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에 대한 인과 모형 분석
A Causal Model Analysis of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Learn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1 no.2, 2017년, pp.187 - 201  

이환철 (한국과학창의재단) ,  김형원 (텍사스 대학교) ,  백승근 (아주대학교) ,  고호경 (아주대학교) ,  이현숙 (건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 중 고 학생들의 수학학습 실태 조사 연구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수학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치, 흥미, 학습태도, 외적 동기, 내적 동기, 학습의지, 효능감 등 7개의 정의적 요인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추출한 결과 '효능감'이 초 중 고 학생 모두에게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과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가치'를 인식할 때 '외적/내적동기'가 발생하고, 두 동기는 수학에 대한 '흥미'와 '학습의지'를 높이며, 마지막으로 긍정적인 '학습태도'와 '효능감'을 발달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외적동기의 영향력이 강해지는 반면에 초등학생인 경우 외적 동기가 흥미로 이어지지 않았으며,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경우 '흥미'가 수학 포기여부에 영향을 준 주요 매개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경로 분석 연구 결과는 정의적 영역의 각 요소가 어떤 경로로 수학포기에 이르는가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학생들의 수학 학습 지도에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과 우선순위를 두고 접근해야하는 요소 등에 대한 시사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in this paper, which is part of a bigger study investigating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at the 4-12 grade levels, aims to identify the influential characteristics that explain students' decision to give up on mathematics learning. We consider seven non-cognitive stu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과학창의재단(2015)은 수학포기에 대한 인식 조사의 필요성에 따라 해당 학생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과정에서 정의적 영역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학습 실태 조사 과정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 수학학습 포기 인식에 미치는 정의적 영역 요인을 분석하고 또한 정의적 영역 요인 간의 경로 분석을 통해 인과 관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들의 수학학습에 관한 정의적 영역 실태 조사 연구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정의적 요인 중 어느 요인이 수학 포기 인식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지, 그리고 가장 근간이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정의적 영역의 각 요인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 수학포기에 이르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들의 수학학습에 관한 정의적 영역 실태 조사 연구의 일환으로 시도되었다. 정의적 요인 중 어느 요인이 수학 포기 인식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지, 그리고 가장 근간이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정의적 영역의 각 요인들이 어떤 경로를 통해 수학포기에 이르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학학습 포기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의적 영역 요인으로는 가치, 흥미, 학습태도, 외적 동기, 내적 동기, 학습의지, 효능감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는 한국과학창의재단(2015)에서 수학학습 포기 인식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개발 과정에서 도출된 요인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의적 영역은 어떤 요소를 포함하는가?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은 태도(attitudes), 신념(beliefs), 가치(value), 감정(emotion)과 같은 요소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수학교과의 내용 영역에 대한 인지(cognition)와는 다른 개념으로 정의된다(Dubois, 1990; McLeod, 1992; DeBellis & Goldin, 2006). 수학은 이러한 정의적 영역과 가장 높은 관계를 보이는 교과로써,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가 개선되지 않으면 수학 학습을 기피하게 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적 능력의 지속적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결국 학생 개인의 경쟁력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도 저하 될 우려가 있다.
수학 교육계에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수학에 대해 흥미나 긍정적 태도가 낮다는 우려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근래 들어 수학 교육계에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이 수학에 대해 흥미나 긍정적 태도가 낮다는 우려에 따라(이미경 외, 2004, 2007), 정의적 영역 함양에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추세이다(예, 공민숙·강윤수, 2014; 김부미, 2016; 송정범 이태욱, 2011).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시 수학 교육의 목표 중 하나를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 자신감, 가치 인식 등과 같은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육성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정의적 영역 함양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교육부, 2015).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가 개선되지 않으면 어떤 우려가 있는가?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은 태도(attitudes), 신념(beliefs), 가치(value), 감정(emotion)과 같은 요소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수학교과의 내용 영역에 대한 인지(cognition)와는 다른 개념으로 정의된다(Dubois, 1990; McLeod, 1992; DeBellis & Goldin, 2006). 수학은 이러한 정의적 영역과 가장 높은 관계를 보이는 교과로써,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가 개선되지 않으면 수학 학습을 기피하게 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적 능력의 지속적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결국 학생 개인의 경쟁력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도 저하 될 우려가 있다. 김수진 외(2014) 연구에서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를 유지시키는 것은 학생들의 성취도 저하를 막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으며, 또한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은 높은 성취도를 보이는 학생에게 더 긍정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고호경 외 (2017). 수학나눔지원단 운영.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017-1. (Ko, H. K. et al. (2017). Managing the mathematics learning support group.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Research Report, 2017-1.) 

  2. 공민숙.강윤수 (2014). GeoGebra를 활용한 극한 지도가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 17(4), 697-716. (Gong. M. S. & Kang. Y. S. (2014). Effects of Teaching of Limit Using GeoGebra to High School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7(4), 697-716.) 

  3.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번]. (Korea Ministry of Education (2015). Mathematics Curriculum, Bulletin, No. 2015-74. [Supplement No. 8]) 

  4. 남진영 (2014). 수학의 가치 교육: 폴라니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1), 63-81. (Nam. J. Y. (2014). Teaching of the value of mathematics : in the perspective of Michael Polanyi's philosophy. Journal for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18(1), 63-81.) 

  5. 김부미 (2016).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학교수학, 18(2), 397-423. (Kim. B. (2016). Development of Program for Enhancing Learners'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and Analysis of Its' Effects. School Mathematics, 18(2), 397-423.) 

  6. 김상화.방정숙 (2007). 수학을 왜 배우는가? : 초등학생들의 이해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7(4), 419-436. (Kim. S. H. & Pang. J. S. (2007). Why Study Mathematics? - Focused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 -.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7(4), 419-436.) 

  7. 김수진.김경희.박지현 (2014). 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변화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3), 683-701. (Kim, S. J., Kim, K. H., & Park, J. H. (2014). The effect of mathematics achievement on changes in mathematics interest and valu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8(3), 683-701.) 

  8. 방정숙.조수윤 (2016). 한국 학생들의 수학과 수학 학습에 대한 가치 인식: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 학회지 시리즈 A , 55(4), 467-484. (Pang. J. S. & Cho. S. (2016). An Investigation of What Korean Students Valued with regards to Mathematics and Mathematics Learning: A Study with Sixth and Ninth Grader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4), 467-484.) 

  9. 송정범.이태욱 (2011).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이 학업성취, 교과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5(1), 11-22. (Song, J. B. & Lee, T. W. (2011). The Effect of STEM Integration Education Using Educational Robo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5(1), 11-22.) 

  10. 우연경.김성경.최영인 (2016). 초등학생의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이 학습참여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국어와 수 학 비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2), 457-474. (Woo. Y. K., Kim. S. K., & Choi, Y. (2016). Specificity of Task Value in Predicting Students' Cognitive Engagement and Achieve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2), 457-474.) 

  11. 이광상.임해미.박인용.서민희.김부미(2016).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 설문 문항 개발. 교육과정평가연구, 19(4), 45-70. (Lee, G., Rim, H., Park, I., Seo, M., & Kim. B. (2016).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urvey Items for Affective Domain in Mathematics of NAEA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9(4), 45-70.) 

  12. 이미경 외 (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연구보고 RRE 2004-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Lee, M. K., et al. (2004). The PISA 2003 Results-An Analysis of performances and influences on Mathematical Literacy, Reading Proficiency, Scientific Literacy. Report, RRE 2004-2-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ducation.) 

  13. 이미경 외 (2007). OECD/PISA 평가틀 및 공개 문항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7-24. (Lee, M. K., et al. (2007). An Analysis of the Assessment Rubric for and Released Items of OECD/PISA. Report, ORM 2007-24.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ducation.) 

  14. 이민희.임해미 (2013). 수학사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젝트기반학습(STEAM PBL)의 설계 및 효과 분석, 학교수학, 15(1), 159-177. (Lee, M. & Rim, H. (2013). A Design and Effect of STEAM PBL based on the History of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15(1), 159-177.) 

  15. 이재학?정상권?김선희?최민식?원유미?김영진, 고호경 (2013).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중학교 기하영역 자료 개발 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27(3), 341-356. (Lee, J. H., Chung, S. K., Kim, S. H., Choi, M. S., Won,, Y. M., Kim, Y. J., & Ko, H. K. (2013). Development of Meterial for Middle School Geometry using Storytelling.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3). 235-249.) 

  16. 이종희.김부미 (2010). 수학 학습 동기와 귀인의 측정 도구 개발 및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0(3), 413-444. (Lee, C. H., & Kim. B. (2010). Instrument Development and Analysis for Mathematical Learning Motivation and Causal Attribu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0(3), 413-444.) 

  17. 이종희.김수진 (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학교수학, 12(2), 219-237. (Lee, C. H., & Kim. S. (2010). Analysis of Affective Factors on Mathematics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ISA2003. School Mathematics, 12(2), 219-237.) 

  18. 이종희.김선희.김수진.김기연.김부미.윤수철.김윤민 (2011).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학교수학, 50(2), 247-261. (Lee, C. H., Kim, S. H.. Kim, S. J. Kim, K. Y., Kim, B. M Yun, S. C., & Kim, Y. M. (2011).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n affective inventory in Mathematical Learn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2), 247-261.) 

  19. 임해미 (2016).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가 수학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학연구, 26(4). 701-714. (Rim, H. (2016).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itudes, Parental Expectations,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cusing on Mathematic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4). 701-714.) 

  20. 조현철 (2011)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 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연구, 25(1), 33-60. (Cho, H. C. (2011). The effects of academic motivation, self-determination, goal orientation, self-perception, implicit theory of intellig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learning attitude, behavior and outcom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hycology. 25(1), 33-60.) 

  21. 주영주.이종희.김선희 (2011). 수학교과에서 남녀 집단 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 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영 향력 차이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5(4), 1019-1041. (Ju. Y., Lee, C. H., & Kim, S. H. (2011). A Comparison Stud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External Motivation, and Mathematics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Curriculum, 15(4), 1019-1041.) 

  22.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수학학습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015-12.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5).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Mathematics Learning. Research Report, 2015-12.) 

  23. Bandura, A. (1988). Self-regulation of motivation and action through goal systems. In V. Hamilton, G. H. Bower, & N. H. Frijda (Eds.), Cognitive perspectives on emotion and motivation (pp. 37-61).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4. Bandura, A. (1993).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25. Collins, J. L. (1982). Self-efficacy and ability in achievement behaviour.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York. 

  26. DeBellis, V. A., & Goldin, G. A. (2006). Affect and meta-affect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representational perspectiv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131-147. 

  27. Dubois, D. J.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ed student team learning strategies and student achievement and attitude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Houston. Ed. 

  28. Fennema, E., & Sherman, J., A. (1976). Fennema-Sherman mathematics attitude scales: Instruments designed to measure attitudes toward the learning of mathematics by females and mal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7(5), 324-326. 

  29. Haladyna. T., Shaughnessy. J., & Shaughnessy. J. M.(1983). A causal Analysis of attitude toward mathe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4(1), 19-29. 

  30. Hannula, M. S. (2006). Affect in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In J. Maass & W. Schloglmann (Eds.), New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pp.209-232. Rotterdam: Sense 

  31. Ko, H., & Yi, H.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Student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2(6), 509-521. 

  32. Locke, E.A., & Latham, G.P. (1990). A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3. McLeod, D. B. (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a reconceptualization. In D. A. Gouwe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575-596), Macmillan, NY. 

  34. Randhawa, B. S., Beamer, J. E., & Lundberg, I. (1991). Role of mathematics self-efficacy in the structural model of mathematics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 41-48. 

  35. Sandman, R. S. (1980). The mathematics attitude inventory: Instrument and User's manual.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1(2), 148-149. 

  36. Schunk, D. H. (1989).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behavior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 173-208. 

  37. Schunk, D. H. (1991).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207-231. 

  38.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39. Wood, R. E., & Locke, E. A. (1987).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and grade goals to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7, 1013-1024. 

  40. Zarch, M. K., & Kadivar, P. (2006). The role of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bility in the structural model of mathematics performance. WSEAS Transactions on Mathematics, 6, 713-7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