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전우울 임부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for Perinatal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1, 2016년, pp.271 - 284  

신현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신영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김가은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부의 산전우울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데이터베이스는 CINAHL, PubMed, EMBASE 및 Koreamed,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 등 국내외 domain을 활용하였다. 검색은 ((Perinatal OR Antenatal OR Antepartum OR Pregnant) AND Depression) AND Women AND (CBT OR (Cognitive behavioral AND (Therapy OR Treatment)))와 '산전우울', '임부', '인지행동치료' 등의 검색어로 2016년 5월까지 출판된 문헌을 검토하였다. 분석은 R을 이용한 임의효과모형을 적용하여 산전우울과 불안의 효과크기를 각각 산출하였으며,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검증하기위해 메타 ANOVA를 활용하여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funnel plot, Egger's regression test, fail-safe N, trim-and-fill 분석을 활용한 출간오류분석과 민감성 분석을 실시하여 전체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총 180편의 문헌이 검색되었으며, 선택배제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clinical trials 16편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개별문헌은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 (SIGN)의 checklist를 통해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였으며, 대체로 비뚤림 위험은 낮았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중재의 산전우울에 대한 효과크기는 Hedges' g=-0.55(95% CI: -0.76~-0.3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불안에 대한 효과크기는 Hedges' g=-0.20(95% CI: -0.48~-0.08)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문헌의 이질성, 출판오류의 위험성 등은 낮았다. 본 메타분석결과에 의하면 인지행동치료는 임신부의 산전우울 증세 완화에 보통 정도의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CBT for perinatal depression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The following databases were used to search the literature: CINAHL, PubMed, EMBASE, Koreamed, Library of Korean Congress, KISS, and Korean Academic Public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산전우울 임부를 위한 비약물적 중재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한 선행연구에서는 인지행동치료 중재가 다양한 산전우울 중재 중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는 방향성만 제시되었다[14]. 따라서 본 연구는 임부의 산전우울에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인지행동치료 중재 연구들을 포함하여 중재유형별 효과의 체계적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0001)[18].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각 연구 간 효과크기가 서로 다른 배경, 즉 효과크기 이질성의 배경에 대한 탐색적 설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연구 설계 유형, 중재유형, 개입방법, 중재횟수, 개입시간, 중재가 제공된 임상영역, 측정도구를 조절변수(moderators)로 하여 메타 ANOVA를 실시하였다[Table 2].
  • 따라서 본 연구는 임부의 산전우울에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인지행동치료 중재 연구들을 포함하여 중재유형별 효과의 체계적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산전우울 임부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계량적으로 종합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특성과 효과의 객관적 유용성을 판단하여 근거기반의 실천적 및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6년 5월까지 국내외 DB를 통해 인지행동치료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논문을 검색한 결과 180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나, 선택배제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16편의 문헌이 본 분석에 포함되었다.
  • 본 연구는 산전우울과 불안에 적용된 인지행동치료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계량적으로 종합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특성과 효과의 객관적 유용성을 판단하여 근거기반의 실천적 및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발표된 산전우울 임부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중재연구 16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 중재프로그램이 임신 중 여성의 산전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인지행동치료 중재논문의 연구결과들을 대상으로 인지 행동치료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메타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신 중 여성의 산전우울, 불안증상 문제를 다루기 위한 인지행동치료 중재를 제공한 논문들을 국내·외 학술 검색 데이터베이스의 온라인 검색과 참고문헌의 수기검색을 병행하면서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 적합한 논문을 선택하기 위하여 문헌선정 작업을 시작하기 전 예비검사(pilot test)를 실시하여 이전의 메타분석 연구들이 밟은 절차를 참고하여 시행착오를 최대한 줄이려고 하였다. 문헌선정 과정은 4단계를 거쳤으며 1차 단계에서는 2016년 5월까지 국내·외에서 인지행동치료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석·박사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의 전수를 검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전우울 임부를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평가한 개별연구’들을 토대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실무적용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인지행동치료는 부정적인 사고에 중점을 두어 이를 수정함으로써 발전적이고 합리적인 생각으로 변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으로 우울 및 불안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종종 사용되어왔다[13,23,24].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등에 적용한 인지행동치료 중재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에서 큰 효과가 있었다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24] 산전우울과 불안에서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산전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된 중재유형으로 인지행동치료 단독 시행과 병합 중재방법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후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효과적인 방법을 설명하시오. 최근 산전우울을 치료하고 예방하기위한 중재방법 중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가 효과적임이 보고되고 있다[12]. 인지행동치료는 우울한 사람들의 부정적 사고에 중점을 두고 자신의 사고방식이 얼마나 부정적이고 비합리적인지 또는 이러한 생각이 자신의 적응에 얼마나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인식하게 해준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인지기법 및 행동기법을 적용하여 동일한 상황에서 보다 긍정적이고 자신의 생활에 보다 발전적이고 합리적인 생각으로 변화시켜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우울증을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 중재방법중 하나이다[13]. 그러나 임신 중 여성들의 산전우울을 치료하고 예방하기위해 인지행동치료 중재를 적용한 연구는 많지 않아, 인지행동치료의 중재 효과를 종합적이고 통합적으로 고찰한 메타분석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산전우울의 정의는? 임신한 여성들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고, 변화된 상황에 새롭게 적응하는 과정에서 정신적, 감정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임신 및 출산에 따르는 호르몬의 변화는 여성의 감정을 심하게 변화시키고, 우울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1]. 산전우울은 임신기간 동안 느껴지는 기분 저하, 즐거움 상실, 자책, 낮은 자아 존중감, 수면, 식욕, 집중력 저하와 같은 증상들을 포함하는 정서적 변화를 의미하는데[2], 이와 같은 산전우울은 현대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문제의 하나로 간주될 뿐 아니라, 주산기 주요 정신건강 문제 중 하나로 제기되고 있다.
산전우울의 형태와 산전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들은? 특히 산전우울은 단일형태의 장애가 아니라 생물학적, 정신적, 사회적, 관계적, 경제적, 상황적 생활스트레스 등 내․외적 스트레스원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3], 유산이나 조산 경험, 선천성 기형아 분만경험, 계획하지 않은 임신과 같은 산과적 특성[4]이나, 생활사건 스트레스, 자아 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같은 사회적 요인[3,5]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elpguide, Depression in women [Internet], California: Helpguide, 2016, Available From: http://www.helpguide.org/mental/depression_women, (accessed June 3, 2016) 

  2. W. A. N. Dorland,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32nd ed.)," Philadelphia: Elsevier Saunders, 2012. 

  3. C. T. Beck,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An update," Nursing Research, 50(5), pp. 275-285, 2001.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200109000-00004 

  4. S. K. Choi, S. Y. Ahn, J. C. Shin, D. G. Jang, "A clinical study of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2(11), pp. 1102-1108, 2009. 

  5. C. A. Lancaster, K. J. Gold, H. A. Flynn, H. Yoo, S. M. Marcus, M. M. Davis, "Risk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during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2(1), pp. 5-14, 2010. DOI: http://dx.doi.org/10.1016/j.ajog.2009.09.007 

  6. C. L. Dennis, K. Allen, "Interventions (other than pharmacological, psychosocial or psychological) for treating antenatal depress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8(4), 2008. DOI: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6795.pub2 

  7. H. W. Kim, Y. Y. Jung, "Effects of antenatal depression and antenatal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on birth outcom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4), pp. 477-485, 2012.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2.42.4.477 

  8. S. Misri, K. Kendrick, T. F. Oberlander, S. Norris, L. Tomfohr, H. Zhang, et al, "Antenatal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postpartum parenting stress: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5(4), pp. 222-228, 2010. 

  9. S. N. Choi, "Mother's variou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fant temperament, nurturing behavior, effect on infant develop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nurtur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8), pp. 5160-5171,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8.5160 

  10. H. L. Zhang, C. Y. Li, H. L. Kim, "Status and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behavior in pregnant women in Yanbian a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1, pp. 7863-7869,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1.7863 

  11. K. S. Bang, "Impact of maternal depression on their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11(1), pp. 15-24, 2008. 

  12. L. E. Sockol,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treating and preventing perinatal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77, pp. 7-21, 2015. DOI: http://dx.doi.org/10.1016/j.jad.2015.01.052 

  13. H. J. Cho,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of postpartum depression: Efficacy of CBT for postpartum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2(3), pp. 39-49, 2004. 

  14. A. Rahman, J. Fisher, P. Bower, S. Luchters, T. Tran, M. T. Yasamy, et al, "Interventions for common perinatal mental disorders in women in low and middle 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91(8), pp. 593-601, 2013. DOI: http://dx.doi.org/10.2471/BLT.12.109819 

  15. R. T. Mercer, L. O. Walker, "A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s foster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5(5), pp. 568-582,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552-6909.2006.00086.x 

  16. S. M. Kwon,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Their commonness and difference in related life events and cognitions," Psychological Science, 5(1), pp. 13-38, 1996. 

  17. S. D. Hwang, "Meta-analysis using R," Seoul: Hakjisa, 2015. 

  18.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50: A guideline developer's handbook [Internet], Edinburgh: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2011, Available From: http://www.sign.ac.uk/guidelines/fulltext/50/index.html, (accessed June 3, 2016) 

  19. J. P. T. Higgins, S. Green,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Internet], London: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Available From: http://handbook.cochrane.org/, (accessed June 3, 2016) 

  20. M. Borenstein, L. V. Hedges, J. P. T. Higgins, H. R. Rothstein,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est Sussex: John Wiley & Sons, 2009. DOI: http://dx.doi.org/10.1002/9780470743386 

  21. M. Egger, G. Davey Smith, M. Schneider, C. Minder,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British Medical Journal, 315(7109), pp. 629-634, 1997. DOI: http://dx.doi.org/10.1136/bmj.315.7109.629 

  22. S. Duval, R. Tweedie,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5(449), pp. 89-98, 2000. DOI: http://dx.doi.org/10.2307/2669529 

  23. H. S. Kim, E. J. Kim,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nxiety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pp. 7273-7284,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1.7273 

  24. A. C. Butler, J. E. Chapman, E. M. Forman, A. T. Beck, "The empirical statu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 review of meta-analyses," Clinical Psychological Review, 26, pp. 17-31, 2006. DOI: http://dx.doi.org/10.1016/j.cpr.2005.07.003 

  25. P. Cuijpers, M. Berking, G. Andersson, L. Quigley, A. Kleiboer, K. S. Dobson, "A meta-analysis of cognitive-behavioural therapy for adult depression, alone and in comparison with other treatments,"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8(7), pp. 376-385, 2013. 

  26. R. Silva, K. Jansen, L. Souza, L. Quevedo, L. Barbosa, I. Moraes, et al, "Sociodemographic risk factors of perinatal depression: A cohort study in the public health care system," Revista Brasileira de Psiquiatria, 34(2), pp. 143-148, 2012. DOI: http://dx.doi.org/10.1016/S1516-4446(12)70031-4 

  27. J. R. Vittengl, L. A. Clark, T. W. Dunn, R. B. Jarrett, "Reducing relapse and recurrence in unipolar depression: A comparative meta-analysi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s effec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5(3), pp. 475-488, 2007. DOI: http://dx.doi.org/10.1037/0022-006X.75.3.475 

  28. E. Jane-Llopis, C. Hosman, R. Jenkins, P. Anderson, "Predictors of efficacy in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mes. Meta-analysi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83, pp. 384-397, 2003. DOI: http://dx.doi.org/10.1192/bjp.183.5.384 

  29. P. Cuijpers, M. Sijbrandij, S. Koole, M. Huibers, M. Berking, G. Andersson, "Psychological treatment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34, pp. 130-140, 2014. DOI: http://dx.doi.org/10.1016/j.cpr.2014.01.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