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인성,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djustment to a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2, 2016년, pp.634 - 642  

심선숙 (경동대학교 간호학부) ,  방미란 (경동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성,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W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30일부터 6월 9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ann-whitney U-test, Kruskal-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인성 수준은 평균 4.42점(범위 1-6점), 대인 관계는 평균 3.70점(범위 1-5점), 대학생활 적응은 평균 3.33점(범위 1-5)으로 중간수준 이상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인성, 대인 관계,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는 대학생활 적응과 인성(r=.506, p<.001), 대학생활 적응과 대인관계(r=.585,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정도의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가 좋을수록, 인성의 행동 영역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46%로 나타났다(F=75.28, p<.001).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간호교육과정 개발 시 간호대학생의 인성 특성을 고려할 것과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charact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university nursing students as well 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college life. A self-report typ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80 nursing students in a city betw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성, 대인관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성, 대인관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인성,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를 파악하며,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성,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인성과 대학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방안 마련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성이란? 인성(人性)이란 각 개인이 가지는 사고와 태도 및 행동 특성[5]을 의미하며, 인간성, 인격, 성품, 기질, 사람됨됨이, 인간의 본성 등의 용어와 유의어로 사용되고 있다[6]. 간호에서의 인성은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품성으로 이는 Nightingale이 인간을 간호하기 위해 좋은 인성은 필수 조건이라고 교육한 것에서부터 강조되었다.
인성이 어떤 용어의 유의어로 사용되는가? 인성(人性)이란 각 개인이 가지는 사고와 태도 및 행동 특성[5]을 의미하며, 인간성, 인격, 성품, 기질, 사람됨됨이, 인간의 본성 등의 용어와 유의어로 사용되고 있다[6]. 간호에서의 인성은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품성으로 이는 Nightingale이 인간을 간호하기 위해 좋은 인성은 필수 조건이라고 교육한 것에서부터 강조되었다.
Lee등이 개발한 대학생용 바롬인성척도는 어떤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인성은 Lee등[19]이 개발한 대학생용 바롬인성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총 60개 문항, 3개의 하위 영역 즉, 인지 영역, 정의 영역, 행동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지 영역은 23개 문항(도덕적 인식 4문항, 도덕적가치를 앎 7문항, 도덕적 추론 3문항, 반성적 의사결정3문항, 자기이해 3문항, 주도적 삶에 대한 인식 3문항),정의 영역은 25문항(양심 5문항, 자기존중 4문항, 감정이입 5문항, 선에 대한 사랑 4문항, 자아통제 2문항, 공동체 의식 5문항), 행동 영역 12문항(의지 및 능력 7문항, 습관 5문항)으로 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 K. Lee & D. Y. Jung, "A study of nursing tasks, nurse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hospitals with no guardian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1, no. 3, pp. 287-296, 2015.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3.287 

  2. J. H. Park, "Need of character education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5, no. 6, pp. 3321-3332, 2013. 

  3. H. S. Jeong, & K. L. Lee,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4, no. 5, pp. 2635-2647, 2012. 

  4. M. S. Ko,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coping strategies &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10, pp. 280-291, 2015.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5.15.10.280 

  5.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2016,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eb site. (Available at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6.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Analysis on the Condition of School's Character Education-focusing on Middle Schoo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eoul, 2009. 

  7. S. J. Kim, "A study of a character education plan according to character levels and requirements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vol. 23, no. 2, pp. 1-19, 2016. DOI: http://dx.doi.org/10.15284/kjhd.2016.23.2.1 

  8. M. H. Seong, & E. J. Kim, "An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personality development level and their demand for personality education",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vol. 38, pp. 177-202, 2015. DOI: http://dx.doi.org/10.18850/JEES.2015.38.07 

  9. S. J. Park, & K. H. Ko, "TA study on the personality educational method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vol. 11, no. 1, pp. 35-50, 2014. 

  10. J. H. Lee, M. S. Choi, & H. H. Park,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vol. 16, no. 2, pp. 205-220, 2009. 

  11. Thomas. R. K, Health communication, New York, Springer, 2006. 

  12. S. H. Kim, & G. H. Park, "The development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1, no. 1, pp. 375-393, 2010. DOI: http://dx.doi.org/10.15703/kjc.11.1.201003.375 

  13. W. G. Kim, & H. I. Chung, "Effects of korean enneagram program on the ego-ident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1, no. 4, pp. 393-404, 2015.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4.393 

  14. H. J. An, & B. Y. Chung, "Self-esteem and social anxiety of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2, no. 2, pp. 224-228, 2006. 

  15. H. S. Song, E. S. Na, Y. H. Jeon, & K. I. Jung,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23, no. 1, pp. 72-81, 2016. DOI: http://dx.doi.org/10.21086/ksles.2016.03.23.1.72 

  16. J. W. Lee, & Y. S. Eo, "Effect of clinical stress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7, no. 2, pp. 125-134, 2013. DOI: http://dx.doi.org/10.12811/kshsm.2013.7.2.125 

  17. G. S. Yoon, & S. Y. Kim, "Influence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6, no. 4, pp. 507-516, 2010.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4.507 

  18. F. F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39, pp. 175-191, 2007. DOI: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19. Y. S. Lee, H. Y. Kang, & S. J. Kim, "A validation study of the character index instrument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vol. 31, pp. 261-282, 2013. 

  20. A. Schlein, & B. G. Guerney, "Relationship enhancement", Sanfrancisco, CA: Josey-Bass, 1971. 

  21. S. M. Moon, "A Study on the effect of human relations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vol. 19, no. 2, pp. 195-203, 1980. 

  22. E. I. Jeong, & Y. H. Par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 21, no. 2, pp. 69-92, 2009. 

  23. M. R. Lee, & M. H. Na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influencing factor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6, pp. 509-517, 2014.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4.12.6.509 

  24. H. S. Sim, & S. Y. Ahn, "The influence of ego state and interpersonal skill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2, pp. 269-275, 2015.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12.269 

  25. M. Jung, "Influence of ego states, self esteem, and empath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614-4620,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614 

  26. J. S. Han,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459-4466,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459 

  27. Y. K. Kwag, "Effect of self-esteem,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5, pp. 2178-2186,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5.2178 

  28. S. Y. Je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health status, college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lleg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vol. 11, no. 1, pp. 93-115, 2010. 

  29. E. A. Kim, & K. S. Jang,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regarding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2, pp. 312-322, 2012.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2.312 

  30. E. J. Shin & Y. S. Park,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entoring program designed to assist nursing students adjust to life in college and strengthen their leadership 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595-4603,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595 

  31. S. B. Choi,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creative personality and innovative behaviour and study satisfacti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 31, no. 4, pp. 611-638, 2012. 

  32. S. H. Sok, D. S. Shin, & K. B. Kim,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vol. 15, no. 4, pp. 475-481, 2006. 

  33. J. Y. Ahn, & H. K. Lim, "College adjustment of femal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14, no. 1, pp. 233-239, 2005. 

  34. C. W. Kim, & S. L. Yoo, "Relationships among types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stress level, and adaptation to campus life of education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vol. 8, no. 4, pp. 157-168, 2006. 

  35. G. E. Lee, "Connect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and immersion",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vol. 10, no. 2, pp. 45-59, 2010. 

  36. M. R. Lee, & H. S. Jeon, "Personal types, ego-resilience, and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and health care relat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2, pp. 8861-8869,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2.88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