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질병 적응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Peoples' Adaptation Experience with Fibromyalgia Syndrom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2, 2016년, pp.381 - 393  

정추영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명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통해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질병경험과 적응과정을 파악하고 이해하여 실체이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개의 종합병원 류마티스 내과 외래에서 섬유근통증후군를 치료 중인 13명(여성 12명과 남성 1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4년 1월부터 5월까지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론적 표본추출법은 이론적 포화의 시점을 적용하였다. 필사된 면담의 내용은 Corbin과 Strauss (2008)의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을 통해 총 98개 개념과 26개 하위범주, 10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질병 적응과정은 '불확실성과 한계상황인식'과 '자기통제 가능성 평가와 기대수준 결정', '적응전략 개발과 시도', '자기조절'의 4단계로 나타났다. 섬유근통증후군환자의 질병적응 유형은 확장형과 안정형, 표출형, 위축형의 4가지 유형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핵심범주인 '자기조절법 터득하기'로부터 '보호적 자기조절' 이론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섬유근통증후군 환자들은 질병으로 인해 불확실한 상황에서 안정상태를 찾기 위해 자기조절을 반복적으로 활용하여 적응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대상자들의 질병 적응 유형에 따른 적합한 간호중재 및 가족을 포함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was a qualitative study to explore and better understand the adaptation experience and processes of peoples with fibromyalgia syndrome (FMS), as well as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re were 13 patients (12 females and 1 male) who received FMS treatment f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유근통증후군은 무엇인가? 섬유근통증후군(Fibromyalgia Syndrome:FMS)은 전신 통증을 유발하는 만성 난치성 질환으로 의료인들조차도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가 드물고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실정이다[1]. 국외 유병률은 5%이상이나, 국내는 약 2.
섬유근통증후군의 증상은 무엇인가? 섬유근통증후군은 광범위한 근골격계의 통증과 피로감, 비회복성 수면, 조조강직, 우울, 기억력과 집중력 저하 등이 나타나며[3], 이러한 증상은 스트레스와 기온변화, 수면량 등에 의해 매우 다양하게 변화하고 그 범위와 강도가 불규칙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신으로 확대되고 심화되는 양상을 보인다[4].
섬유근통증후군의 국내외 유병률은 어떠한가? 섬유근통증후군(Fibromyalgia Syndrome:FMS)은 전신 통증을 유발하는 만성 난치성 질환으로 의료인들조차도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가 드물고 국내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실정이다[1]. 국외 유병률은 5%이상이나, 국내는 약 2.2%정도로 류마티스 내과 외래 환자의 10%~25%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성보다 여성 유병률이 8~9배 높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통증 정도와 유병률이 증가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 H. Kim, S. W. Jung. "Psychiatric Approach of Fibromyalgia", Journal of Rheumatic Diseases, vol. 18, no. 4, pp. 242-252, 2011. DOI: http://dx.doi.org/10.4078/jrd.2011.18.4.242 

  2. S. H. Kim, G. R. Bae, H. S. Lim,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Fibromyalgia Syndrome and Chronic Widespread Pain in Two Communities in Korea-First Report in Korean", Journal of Rheumatic Diseases, vol. 13, no. 1, pp. 18-25, 2006. 

  3. D. L. Goldenberg, "Diagnos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fibromyalgia", American Journal Medicine, vol. 122, no. 12, pp. 14-21. 2009. DOI: http://dx.doi.org./10.1016/j.amjmed.2009.09.007 

  4. R. R. Edwards, C. O. Bingham, J. Bathon, J. A. Haythornthwaite, "Catastrophizing and pain in arthritis, fibromyalgia, and other rheumatic diseases", Arthritis Rheumatology, vol. 55, pp. 325-332, 2006. DOI: http://dx.doi.org/10.1002/art.21865 

  5. L. M. Arnold, D. J. Clauw, B. H. McCarberg, "Improving the recognition and diagnosis of fibromyalgia", Mayo Clinic Proceeding, vol. 86, pp. 457-464, 2011. DOI: http://dx.doi.org/10.4065/mcp.2010.0738 

  6. M. C. Raymond, J. B. Brown, "Experience of fibromyalgia", Canadian Family Physician, vol. 46, no. 5, pp. 1100-1106, 2000. 

  7. K. ,Kato, P. F. Sullivan, B. Evengard, N. L. Pedersen, "Chronic widespread pain and its comorbidities: a population-based stud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 166, pp. 1649-1654, 2006. DOI: http://dx.doi.org/10.1001/archinte.166.15.1649 

  8. P. Knaster, H. Karlsson, A. M. Estlander, E. Kalso, "Psychiatric disorders as assessed with SCID in chronic pain patients: the anxiety disorders precede the onset of pain", In General Hospital Psychiatry, vol. 34, no. 1, pp. 46-52, 2012. DOI: http://dx.doi.org/10.1016/j.genhosppsych.2011.09.004 

  9. P. Elena, J. S. ,Calandre1, M. Juan, L. Garcia, H. Javier, M. Carmen, et. al. "Suicide attempts and risk of suicide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 a survey in Spanish patients", Oxford Journals Medicine Rheumatology, vol. 50. no. 10, pp. 1889-1893, 2011 DOI: http://dx.doi.org./10.1093/rheumatology/ker203 

  10. J. L. Wilbarger, D. B. Cook, "Multisensory hypersensitivity in women with ibromyalgia: implications for well being and interven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vol. .92, no. 4, pp. 653-656, 2011.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10.10.029 

  11. J. Paivi, S. Lisa, S. Karin, S. Siv, "The Workplace Experiences of Women with Fibromyalgia", Musculoskeletal Care, vol. 14, no. 2, pp. 69-76, 2016. DOI: http://dx.doi.org/10.1002/msc.1125 

  12. S. G. Hofmann, J. A. Smits,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adult anxiety disorder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vol. 69, pp. 621-632, 2008. DOI: http://dx.doi.org/10.4088/JCP.v69n0415 

  13. I. J. Russell, "Fibromyalgia syndrome: approach to management", Primary Psychiatry, vol. 13, no. 5, pp. 27-33. 2008. DOI: http://dx.doi.org/10.1017/s109285290002681x 

  14. Rooks, D. S., Gautam, S., Romeling, M., Cross, M. L., Stratigakis, D., Evans, B., et al. "Group Exercise, Education, and Combination Self-management in Womenw with Fibromyalgia",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 167, no. 20, pp. 2192-2200, 2007. DOI: http://dx.doi.org/10.1001/archinte.167.20.2192 

  15. K. A. Cho, S. S. Han, "The Effect of a Self-Help Program for Patient with Fibromyalgia",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 7, no. 4, pp. 264-275, 2007. 

  16. S. S. Han, W. S. Bak, H. I. Yang, "The Effect of a Tai-Chi Self-helf Program for Fibromyalgia Patient",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 14, no. 2, pp. 169-180, 2007. 

  17. H.Y. Lee, W. S. Bak, J. H. Choi, S. H. Lee, A. Y. Eom, "Impact of a Cryotherapy and Tai Chi Self-help Program on Women with Fibromyalgia Syndrom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3, no. 1, pp. 10-19, 2011. 

  18. P. Asbring, A. L. Narvanen, "Women's experiences of stigma in relation to chronic fatigue syndrome and fibromyalgia",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 12, no. 2, pp. 148-160, 2002. 

  19. K. M. Schaefer, "The lived experience of fibromyalgia in African American women", Holistic Nursing Practice, vol. 19, no. 1, pp. 17-25, 2005. DOI: http://dx.doi.org/10.1097/00004650-200501000-00007 

  20. J. M. Sturge, "The experience of living with fibromyalgia: confronting an invisible disability",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vol. 16, no. 1, pp. 19-21. 2002. DOI: http://dx.doi.org/10.1891/rtnp.16.1.19.52994 

  21. J. Corbin, A. Strauss,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3nded)", Losangeles:Sage; 2008. 

  22. .E. G. Guba, Y. S. .Lincoln,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1981. 

  23. M. M. Cunningham, C. Jillings, "Individuals' descriptions of living with fibromyalgia",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5, no. 4, pp. 258-273, 2006. DOI: http://dx.doi.org/10.177/cnr.1054773806291853 

  24. T. K. Traska, D. N. Rutledge, M. Mouttapa, J. Weiss, J. Aquino, "Strategies used for managing symptoms by women with fibromyalgia",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21, pp. 626-635, 2010. DOI: http://dx.doi.orgr/10.1111/j.1365-2702.2010.03501.x 

  25. S. J. Kwon, "Disease Experiences of Patients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012. 

  26. E. H. Kang, "Experiences after bereavement of the main family member in DNR decis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2011. 

  27. E. J. Park, "The adaptation experience of hemodialysis on women with End-Stage Renal Dise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2014. 

  28. K .Mannerkorpi, T. Kroksmark, C. Ekdahl, "How patients with fibromyalgia experience their symptoms in everyday life", Physiotherapy Research International. vol. 4, no. 2, pp. 110-122, 1999. DOI: http://dx.doi.org/10.1002/pri.157 

  29. C. Van Liew, K. C. Brown, T. A. Cronan, S. M. Bigatti,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Depression and Pain in Fibromyalgia Syndrome: Does Initial Depression Matter?", Journal of Musculoskeletal Pain, vol. 21, no. 2, pp. 113-125, 2013. DOI: http://dx.doi.org/10.3109/10582452.2013.797536 

  30. J. S. Choi, S. M. Cho, K. Y. Lim, K. R. Han, "MMPI Profiles and the other Psychometric Ch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4, no. 2, pp. 313-327, 2009. DOI: http://dx.doi.org/10.17315/kjhp.2009.14.2.006 

  31. N. K. Tang, C. Crane, "Suicidality in chronic pain: a review of the prevalence, risk factors and psychological links", Psychological Medcine, vol. 36, no. 5, pp. 575-586, 2006. DOI: http://dx.doi.org/10.1017/S0033291705006859 

  32. T. Yolanda, G. V. Alberto, G. P. Claudio, T. Maria, "Suicidality in Chronic Pain: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Fibromyalgia", Pain Practice, vol. 15, no. 4, pp. 323-332, 2015. DOI: http://dx.doi.org/10.1111/papr.12186 

  33. A. Muller, K. Muller, K. Blumenstie, C. Bieber, "The Concept of Self-efficacy as Important Predictor of Long-term Therapeutic Success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 Aktuelle Rheumatologie, vol. 29, no. 2, pp. 101-108, 2004. 

  34. L. M. Torma, G. M. Houck, G. M. Wagnild, D. Messecar, K. D. Jones, "Growing Old With Fibromyalgia Factors That Predict Physical Function", Nursing Research, vol. 62, no. 1, pp. 16-24, 2013. DOI: http://dx.doi.org/10.1097/NNR.0b013e31826ba3cay 

  35. H. K. Lempp, S. L. Hatch, S. F. Carville, E. H. hoy, "Patients' experience of living with and receiving treatment for fibromyalgia syndrome: a qualitative study", BioMedCental Musculoskelectal Disorders, vol. 10, 124, 2009. DOI: http://dx.doi.org/10.1186/1471-2474-10-124 

  36. K. Mannerkorpi, G. Gard, "Physiotherapy group treatment for patients with fibromyalgia an embodied learning proces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no. 24, pp. 1372-1380, 2003. DOI: http://dx.doi.org/10.1080/09638280310001616367 

  37. M. J. Kang, "Study about empowerment for rare disease patients' self-help group and their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10. 

  38. L. R Hallberg, S. G. Carlsson, "Anxiety and coping in patients with chronic work-related muscular pain and patients with fibromyalgia", Europe Journal Pain, vol. 2, pp. 309-319, 1998. DOI: http://dx.doi.org/10.1016/S1090-3801(98)9002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