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사회복지 관련 메타분석 연구의 질 평가
A Quality Assessment of Meta-Analyses Research in Social Work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0, 2016년, pp.158 - 167  

조미경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김희영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련 메타분석 연구를 대상으로 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 (AMSTAR) 도구를 이용하여 질 평가를 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메타분석', '사회복지', '사회사업'을 키워드로하여 2000년부터 2015년에 KISS, DBpia, RISS4U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출판된 연구 중 42개의 메타분석 연구에 대해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독립집단 t-test,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되었다. 평균 AMSTAR 질 평가점수는 $4.76{\pm}1.66$점이었고, 낮은 수준이 19개(45.2%), 중간 수준이 22개(52.4%), 높은 수준이 1개(2.4%)이었다. 질 평가점수는 연구의 특성인 출판년도, 대상자, 분석논문의수, DB의 수, 저널유형, 재정지원 유무, 연구의 질 평가유무, 분석대상논문을 추출흐름도 유무, 주제에 따라 차이가 분석되었다. 질 평가점수는 출판년도, DB의 수, 연구의 질 평가유무, 분석대상논문을 추출흐름도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4개 요인이 메타분석 연구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51.9%의 설명력이 있었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분야 메타분석 연구의 질 향상과 분석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첫째, 메타분석 보고를 위한 공통적이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공유하는 것, 둘째, 근거기반의 실천적 개입을 위해서는 질 평가를 통해 근거강도가 높은 논문의 결과를 메타분석으로 합성하는 것, 셋째, 분석대상 논문의 연구특성을 제시하는 것, 마지막으로 문헌선택과 자료추출 과정에서 두 명이상의 연구자에 의한 독립적 실시와 최종 문헌추출을 위한 합의과정과 이해상충여부가 보고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meta-analysis of social work in South Korea using the 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 (AMSTAR).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Bpia, and RISS4U were searched for 'meta-analysis', 'so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의 질 평가도구로써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AMSTAR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사회복지 분야 메타분석 연구의 질 평가를 실시하고 사회복지실천연구에서 메타분석 연구의 질 향상 방안을 제시하며 더 나아가 근거기반실천에 기반을 둔 사회복지실천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사회복지 분야에서 2000년부터 최근 2015년 12월까지 출간된 메타분석 연구물을 AMSTAR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메타분석의 방법론적인 질향상 방안을 제시하고 근거기반 사회복지실천 향상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 사회복지분야에서 출간된 42개 메타 분석 논문의 질 평가를 실시하고 사회복지분야에서의 메타분석 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AMSTAR질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사회복지분야에서 메타분석 연구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에 포함된 42개 논문을 대상으로 질 평가를 실시한 결과 질 평가 점수의 평균은 4.
  •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련 메타분석 연구를 AMSTAR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의 방법론적 검증과 연구의 질 평가를 위한 11개의 항목들로 구성된 AMSTAR(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를 사용하고자 한다. 기존 도구에 비해 간결하고 사용이 용이하고[11-12].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관련 메타분석 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 질 평가도구인 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AMSTAR) 평가기준에 따라 질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메타분석 방법론적인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넷째, AMSTAR는 ‘개별연구의 결과를 결합한 방법이 적절하였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복지에서 근거기반실천 모델은 무엇을 실천하라 제시하는가? 최근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개입 효과성 확보와 클 라이언트 중심의 개입을 강조하면서 근거기반실천 (evidence-based practice)모델에 근거한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1-2]. 이러한 사회복지 분야의 근거기반실천은 조사연구, 실험연구, 메타분석과 같은 과학적 지식의 활용을 강조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들을 증거로 활용하여 사회복지실천개입을 체계적으로 실현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3]. 특히, 메타분석은 다양한 개별연구결과를 체계적이고 계량적으로 종합하고 분석하여 개입의 효과를 도출하는 가장 높은 수준의 과학적 근거를 제고하는 연구방법[2,4]이다.
메타분석은 어떤 기법인가? 메타분석은 특정 주제에 관련해 연구 대상의 표집, 측정도구, 자료분석 방법을 달리한 개별 연구들의 다른 결과로부터 개입효과크기를 얻어내고 통계적으로 종합하여, 연구결과의 객관적인 일반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의 통합(research synthesis) 기법이다[7]. 그러나 메타분석은 동질성과 타당성이 높거나 낮은 다른 개별 연구들을 종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연구물 선택의 편차 및 독립성 가정위반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왜곡된 결론을 도출할 가능성에 대한 비판을 받고 있다[7].
사회복지 메타분석에서 공통적이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사회복지분야에서 근거기반의 사회복지를 강조하는 만큼 메타분석을 통한 연구결과의 근거를 확인하려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메타분석 연구 질평가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지연구 분야 안에서 메타분석을 위한 공통적이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M. Kim, M. J. Park, "A study on social worker attitude toward the adop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 23, no. 2, pp. 281-303, 2007. 

  2. S. D. Hwang, "Valid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 attitude scal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 27, no. 4, pp. 77-97, 2011. 

  3. Z. Gellis, W. J. Reid, "Strengthening evidence-based practice", Brief Treatment and Crisis Intervention, vol. 4, no. 2, pp. 155-165, 2004. DOI: http://dx.doi.org/10.1093/brief-treatment/mhh012 

  4. G. V. Glass,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vol. 5, no. 10, pp. 3-8, 1976. DOI: http://dx.doi.org/10.3102/0013189X005010003 

  5. L. Videka-Sherman, "Meta-analysis of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in mental health", Social Work, vol. 33, no. 4, pp. 325-338, 1988. 

  6. K. Gorey, B. Thyer, D. Pawluck, "Differential effectiveness of prevalent social work practice models: a meta-analysis", Social Work, vol. 43, no. 3, pp. 269-278, 1998. DOI: http://dx.doi.org/10.1093/sw/43.3.269 

  7. S. S. Oh, Meta analysis : Theory and practice, pp. 1-283, Konkuk publisher, Seoul, 2011. 

  8. D. J. Cook, D. L. Sackett, W. O. Spitzer, "Meteorologic guidelines for systematic review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health care from the Postdam consultation on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vol. 48, no. 1, pp. 167-171, 1995. DOI: http://dx.doi.org/10.1016/0895-4356(94)00172-M 

  9. D. Moher, D. J. Cook, S. Eastwood, I. Olkin, D. F. Stroup, "Improv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metal-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e QUORUM statement", The Lancet, vol. 357, no. 27, pp. 1896-1900, 1999.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99)04149-5 

  10. S. D. Park, I. S. Shin, "A review of meta-analysis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4, no. 2, pp. 393-412, 2014. DOI: http://dx.doi.org/10.18023/kjece.2014.34.2.018 

  11. Y. S. Song, M. H. Gang, S. A. Kim, I. S. Shin, "Review of meta-analysis research on exercise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4, no. 5, pp. 459-470, 2014.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4.44.5.459 

  12. B. J. Shea, C. Hamel, G. A. Wells, L. M. Bouter, E. Kristjansson, J. Grimshaw, D. A. Henry, M. Boers, "AMSTAR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tool to asses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vol. 62, no. 10, pp. 1013-1020, 2009. DOI: http://dx.doi.org/10.1016/j.jclinepi.2008.10.009 

  13. J. H. Kim, A. K. Kim, "A quality assessment of meta-analyses of nursing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an Academy of Nursing, vol. 43, no. 6, pp. 736-745, 2013.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736 

  14. I. S. Shin, E. Y. Park, "Review of the meta-analysis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field",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y, vol. 54, no. 4, pp. 157-176, 2011. 

  15. Y. S. Song, M. H. Gang, S. A. Kim, "Methodological quality of meta-analyses on the elderly in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vol. 28, no. 4, pp. 349-370, 2014. DOI: http://dx.doi.org/10.18398/kjlgas.2014.28.4.349 

  16. C. Mikton, A. Butchart, "Child maltreatment prevention: a systematic review of reviews",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vol. 87, no. 5, pp. 353-361, 2009. DOI: http://dx.doi.org/10.2471/BLT.08.057075 

  17. J. A. Bellon, P. Moreno-Peral, E. Motrico, A. Rodriguez-Morejon, A. Fernandez, A. Serrano-Blanco, E. Zabaleta-del-Olmo, S. Conejo-Ceron,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and/or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prevent the onset of episodes of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eventive Medicine, vol. 76, pp. 522-532, 2015. DOI: http://dx.doi.org/10.1016/j.ypmed.2014.11.003 

  18. S. Y. Kim, J. E. Park, H. J. Seo, H. S. Seo, H. J. Sohn, C. M. Shin, Y. J. Lee, B. H. Jang, D. S. Heo,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pp. 1-287, 2011. 

  19. S. D. Lee, S. J. Kim, D. M. Yeum, "Discussion and proposal for metal-analysis papers of social welfare field",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1, pp. 209-222, 2014.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1.209 

  20. B. J. Shea, J. M. Grimshaw, G. A. Wells, M. Boers, N. Andersson, C. Hamel, A. C. Porter, P. Tugwell, D. Moher, L. M. Bouter, "Development of AMSTAR: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systematic reviews", BioMed Central Medical Research Methodology, pp. 7-10, 2007. DOI: http://dx.doi.org/10.1186/1471-2288-7-10 

  21. M. O. Suh, "The review of meta-analysis and research methodology proposed",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49, no. 2, pp. 1-2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