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판 자살극복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icide Resilience Inventory-Korean Version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 2016년, pp.508 - 517  

노준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장수정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김성은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어판 자살극복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방법론적 연구로 2012년 9월부터 12월까지 전북지역 26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준거도구로 Osman 등(2004)의 Suicide Resilience Inventory-25를 이용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Cronbach's alpha 계수를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19문항의 요인적재량의 범위는 .442에서 .767, RMSEA<.08, $CFI{\geq}.9$로 타당도를 확보하여, 최종 19문항 3개의 하위 요인으로 이루어진 한국어판 자살극복력 측정도구(SRI-K)를 최종모형으로 선택하였다. SRI-K의 Cronbach's alpha 값은 .943이었다. SRI-K는 자살극복력을 측정하는데 신뢰도와 타당도가 있는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향후 자살극복력을 측정하는데 SRI-K가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icide Resilience Inventory-Korean ver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66 university students in Jeonbuk, South Korea. The Suicide Resilience Inventory-Korean version Suicide Resilience Inventory-25 was developed, and the coll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국내에서는 자살극복력도구(SRI-25)에 대한 타당도를 한 차례 진행한 바 있으나[18], 확인적 요인분석과정에서 제외된 항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문항을 포함시켜 원 도구와 동일하게 25문항으로 자살극복력도구를 표준화하였기에 이에 대한 반복 및 확인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판 자살극복력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여 SRI-25가 한국 대학생에게 적용가능한지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Osman 등[17]의 자살극복력 측정도구(SRI-25)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판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다수의 대학생 표본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판 자살극복력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요인의 개수나 구조에 대한 특별한 가정없이 자료에 내재되어 있는 특성을 탐색하여 관심있는 가설이나 모형 및 구조 등을 생성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는데 기여한다.
  • 본 연구는 자살극복력 측정도구인 SRI-25가 우리나라에 적용가능한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미국에서 개발된 SRI-25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19개의 문항과 3개의 하부요인으로 구성된 SRI-K가 신뢰도가 높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한 타당도가 적절하여서 우리나라에서도 자살극복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표준 인구로 계산한 한국의 자살률은 어떠한가? 4명(1.5%) 증가하였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표준 인구로 계산한 한국의 자살률은 29.1명으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으며 이는 OECD 평균인 12.1명의 2.
청소년과 청년 자살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청소년과 청년 자살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대두되고 있는 ‘사회적 가치의 획일성’, ‘조급(빨리빨리)성’, ‘권위주의적 경향’과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과 결부된다고 볼 수 있다. 자신의 목표 수준이나 목표 달성의 속도를 현실에 맞추려는 시도는 성취지향 일변도의 사회적 가치관에 의해 방해를 받으면서10명 중 6명 이상이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3], 청소년기에 우울과 자살이 급증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
자살의 보호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자살의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것만큼 위기의 상황을 극복하고 버티며 자살충동을 억제할 수 있는 자살의 보호요인에 대한 탐색과 관심도 이에 못지않게 필요하다. 지금까지 알려진 자살 보호요인으로는 건강한 생활습관, 사회적지지, 안정된 대인관계와 자존감[7]을 비롯하여 삶의 만족도[8]나 문제해결능력[9], 생의 의미[10] 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ause of death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bSeq&aSeq330183, (accessed April, 10, 2014). 

  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statistics, 2014", Available from http://www.oecd.org/health/healt h-systems/oecdhealth- statistics-2014-frequently-requested-data.htm, (accessed May, 16, 2015). 

  3.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dolescents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287091, (accessed April, 10, 2014). 

  4. E. H. Kim, H. H. Shim, "A type behavior patter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5), pp.2659-2671, 2013. 

  5. C. R. Ra, C. Lee, J. Seo, J. Choi, M. You, "Factors affecting suicide ide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0(1), pp.1-11, 2013. DOI: http://dx.doi.org/10.14367/kjhep.2013.30.1.001 

  6. G. Lee, "Factors influencing attempted suicide among adolesc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5), pp.3139-3147, 2015. 

  7. S. W. Kim, J. M, Kim, I. S. Shin, J. S. Yoon. "Suicide and crisis interventio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5(4), pp.341-348, 2012.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2.55.4.341 

  8. D. S. Park, "Effect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of health college students on their suicidal ideation: control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2), pp.728-736, 2013. 

  9. L. Pollock, J. Williams, "Problem-solving in suicide attempters", Psychological Medicine, 34(1), pp.163-167, 2004. DOI: http://dx.doi.org/10.1017/S0033291703008092 

  10. J. Fitzpatrick, "Preventing suicide: developing meaning in life",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3(4), pp.275-276, 2009. DOI: http://dx.doi.org/10.1016/j.apnu.2009.06.002 

  11. M. M. Linehan, J. L. Goodstein, S. L. Nielsen, J. A. Chiles, "Reasons for staying alive when you are thinking of killing yourself: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51(2), pp.276-286, 1983. DOI: http://dx.doi.org/10.1037/0022-006X.51.2.276 

  12. A. Osman, P. M. Gutierrez, B. A. Kopper, F. X. Barrios, C. E. Chiros, "The positive and negative suicide ideation inventory: development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82(3 Pt 1), pp.783-793, 1998. DOI: http://dx.doi.org/10.2466/pr0.1998.82.3.783 

  13. G. W. Lee, M. H. Hyun, S. J. Lee,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5(2), pp.227-242, 2010. DOI: http://dx.doi.org/10.17315/kjhp.2010.15.2.004 

  14. J. H. Park, H. N. A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2(2), pp.113-133, 2014. 

  15. S. S. Luthar, D. Cicchetti, B. Becker,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3), pp.543-562, 2000. DOI: http://dx.doi.org/10.1111/1467-8624.00164 

  16. G. Y. Kim, S. J. Cho,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adolescent resilience on suicidal ideation, and the suicide prevention-based on external protective facto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5), pp.2131-2139,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5.2131 

  17. A. Osman, P. M. Gutierrez, J. J. Muehlenkamp, F. Dix-Richardson, F. X. Barrios, B. A. Kopper, "Suicide resilience inventory-25: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properties", Psychological Reports, 94(3 Pt 2), pp. 1349-1360, 2004. DOI: http://dx.doi.org/10.2466/PR0.94.3.1349-1360 

  18. K. Cho, "Validation of suicide resilience inventory-25.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Yongmoon graduate school of counselling psychology, Seoul, Korea, 2012. 

  19. C. S. Ryu, "SPSS 14.0 for windows, (5th ed)", Elite, Seoul, Korea. 2006. 

  20. J. F. Hair, R. L. Tatham, R. E. Anderson, W.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Prentice Hall, Upper Seddle River, New Jersey, United States of America. 1998. 

  21. E. Cho, M. Choi, E. Y. Kim, I. Y. Yoo, N. J. Le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3), pp.325-332, 2011.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1.41.3.325 

  22.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pp.238-246, 1990. DOI: http://dx.doi.org/10.1037/0033-2909.107.2.238 

  23. M. W. Browne, R. Cu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pp.230-258, 1992. DOI: http://dx.doi.org/10.1177/0049124192021002005 

  24. J. Nunnally, I.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 (3rd ed)", McGraw-Hill, New York, United States of America, 1994. 

  25. P. A. Rutter, S. Freedenthal, A. Osman, "Assessing protection from suicidal risk: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uicide resilience inventory", Death Studies, 32(2), pp.142-153, 2008. DOI: http://dx.doi.org/10.1080/07481180701801295 

  26.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New York, United States of America, 1998. 

  27. H. S. Kang,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5), pp.587-594, 2013.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3.43.5.587 

  28. H. J. Le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suicide phenomena and the possibility of anthropological research",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ultural Anthropology, 43(1), pp.307-324. 2010. 

  29. Y. K. Lee, "The problem of korean suicide and confucian thoughts", Journal of Koreanology, 52, pp.163-200, 2014. DOI: http://dx.doi.org/10.15299/jk.2014.08.52.163 

  30. M.. Place, J. Reynolds, A. Cousins, S. O'Neill, "Developing a resilience package for vulnerable children",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7(4), pp.162-167. 2002. DOI: http://dx.doi.org/10.1111/1475-3588.00029 

  31. Y. H. Han and J. K. Chung, "Two-factor self-esteem scale: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factor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1(4), pp.117-131,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