  13. Nam HS. The effect of massage on fatigue element and stress hormones : The comparative study of meridian massage and craniosacral 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32-44, 2010. 

  14. Lyou JL. The effects of cranio sacral therapy on pain and muscle tension for middle-aged women. International J Complementary, Integrative and Alternative Med. 7(1), 37-56, 2011. 

  15. Jeun JS. The effects of the stress and the balance for left & right scapula with the craniosacral 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Taejon University, Taejon, 49-51, 2012. 

  16. Lee JE, Hyun KS. Content analysis on experiences in middle aged women participating in neurofeedback, cranio-sacral therapy and combine therapy.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3), 1042-1053,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3.1042 

  17. Oh US. The effect of craniosacral therapy on insomn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30-33, 2012. 

  18. Shin SJ, Lee MN, Lee IH. The effects of Thai massage on women 20s, lower edema, fatigue substance and stress hormone. J Korea Soc. Beauty and Art 15(1), 243-252, 2014. 

  19. Lee JE. Effects of cranio-sacral therapy on self-regulation and brain quotient in practitioner and client. J Investigative Cosmetology 11(1), 17-24, 2015. DOI: http://dx.doi.org/10.15810/jic.2015.11.1.003 

  20. Lee JE. Effects of neurofeedback, cranio-sacral therapy and mixed therapy on fatigue, stress and the brain quotient in korean middle aged women. J. Kor. Soc. Cosm. 16(4), 1028-1040, 2010. 

  21. Ko YM, Hwang HJ, Han EH, Jang TS. The effect of craniosacral therapy on brain wave and electrocardiogram in the elderly. Kor. J. Aesthet. Cosmetol. 10(4), 879-886, 2012. 

  22. Lee JE, Youn MK, Hyun KS, Park PW, Lee KS, Jeong DL.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brain function quotient of elderly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J East-West Nursing Research 18(2), 111-119, 2012. 

  23. Jasper HH. The ten-twenty electrod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 Neurophysiology 56(6), 898-902, 1958. 

  24. Ryu CS, An MH, Na YC, Cho JO, Han YS, Kim KH, Park PW. A portable neurofeedback system and EEG-analysis methods for evaluation. World Congress on Medical Physics and Biomedical Engineering Proceeding, 1060-1062, 2006. 

  25. Kim YJ, Kim HH, Park JK, Chae HK, Park MA, Kang KM, Cho SH, Min YK, Chang NK. The evaluations of the functional state of the brain by brain wave measure during problem-solving activities. Korean J Biological Education 28(3), 291-301, 2000. 

  26. Park PW. Interpretation method of EEG. Korea Research Institute of Jungshin Science, Seoul, 99-113, 2005. 

  27. Shim DH, Yi SH. Comparison of brain function scores between computer-game addicted and not addicted children in performing left brain hemisphere typed cognitive tasks. The Korean J the Human Development 12(4), 191-207, 2005. 

  28. Kim YR. Effect of aroma oil back massage on the brain wave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perimenopause women. J Investigative Cosmetology 10(1), 45-51, 2014. DOI: http://dx.doi.org/10.15810/jic.2014.10.1.006 

  29. Park HR, Park PW, Song GW, Lim GW. Socio-economic effects on brain functions and symptoms of child behavioral problems.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 462-470,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462 

  30. Lubar JF, Swartwood MO, Swartwood JN, O'Donnell PH.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EG neurofeedback training for ADHD in a clinical setting as measured by changes in T.O.V.A. scores behavioral rating and WISC-R performance. Biofeedback & Self Regulation 20, 83-99, 1995. DOI: http://dx.doi.org/10.1007/BF01712768 

  31. Peniston EG, Marrinan DA, Deming WA, Kulkosky PJ. EEG alpha-theta brain wave synchronization in Vietnam theater veterans with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lcohol abuse. Advances in Medical Psychotherapy 6, 37-50, 1993. 

  32. Maulsby RL. An illustration of emotionally evoked theta rhythm in infancy: hedonic hypersynchrony. EEG and Clinical Neuroscience Letters 143, 10-14, 1971. DOI: http://dx.doi.org/10.1016/0013-4694(71)90186-6 

  33. Woodruff D. Craniosacral therapy: A brief description. Victoria Pain Clinic Publishing, Victoria, 1995. 

  34. Horn C. 13 ways to wipe out pain, Natural Health Jan, 37-45, 1999. 

  35. Kim DS, Chung YS, Par SK.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hormone, salivary cortisol level and stress score by self-report measurement. Korean J Health Psychology 9(3), 633-645, 2004. 

  36. Youn MK, Lee JE, Kim SK, Lee SW, Kim JH, Woo KO. The effects of oriental herbal tea on the brain function quotient of elders at health facility. J East-West Nursing Research 19(2), 128-137, 2013. DOI: http://dx.doi.org/10.14370/jewnr.2013.19.2.128 

  37. Jeong ES.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therapy of neurofeedback, brain gymnastics, and oriental herbal tea on the improvement of brain functions and the quality of life of elders living alo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of Buddhism, Seoul, 54-64, 2015. 

  38. Peniston EG, Marrinan DA, Deming WA, Kulkosky PJ. EEG alpha-theta brain wave synchronization in Vietnam theater veterans with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lcohol abuse. Advances in Medical Psychotherapy 6, 37-50, 1993. 

  39. Lee SY, Lee JY, Kim JS. Lee JH, Kang SS: Flavonoids from the seeds of zizyphus jujuba var. spinosa. Korean J Pharmacognosy 43(2), 127-136, 2012. 

  40. Lee JE, Park PW, Hyun K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Stress resistance and Emotion in Korean middle aged women.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3), 1145-1150,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3.1145 

  41. Yoon BS. BIS and BAS related difference on cognitive and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to the affective stimuli. Korean J Psychological Association General 29(4), 679-705, 2010. 

  42. Weon HW, Lim JY, Son HK, Kim MA. The effects of the neurofeedback training on the general health status,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and brain function quoti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2), 6309-6316,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2.6309 

  43. You YH, Jeong YT. Effectiveness of participating TGMD-2 basis program for intellectual & development disability in brain quotient and exercise perform capability. J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actimity and Exercise 23(1), 49-63, 2015. 

  44. Choi NS, Ahn SK, Park PW. Research on the difference of anti-stress by classification of puberty development index.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4), 2505-2510,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4.2505 

  45. Im GY, Park HR, Choi NS, Park PW.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big 5 personality traits and SRQ of brain quotient.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6), 3760-3768,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6.37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