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for the Practi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6 no.4, 2016년, pp.819 - 834  

이경화 (서울대학교) ,  강현영 (목원대학교) ,  고은성 (전주교육대학교) ,  이동환 (부산교육대학교) ,  신보미 (전남대학교) ,  이환철 (한국과학창의재단) ,  김선희 (강원대학교)

초록

수학교육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방안으로서 평가의 개혁은 최근 과정 중심 평가라는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 과정 중심 평가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것이며 정책적으로도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직 개념화가 명확하게 되지 않은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와 그 실행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 최신 교육 평가 이론과 연구를 바탕으로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과정 중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조건 등을 탐색하여 그 실행 방안을 모델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 수업 현장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실천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method to lead a change in mathematics education, recently reformation of assessment appears as a concept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Process-focused assessment is the concept that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ims for, which is promoted also in policy. This research suggested a sig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lack(1986)은 이와 비교해볼 때 교사들이 학생들이 학습 과정 중 어디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겪는지 정확히 포착하고 이를 이용해 학생들의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울 수 있는 절차와 도구를 고안하고 적용하는 것에 대한 투자가 미흡하다고 지적한다. 과정 중심 평가는 수학 교수ㆍ학습에서 이루어진 지금까지의 평가가 지도 목표와 원활한 상호 순환 관계를 형성하는 데 미흡했음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나온 것이다.
  •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학생은 자신의 학습을 개선할 수 있고, 교사 역시 자신의 수업을 개선할 수 있다. 과정 중심 평가는 학생이 성취기준에 도달했는가를 확인하는 것보다는 성취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어떠한 일이 진행되었는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그러한 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것이다.
  • 과정 중심 평가는 기존의 평가가 지닌 한계점을 극복하고, 최근 교육평가에서 지향하는 교수ㆍ학습과 평가의 상호작용, 그리고 평가의 주요 측면들이 교육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둔 평가이다. 그 목적은 학생의 학습을 돕는 것, 즉 수업의 결과가 아닌 수업 중 나타난 학생의 학습 과정이 평가 대상이어야 하며, 그 결과를 학생에게 알려줌과 동시에 수업에 반영으로써 학생의 더 나은 학습을 모색하도록 하는 평가인 것이다.
  • 본 연구는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과정 중심 평가를 제시한 취지를 분석한 후, 최신 교육 이론과 연구를 중심으로 과정 중심 평가의 방향을 학습으로서의 평가, 형성 평가, 수행평가를 포함한 평가로 제안하였다.
  • 새 교육과정에 과정 중심 평가가 강조되고 여러 정책들에서 용어가 통용되고 있으나,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가 무엇인지는 아직 제안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평가에서 문제시되던 것을 개선하려는 취지로 과정 중심평가가 도입되었다고 보고, 기존의 평가에서 미비했던 점을 과정 중심 평가에서 강조되어야 할 몇 가지 요소로 제안하면서 그 의미를 규정해보려 한다. 여기서는 먼저 학습과 평가의 관계, 형성적 과정으로서의 평가, 수행평가와 대안평가를 고찰한 후 이로부터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평가에서 문제시되던 것을 개선하려는 취지로 과정 중심평가가 도입되었다고 보고, 기존의 평가에서 미비했던 점을 과정 중심 평가에서 강조되어야 할 몇 가지 요소로 제안하면서 그 의미를 규정해보려 한다. 여기서는 먼저 학습과 평가의 관계, 형성적 과정으로서의 평가, 수행평가와 대안평가를 고찰한 후 이로부터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와 실행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과정 중심 평가는 수학 교실 안에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렇다면 교사들에게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와 실행요건, 실제 모습을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의 목적은?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의 목적은 학생들의 학습을 돕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학생들의 학습 향상을 돕는 것이 평가의 주요 목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Harlen, 2012; Harlen,& James, 1997; Swaffield, 2011), 모든 평가가 어떤 식으로든 학생들의 학습 향상과 교수를 위한 유용한 정보 수집에 기여해야 하며, 교수를 위한 정보 수집 역시 학생들의 학습 향상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Harlen, 2012).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평가 방향의 첫 번째 (가)항은? (가) 수학과의 평가는 학습 결과 평가뿐만 아니라 과정 중심 평가도 실시하여 종합적인 수학 학습 평가가 될 수 있게 한다.(교육부, 2015b, p.
목적의 평가위해 무엇을 해야하나? 학생들의 학습 향상을 돕는 것이 평가의 주요 목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Harlen, 2012; Harlen,& James, 1997; Swaffield, 2011), 모든 평가가 어떤 식으로든 학생들의 학습 향상과 교수를 위한 유용한 정보 수집에 기여해야 하며, 교수를 위한 정보 수집 역시 학생들의 학습 향상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Harlen, 2012). 이러한 목적의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가 학습자로부터 이해를 동반한 학습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해야 한다(Harlen & James, 1997). 학습자들이 학습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지, 어떻게 하면 가장 잘 나아갈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증거를 찾고 해석하는 과정(Swaffield, 2011)으로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평가가 교육 목표와 교수ㆍ학습에 종속된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라 평가가 학습 자체의 위치를 선점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박경미 외(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한국과학창의재단. 

  2. 강시중(1995). 교육개론. 서울: 교육출판사. 

  3. 강옥기(2010). 수학과 학습지도와 평가론. 경문사. 

  4.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5. 교육부(2015a).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6. 교육부(2015b). 수학과 교육과정. 

  7. 교육부(2016).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침 일부개정안. (2016. 4. 5.발표). 

  8. 김송자(1991). 초등학교 수학과 수행평가 실천에 관한 연구- 자기평가.관찰평가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종서(1991). 교육연구의 방법. 배영사. 

  10. 노철현(2009). 수행평가의 타당성: 인식론적 재검토.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46, 67-89. 

  11. 박경미 외(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한국과학창의재단. 

  12. 박정(2013) 형성 평가의 재등장과 교육 평가적 시사. 교육평가연구, 26(4), 719-738. 

  13. 백순근(2000). 수행평가의 원리. 서울: 교육과학사. 

  14. 백순근(2002). 수행평가: 이론적 측면. 서울: 교육과학사. 

  15. 성태제, 임현정 (2014) 형성 평가의 재인식에 따른 교사와 학교교육의 변화를 위한 제언. 교육평가연구, 27(3), 597-615. 

  16. 손정화, 강옥기(2012). 수학교육의 교수.학습 참평가 모형 및 예시 도구 개발; 프로젝트법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4(1), 109-134. 

  17. 손정화, 강옥기(2013). 학교수학에서의 참평가 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15(1), 77-99. 

  18. 이봉주, 변희현, 류현아, 양명희, 최길찬, 민시은(2010). CRESST 형성 평가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효과적인 교육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I2010-7. 

  19. 이종연(2002). 고등학교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수행평가 기준개발. 학교수학, 4(2), 193-204. 

  20. 정상권, 이경화, 유연주, 신보미, 김구연(2012). 과정 중심의 수학 교과 평가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장학연구 2012-1. 

  21. 최승현(1998). 대안적인 평가를 통한 수학교육.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8(1). 217-235. 

  22. 한국과학창의재단(2016). 2016 수학교육 정책사업 공고. 한국과학창의재단 공고 제2016-008호 

  23. 황혜정(2003). 수학과 수행평가에 관한 이해의 혼돈: 최근 국내 논문 분석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2(2). 159-176. 

  24.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NY: Holt, Rinehart & Winston.. 

  25. Black, H. (1986). Assessment for learning. In D.L. Nuttall (ed.), Assessing educational achievement (pp.7-18). London: Falrmer Press. 

  26. Black, P. J., & Wiliam, D. (2009). Developing the theory of formative assessment. Educational Assessment, Evaluation and Accountability, 21(1), 5-31. 

  27. Brookhart, S. M. (2003). Developing measurement theory for classroom assessment purposes and uses.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22(4), 1-5. 

  28. Clarke, B. (2008). A framework of growth points as a powerful teacher development tool. In D. Tirosh & T. Wood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Vol. 2. Tools and processes i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p. 235-256).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se Publishers. 

  29. Daugherty, R., Black, P., Ecclestone, K., James, M., & Newton, P.(2012). Alternative perspectives on learning outcomes: Challenges for assessment. In J. Gardner(ed.), Assessment and learning (pp.72-86). London: SAGE Publications Ltd. 

  30. Doerr, H. M. (2006). Examining the tasks of teaching when using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2, 3-24. 

  31. Graue, M. E. (1993).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through instruc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ssessment, 1, 293-309. 

  32. Harlen, W. (2012).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essment for formative and summative purposes. In J. Gardner(ed.), Assessment and learning (pp.87-102). London: SAGE Publications Ltd. 

  33. Harlen, W., & James, M.(1997). Assessment and learning: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between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4(3), 365-380. 

  34. Jacobs, V. R., Lamb, L. L. C., & Philipp, R. A. (2010). Professional noticing of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1(2), 169-202. 

  35. LeMahieu, P. G., & Reilly, E. C. (2004). Systems of coherence and resonance: Assessment for education and assessment of education. In M. Wilson (Eds.), Toward coherence between classroom assessment and accountability: 104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Chicago: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36. McMillan, H. J. (2011).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standardsbased instruction. Boston: Pearson. 

  37. Moskal, B. M., & Magone, M. E. (2000). Making sense of what students know: Examining the referents, relationships and modes students displayed in response to a decimal task.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3(4), 313-335. 

  38. NCTM(1989).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구광조, 오병승, 류희찬 역). 서울: 경문사. 

  39. Peressini, D., & Webb, N. (1999). Analyz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students' responses across multiple performance tasks. In Lee V. Steff (ed.),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 K-12, NCTM yearbook (pp.156-174). NCTM, Reston. Verginia, 

  40. Ryan, J., & Williams, J. (2000). Mathematical discussions with children. University of Manchester. 

  41. Shepard, L. A. (2000). The Role of assessment in a learning culture. Educational Researcher, 29(7), 4-14. 

  42. Sowder, J. T. (2007). The mathematics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teachers. In F. K. Lester J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157-223). Charlotte, NC: Informational Age. 

  43. Stiggins, R. (2005). From formative assessment to assessment FOR learning: A path to success in standards-based schools. Phi Delta Kappan, 87(4), 324-328. 

  44. Swaffield, S. (2011). Getting to the heart of authentic assessment for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8(4), 433-449. 

  45. Swan, M., & Burkhardt, H. (2014). Lesson Design for Formative Assessment. Educational Designer, 2(7). 

  46. Van den Heuvel-Panhuizen. (1994). Improvement of (didactical) assessment by improvement of problems: An attempt with respect to percentag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7(4), 341-372. 

  47. Wiliam, D. (2011). Embedded formative assessment. Bloomington. IN: Soluton Tree Press. 

  48. Wiliam, D., & Leahy, S. (2007).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formative assessment. In J. H. McMillan (Eds.), Formative classroom assessment: Theory into practice (pp. 99-118).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